• 제목/요약/키워드: cosmetics use

검색결과 413건 처리시간 0.036초

Phenoxyethanol을 이용한 저자극 방부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The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Low Irritable Preservative System with Phenoxyethanol in Cosmetics)

  • 안기웅;이춘몽;김형배;정지헌;조병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3-49
    • /
    • 2005
  • 최근, 민감성 피부가 증가함에 따라 화장품의 안전성이 매우 중요시되고 있으며, 특히 방부제는 화장품 사용에 따른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주요 자극원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방부제의 세포 독성 피부 투과, 유/수 분배, 항균력 비교 및 이를 통한 피부 자극과의 상관성 분석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상기의 여러 factor를 고려하여 화장품에서 빈번히 사용되고 있는 방부제의 하나인 phenoxyethanol을 이용한 저자극 방부시스템 개발에 관한 것이다. MTT assay를 통하여 human norm기 fibroblast cell에 대한 독성을 평가해 본 결과, 세포 독성은 propylparaben>butylparaben>ethylparaben>methylparaben>triciosan>phenoxyethanol 순으로 확인되어 phenoxyethanol이 다른 방부제에 비해 낮은 세포 독성을 나타낸 반면, 피부 일차자극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한 인체 첩포시험에서는 triclosan, methylparaben에 비해 높은 피부 자극을 나타내었다. 5 ${\~}$ 8 주령의 웅성 무모생쥐의 피부를 적출하여 in vitro Franz diffusion cell system을 이용한 방부제의 피부 투과도를 측정하여 본 결과, 피부 투과도는 phenoxyethanol > methylparaben > ethylparaben > propylparaben > butylparaben > triclosan 순으로 확인되어 세포 독성이 낮은 phenoxyethanol의 높은 피부 자극이 높은 피부 투과도와 연관성이 큰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독성이 낮은 phenoxyethanol의 피부 투과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하였으며, 연구 결과, 제형내 polarity가 낮은 oil을 사용할 경우 phenoxyethanol의 피부 투과가 현격히 감소하며, 피부 자극도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Oil polarity에 따른 Phenoxyethanol의 유/수 분배 측정 결과, Polarity가 낮은 oil에서는 $70\%$ 이상의 Phenoxyethanol이 수상에 존재한 반면, polarity가 높은 oil에서는 약 $70 {\~} 90\%$의 phenoxyethanol이 유상에 존재하였다. 또한, 미생물에 대한 항균력도 phenoxyethanol이 수상에 많이 존재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제형 내 oil tomposition을 변화시킴으로써 phenoxyethanol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 투과를 감소시켜 보다 피부 자극이 적은 저자극 방부시스템 개발이 가능하리라 보여 진다.

환경보호 측면에서 본 리필제품의 소비자이용 및 소비자인지에 관한 연구 (Consumer Use and Awareness of Refill Products Examined in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Protection)

  • 전윤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5-30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consumer use and awareness of refill-products in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protections. One hundread seventy-four married women living around Cheongju-city were selected because married women are the major buyers of refill-procuct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While detergents refill-products were found to be the most favorable one, cosmetics refill-products were found to be the worst favorable. 2) Married women complained different quality and quantity between refill-products and nonrefill-products in general. 3) Price was the most important reason to use refill-products rather than environmental protection. 4)The more respondents had refill-products information, the more respondents used refill-proeucts 5) The level of consumer awareness of refill products examined in perspective of enviornmental protection was found to be very high(3.3/4). 6)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ships between consumer use and awareness of refill-products examined in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protection.

  • PDF

화장품의 면포 비유발 평가에서 오일 레드 오 염색법의 응용 (Use of Oil Red O Staining Method in Non-Comedogenic Test for Cosmetics)

  • 이선화;이정임;김유리;이범천;강민지;최광성;문태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15-224
    • /
    • 2013
  • 화장품에 배합되는 원료 중에 피부 모공을 막아 여드름의 초기단계인 면포를 유발함으로써 염증성 여드름으로 악화시키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여드름 피부에 사용이 적합한' 면포 비유발성 화장품의 객관적인 평가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외국 임상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non-comedogenic test를 조사하고 등 상부 반복 폐쇄 첩포를 통해 면포 유발 평가방법을 확립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안면부 사용성 시험을 동일 피험자에게 추가로 진행하였다. 등 상부 반복 폐쇄 첩포를 통해 면포를 채취하여 분석한 결과 시험시료로 사용한 보습제와 자외선 차단제가 면포를 유발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동일한 시험제품을 안면부에 사용하여 얻은 면포 유발 결과와 Global acne grading system (GAGS)의 여드름 육안평가 결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또한 사진 판독을 통해 분석하는 면포와 모낭의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면포 채취 표본에 Oil red O staining을 실시하였다. 염색을 한 경우의 표본이 염색을 하지 않은 표본과 비교하여 결과 간 높은 일치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Oil red O staining을 통해 객관성과 신뢰성을 증진시킨 새로운 버전의 화장품 면포 비유발성 평가법을 확립하였다.

