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relation difference

검색결과 6,181건 처리시간 0.038초

타이타늄 표면 처리 특성에 따른 젖음성에 관한 연구 (Wettability of titanium implants depending upon surface properties)

  • 한영수;신상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2-20
    • /
    • 2009
  • 연구목적: 임플란트가 식립되어질 때 매식체는 조직액과 접촉하게 된다. 임플란트의 조직액 흡착은 표면처리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 때 임플란트 시편의 표면 거칠기와 젖음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표면 거칠기와 젖음성의 상관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네 종류의 임플란트 시편을 각각 5종류 만들었다. 각각의 그룹은 그룹 A: Machined Surface, 그룹 B: Anodized surface, 그룹 C: RBM (HA blasting) surface, 그룹 D: CMP (calcium methaphosphate) coating surface이다. 연구결과: 1. 표면의 거칠기는 RBM, CMP, Anodized, Machined 그룹 순서로 거칠었다. RBM과 CMP는 통계적으로 유의차가 없었다 (P<.05). 2. 젖음성은 Anodized, RBM, CMP, Machined 그룹 순서로 높았다. CMP와 Machined는 통계적으로 유의차가 없었다 (P<.05). 3. 표면 거칠기와 젖음성과의 상관관계는 없었다.

치기공과 교육과정의 개선방안 (An improvement plan of Curriculum in Departments of Dental Technology)

  • 배봉진;이화식;박병호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5-66
    • /
    • 2009
  • This research collected the curriculum for Dental Technology from a total of 20 schools --3-year colleges and 4-year colleges-- all in Korea. And we analyzed the average credits of subjects from student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we get the conclusion below: 1. In the arithmetic mean of the major basis subjects which graduates and undergraduates answered about each subjects; Seminar, Dental morphology I II, Dental morphology practice I II, and Dental devices & instruments don't have many credits. And averages of the major application subjects credits which are Implants(especially low), Occlusal anatomy practice I II, Dental ceramics practice I II, and Dental ceramics practice are low, mostly have a converged tendency in high points. 2. In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which is based on the major basis subjects: Dental esthetic, oral anatomy I II, Dental materal practice III, Dental casting pracedure, Oral hygiene, Health & medical law, Management administration, and Medical terminology have a meaningful difference. (${\rho}$ < 0.05) 3. In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which is based on the major application subjects; Crown and bridge prosthodontics practice IV, Complete denture prosthodontics I II III, Complete denture prosthodontics practice I II III, Dental ceramics I II, Dental ceramics practice I II, Dental ceramics practice IIII, Occlusal anatomy I II, Occlusal anatomy practice I, Operative dentistry laboratory technology I, Operative dentistry laboratory technology practice II, Dental attachment laboratory technology practice, Implants, and Dental laboratory clinical practice have meaningful difference. (${\rho}$ < 0.05) 4. In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which is based on the ratio of a theory to an actual training; 40:60(38.57%) is the highest, followed by 30:70(30.04%), 50:50(23.32%), 60:40(5.83%), and 70:30(2.24%). These have meaningful difference. (${\rho}$ < 0.05) 5. In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which is based on the distinction of sex: Partial denture prosthodontics practice I II III, Complete denture prosthodontics I II III, Complete denture prosthodontics practice I II III, Occlusal anatomy practice I II, Implants, Medical terminology have meaningful difference. (${\rho}$ < 0.05) For the purpose of training entrepreneurs of middle standing who is required by a future society,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s Curriculum need to be managed with planning a curriculum which reflects opinions of graduates, undergraduates and a society, and also are considered not focusing on a supplier but focusing on a user.

  • PDF

식품 중 조단백질 정량을 위한 켈달법과 듀마스법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f crude protein contents obtained utilizing the Kjeldahl method and Dumas combustion method in foods)

  • 황선혜;구민선;조새롬;조용선
    • 분석과학
    • /
    • 제33권3호
    • /
    • pp.143-15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곡물, 육류, 해산물, 채소류등에 대하여 식품공전에 등재되어 있는 켈달법(Kjeldahl method)과 AOAC에 등재되어 있는 듀마스법(Dumas method)을 이용하여 조단백질을 비교 분석하였다. 두 시험법에 대해 총 31종의 시료를 3회 반복 시험한 결과 대부분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곡물류의 경우 백미를 포함 총 9 종을 분석하였고, 켈달법과 듀마스법 결과간의 상관관계를 비교한 결과 correlation coefficient가 0.994, p-value는 0.956로 두 결과값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육류 9 종에 대해서는 correlation coefficient이 0.9725, p-value는 0.947, 해산물 5 종에 대해서는 correlation coefficient 값이 0.9879, p-value는 0.761, chemical시료 3종에 대해서는 correlation coefficient값이 0.9985, p-value는 0.997, 채소류 4 종에 대해서는 correlation coefficient값이 0.9873, p-value는 0.727로 시료간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켈달법과 듀마스법간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육류의 경우 시료의 균질성이 좋지 않아 소량을 칭취하여 분석해야 하는 듀마스법에서 재현성이 좋지 않았다. 다만 시료 중 질산염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채소류의 경우 켈달법을 이용하여 분석시 완전한 분해가 이루어지지 않아 듀마스의 결과보다는 낮은 함량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듀마스 법의 경우 약 0.1 g의 적은 시료를 사용하여 분석하기 때문에 분석시 시료의 균질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두 시험법 모두 순단백질을 직접 정량하는 것이 아닌 질소 분석을 바탕으로 단백질 함량을 구하는 것이기 때문에 정확성이 높다고 할 수 없지만, 샘플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분석방법을 선택하여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등학교 상관관계 지도 내용 개선을 위한 가추적 실증 연구 (An empirical study for a better curriculum reform of statistical correlation based on an abduction)

  • 이영하;김소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2권3호
    • /
    • pp.371-386
    • /
    • 2012
  • 본 연구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중3과정의 상관관계 내용변화가 삭제보다는 개선이 더 나았을 것이라는 점과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 중에서 논리적 사고 유형 6가지의 발달 모두를 학교 교육이 도와야 한다는 가정의 두 전제에서 출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7차 교육과정 이전에 다루던 상관관계는 피아제가 생각했던 6가지 중의 하나가 아님을 밝히고, 그 주된 원인이 심리학, 교육학, 통계학 등의 학문간 용어 차이로 인한 소통 오류였다고 추측 판단할 수 있는지 해당 학문 분야들의 대학 교재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얻어진 지식과 결과를, 앞의 두 가지 전제에 비추어 보아, 장차 상관관계가 우리 교육과정에 다시 도입될 경우를 대비하여, 외국 교과서와 비교 검토를 통해 상관관계의 교육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예측했던 대로 교육학에서 상관관계의 개념은 지나치게 포괄적이어서 거의 모든 관계가 다 상관관계라고 할 수 있었고, 통계학에서는 그 구분이 매우 엄격하였다. 가장 중요한 연구 결과는, 본 연구를 통해 알게 된 용어의 차이들을 반영하여 우리는 상관관계와 종속관계, 그리고 기타관계 등을 엄격히 구분하여 교육과정에 반영할 필요가 있으며, 외국교과서와 같은 상관관계의 재도입을 생각한다면 회귀직선 활용을 도입하여 일차함수 단원과의 연계를 고려하자는 것이 본 연구의 가장 중요한 제안 사항이다.

  • PDF

밀양·창원지역의 PM10 중 음이온 성분 및 금속성분의 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Anion Components and Metallic Elements of PM10 in Miryang and Changwon)

  • 서정민;전보경;최금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3권12호
    • /
    • pp.1049-1058
    • /
    • 2004
  • PM10 concentration of total 48 samples collected from 4 sites (the root of Miryang University, Sangnam township Office in Miryang. the root of Changwon elementary school, and Junam reservoir in Changwon) turned out to range from 42.29 to 69.49{\mu}g/m^{3}$, and the average concentration was the root of Changwon elementary school $(69.49{\mu}g/m^{3})$>the root of Miryang university $(58.59{\mu}g/m^{3})$>Junam reservoir $(43.56{\mu}g/m^{3})$>Sangnam township Office $(42.29{\mu}g/m^{3}).> In particular, Junam reservoir, the Clean Area, had a slightly higher value than Sangnam township Office. It was thought although the site was plane and windy without pollutants around. it had a higher concentration value influenced by external factors including bigger population and a northeasterly wind due to a newly-established industrial complex nearby. As for water-soluble ions among PM10 particle collected in Miryang and Changwon area, SO42- accounted for $50{/%}$ and NO3-, was $35{\%}$, and the concentration order was S042->N03->Cl->F-. As for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metallic components among PM10 particle collected in Miryang and Changwon area. the root of Changwon elementary school had the AI concentration, Fe concentration and Zn concentration 4 times, 3 times and 1.5 times that of Junam reservoir, respectively. The root of Miryang University had the AI concentration 2 times that of Sangnam township Office, and had Fe concentration and Zn concentration $1.2\~1.5$ times those of Sangnam township Office. When it comes to the relation between metallic elements and meteorological factors in Changwon area, the highest coefficient of correlation was between temperature and humidity with 0.92, and temperature and wind speed turned out in the reverse correlation.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between Al and Cr was as high as 0.78. Among metallic elements,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between Cu and Pb, Cd, Al were 0.84, 0.85, 0.79, respectively. It is thought that the high coefficient of correlation between Cu and Pb is ascribed to busy traffic and wind in the urban areas, Sammun-dong and Gagok-dong in Miryang. Meanwhile, the coefficients of correlation between Fe and Cu, Al, Zn, Cd, Pb were in the reverse correlation. These coefficients of correlation are attributed to the difference in pollutant sources, rather than difference in pollutant and non-pollutant.