세토카 가지 정유의 성분 분석 및 생리 활성 (Chemical Composi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 from 'Setoka' Branches)

  • 현주미;김정은;염현숙;송정민;김미량;이남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27-23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세토카 가지 정유의 주요 성분을 분석하고 이들의 항균, 항염 및 세포독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세토카는 제주도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는 감귤류의 품종이다. 세토카 나무의 가지는 간벌 작업으로 인해 대부분 폐기되고 있고, 이러한 폐자원의 활용은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정유 성분은 세토카 가지의 에탄올 추출물을 호호바오일로 처리하여 얻었다. 세토카 정유의 주요 성분은 ethyl linoleate (64.1%), ethyl palmitate(16.5%), neophytadiene (11.1%) 및 ${\beta}$-citronellol (5.1%)임을 확인하였다. 이들의 항균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 관련 미생물에 대한 paper disc 확산법을 실시한 결과 Staphylococcus aureus 및 Propionibacterium acnes에서 좋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또한 항염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lipopolysaccharide(LPS)로 염증이 유도된 대식세포에서 nitric oxide (NO)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세토카 정유 성분은 농도의존적으로 NO 생성을 저해하였다. WST-1 분석법을 이용하여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 RAW 264.7 macrophage 및 HaCaT 각질형성세포에서 세포생존율이 무처리 대조군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세토카 가지 정유는 세포독성이 없으면서 염증억제 및 항균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응용한 화장품소재로써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 추출물의 B16F10 멜라노마 세포에서의 미백활성 검증 (Verification of Whitening Activity of Inonotus obliquus Extracts in B16F10 Melanoma Cells)

  • 최송윤;이제백;염현지;오민정;이진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05-112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차가버섯의 미백 활성 검증을 통하여 화장품 소재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차가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활성도도 증가하였으며 1,000 ㎍/ml 농도에서 82.1%의 우수한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미백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활성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MTT assay를 통해 멜라노마 세포(B16F10)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 100 ㎍/ml 이하 농도에서 8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세포 관련 실험은 25, 50, 100 ㎍/ml 농도에서 진행하였다. B16F10 cell에 차가버섯 추출물을 처리하여 멜라닌 합성과 관련된 단백질 발현을 측정한 결과 농도 의존성에 따라 모든 인자에서 단백질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100 ㎍/ml의 농도에서 TRP-1, MITF는 40.1%, 64.2%의 발현량을 나타내었고 tyrosinase 및 TRP-2는 arbutin 보다 단백질 발현 저해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멜라닌 합성 관련 mRNA 발현 측정을 위해 B16F10 세포에 차가버섯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mRNA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에 따라 차가버섯 추출물이 미백 활성을 가지는 화장품 소재로써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성의 피부 관리실 이용 선호도 및 피부 미용 홈 케어 만족도 조사 연구 (A Study on Women's Preference for the Use of the Esthetic Shop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Skin Beauty Home Care)

  • 김현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288-295
    • /
    • 2021
  • 본 연구는 여성의 피부 관리실 이용 선호도 및 피부미용 홈 케어 만족도 조사 연구를 목적으로 2021년 3월 11일-3월 29일 까지 25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이용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를 이용하여 Cronbach's α,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기술 통계, One way Anova로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피부 관리실 이용 선호도에서 전문 피부 관리실을 이용한다고 답한 응답자(56.1%)가 가장 많았으나 20대와 사무직(57.1%)은 피부과 병원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 관리실 선택 시 고려사항으로는 직원들의 기술(숙련, 유행)에 대한 항목이 38.8%로 높게 나타났으며 피부 관리 행태에서 클렌징 등 기초 화장품(M=4.47)과 기능성 화장품(M=4.20) 사용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미용 홈 케어 현황을 살펴보면 결혼여부는 기타(M=4.50)가 가장 높았고, 학력별로는 대졸(M=3.84)이, 직업별로는 Service Job(M=4.06)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이에 따른 피부미용 전문 프로그램 개발 및 피부 관리실과 홈 케어를 병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백급(Bletilla striata Reichenbach fil.) 분획물의 항산화, 항염증 효과와 화장품소재로서의 연구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Bletilla striata Reichenbach fil. Fractions as Cosmetic)