아동들의 굴절이상에 따른 안축장과 황반두께,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상관성연구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Macular Thickness, Retina Nerve Fiber Layer Thickness and Axial Length according to Refractive Errors in Children)

  • 최형석;임현성
    • 대한시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21-429
    • /
    • 2018
  • 목적 : 굴절이상별 세 그룹으로 분류한 우리나라 아동들의 안축장과 빛간섭단층촬영(OCT)로 측정한 황반두께, 망막신경섬유층두께 사이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안질환이 없고 안과관련 수술 경험이 없는 아동 67명(134안)을 대상으로 원시, 정시, 근시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황반부와 망막신경섬유층두께는 Cirrus HD-OC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안축장은 IOL Mas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 안축장은 근시, 정시, 원시그룹 순서로 길게 측정되었다(p<0.05). 중심부황반의 두께는 근시, 정시, 원시그룹 순서로 두껍게 측정되었다(p<0.05). 주변부황반부는위쪽, 코쪽, 아래쪽부분에서 근시그룹이 가장 얇았다(p<0.05).황반의 중심부 두께는 안축장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0.283, p<0.05). 주변부 황반의 두께는 모두 안축장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귀쪽망막신경섬유층두께(Temporal RNFL Thickness)는 근시그룹이 가장 두꺼운 결과를 보였고,안축장과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상관성이 나타났다(r=0.39, p<0.05). 위쪽과 코쪽, 아래쪽의 망막신경섬유층 두께는 안축장과 모두 음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코쪽 부분의 두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r=-0.23, p<0.05).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소아들의 OCT로 측정한 망막의 황반부의 두께, 망막신경섬유층의 두께와 안축장은 근시의 정도가 높을수록 안축장의 길이가 더 길게 측정되었으며, 굴절이상별 세 그룹에서 나타나는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ON THE LINEAR EQUIVALENCE OF SEQUENCES IN HILBERT SPACES

  • TARIQ QAWASMEH;RAED HATAMLEH;BELAL BATIHA;AHMED SALEM HEILAT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42권2호
    • /
    • pp.237-243
    • /
    • 2024
  • A similarity transformation of a solution of the Cauchy problem for the linear difference equation in Hilbert space has been studied. In this manuscript, we obtain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for linear equivalence of the discrete semigroup of operators, generated by the solution of the difference equation utilizing four Canonical semigroups.

$^{201}Tl$ 게이트 심근관류 스펙트에서의 휴식기와 부하기 좌심실 구혈률 상관관계 분석 (The Correlation Analysis of Stress/Rest Ejection Fraction of $^{201}Tl$ Gated Myocardial Perfusion SPECT)