  • 윤지훈;박성근;이미지;박진영;서교성;우경철;이창언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9호
    • /
    • pp.1073-1078
    • /
    • 2013
  • 항산화, 항염증 효과는 화장품 소재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항산화, 항염증은 피부노화 예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백급은 이전부터 약리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왔다. 실험재료는 백급의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분획물을 사용하였다. 항산화 효과는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실험으로 확인하였다. 다양한 분획물중, 백급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LPS에 유도된 nitric oxide의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증명하였다. 게다가, nitric oxide 생성의 상위 기작인 iNOS, COX-2 단백질 발현도 저해하였다. 우리는 백급 분획물의 항산화, 항염증 효과가 항 노화 및 피부염증 개선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기대한다.

잘피(Zostera marina) 추출물의 항균효과에 대한 연구 (A Study of Antimicrobial Effect of Zostera marina Extracts)

  • 이소연;김보애;신동철;박관순;양재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25-231
    • /
    • 2016
  • 본 연구는 잘피 추출물의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건조된 잘피 전체, 뿌리, 잎 줄기를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잘피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 Candida albicans, Propionibacterium acnes 균주로 disc diffusion 방법을 통해 생육저해환(clear zone)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잘피 뿌리 추출물처리군에서 Staphylococcus epidermidis의 clear zone이 $13.00{\pm}0.50mm$로 확인되었고, Staphylococcus aureus, Propionibacterium acnes, Pseudomonas aeruginosa의 clear zone은 각각 $11.75{\pm}0.25mm$, $12.00{\pm}0.50mm$, $12.25{\pm}0.25mm$로 확인되어 잘피 추출물의 항균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밀싹 추출물이 MMP-1의 유전자 발현 억제효과 및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whitening effect and deterrent effect on gene expression of MMP-1 in wheat sprout extracts)

  • 유선희;문지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3-22
    • /
    • 2016
  • 밀싹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 여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세포실험을 통해 밀싹 추출물의 피부 세포에 대한 독성을 확인하고, 피부 세포 미백 활성 및 노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밀싹 추출물이 HDF, B16F10 세포에 대한 독성이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멜라닌 생합성 억제에 대한 효과는 약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자외선에 유도되는 MMP-1의 발현을 저해함으로써 피부의 광노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통해 광노화에 의한 피부 주름과 자연 노화에 의한 피부 주름을 예방하는데 유의한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밀싹 추출물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사용 시 피부 노화 예방 관점에서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Effect of Chinese Herbs on Acne Pathogens

  • Tseng, Wen-Kai;Lin, Shiann-Tsai;Chen, Yi-Shyan;Kwan, Chang-Chin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I
    • /
    • pp.1-11
    • /
    • 2003
  • Chinese herbs have be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less side effects than synthesized chemical drugs. Therefore, using Chinese herbs as natural additives in cosmetics becomes popular in recent years. The methanol extracts of Scutellariae Radix, Lithospermi Radix, Lonicerae Flos, Andrographitis. Herba, Angelicae Dahuricae Radix, Ligustici Rhizoma et Radix, Hedyotis Diffusae Herba, Isatidis Folium, Magnoliae Liliflorae Flos, Forsythiae Fructus, Anmarrhenae Rhizoma, Spirodelae Herba, Gardeniae Fructus, Sophorae Flavescentis Radix, Coptidis Rhizoma, Prunellae Spica, Equiseti Hiemalis Herba, Gentianae Radix, Moutan Radicis Cortex, Fraxini Cortex, Lycii Radicis Cortex, Violae Herba, Lophatheri Herba, Matricariae chamomillae Flos, Taraxaci Herba and Scutellariae Barbatae Herba are used to test the efficiency of inhibiting acne pathogens. Twenty-six Chinese herbs are extracted by methanol, and then condensed to dried powder. These extracts are divided into water-soluble part and DMSO soluble part. These two type solutions are tested for the effect on acne pathogens by paper disc diffusion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the substances of water soluble part which are Coptidis Rhizoma, Moutan Radicis Cortex, Scutellariae Barbatae Herba have medium to high activity of inhibiting acne pathogents, and the substances of DMSO soluble part which are Coptidis Rhizoma, Ligustici Rhizoma et Radix, Sophorae Flavescentis Radix, Moutan Radicis Cortex, Scutellariae Radix, Scutellariae Barbatae Herba also have medium to high activity of inhibiting acne pathogens. Using Chinese herbs as natural additives in cosmetics is convenience and valuable application in cosmetceutical research and development. Therefore, it is worth that re-investigation and find out the potential of Chinese herbs being use in cosmetic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