  • 김동석;유희재;심동오
    • 핵의학기술
    • /
    • 제13권3호
    • /
    • pp.3-9
    • /
    • 2009
  • 목적 : 심근관류 스펙트 검사 시 부하로 인한 일시적인 심근 기절, 가역적 관류결손 등이 좌심실 구혈률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은 익히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유로 부하기/휴식기검사시 게이트법의 적용이 권고되고 있으며 99m-Tc을 이용하여 부하기/휴식기 좌심실 구혈률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여러 차례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목적은 99m-Tc 대신 Tl-201을 이용한 심근관류 스펙트에서 부하기와 휴식기 좌심실 구혈률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좌심실 구혈률의 변동의 예측가능한 지표를 정의하는 것이다. 실험재료 및 방법 : 2008년 6월부터 2009년 2월까지 본원에서 $^{201}Tl$ 게이트 심근관류 SPECT 검사를 시행한 환자 중 성인 144명(남:여=87:57, 평균나이 $62{\pm}10$세)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 분석하였다. 데이터 분석에는 QGS (Quantitative gated SPECT)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였고, 자동화된 방식으로 수축기말 용적(End-systolic volume, ESV), 확장기말 용적(End-diastolic volume, EDV), EF를 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하기/휴식기의 EF값, EDV와 ESV의 크기, 심근관류결손의 가역성 여부를 기준으로 EF값의 상관관계를 paired t- test와 Bland-Altman 분석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 하였다. 결과 : 부하기와 휴식기 EF값의 대응분포는 높은 상관관계(r=0.92)를 나타냈으며, 이들간의 EF값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11). Bland-Altman 분석 결과 부하기와 휴식기 EF값의 차이(${\Delta}EF$)는 평균 0.52% (95% 신뢰구간, -1.17~0.12%)로 나타났다. 평균 ${\Delta}EF$와 부하기와 휴식기 EF값의 차이가 없을 것이라는 가설(${\Delta}EF$=0)과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10). 부하기와 휴식기 EDV와 ESV에 따른 ${\Delta}EF$의 상관관계는 휴식기 ESV가 28mL 미만(p<0.05)일 때를 제외하고 모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고, 관류결손의 가역성 여부에 따른 ${\Delta}EF$의 상관관계에서는 가역성 관류결손을 가진 환자에게서 ${\Delta}EF$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부하기와 휴식기 EF값에 따른 ${\Delta}EF$는 부하기 EF가 55% 미만일 경우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결론 : $^{99m}Tc$-MIBI을 이용한 연구 결과와 마찬가지로 휴식기와 부하기 EF값의 변동에는 대체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만 부하기 EF값이 55% 미만일 경우, 휴식기 ESV가 28 mL 미만일 경우, 가역성 관류결손을 가진 환자의 경우에 ${\Delta}EF$에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충분히 고려하여, 게이트 심근관류 SPECT 검사시 심기능이 저하된 환자나 가역성 관류결손을 가진 환자에게서 ${\Delta}EF$의 유의한 차이 발생을 사전에 인지 가능한 유용한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서울시 남$\cdot$여 환경미화원의 건강실태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Health Conditions of Male and Female Environmental Workers in Seoul)

  • 권영은;서길희;김규성;최행지;정문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67-79
    • /
    • 1993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general health conditions and high risk factors of the male & female environmental workers. Thereb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o provide useful data as a contribution to knowledge for health protection and promotion.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were environmental workers' physical examination cards; the male environmental workers were 52 persons. and the female environmental workers 52 persons.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 correlation, and distinction analysis, using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s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s to height. eyesight. serum GPT, hematocrit. The variables having littl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ere weight. systolic blood pressure. total cholesterol. creatinine. 2. The rate of revealed in significant health examination was extra-health discrimination rate $28.8\%$, significant result of illness rate $12.5\%$. injury-inflicting rate $7\%$. second-time urine test $5.7\%$. antigen positive 3.8%. hearing impairment $2.8\%$, urine protein positive $1.9\%$. and urine sugar positive $1.9%$. 3. The workers diagnosed as extra-health discrimination were 30 persons or $28.8\%$.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on the prevalence. In the male environmental workers. ten times live problems and six times pulmonary tuberculosis and three times circulatory problems were revealed the higher than thoes of the female environmental workers. 4. In the male environmental workers,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systolic blood pressure revealed a significant correlation (r=0.22. p<0.05). In the female environmental worker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ge and weight (r= 0.25, p<0.05).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total cholesterol correlated positively (r=0.30, p<'0.05). 5. In the male environmental worker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working career and creatinine(r=-0. 22, p<0.05) In the female environmental worker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working career and total cholesterol (r= 0.58, p<0.01). 6.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working career and creatinine accdording to the male and female environmental workers who had any problems through x-ray inspection. 7.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height. eyesight. serum GPT according to the male and female environmental workers who were diagnosed as extra-health discrimination. 8. The female environmental workers who were diagnosed as 'car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weight (r= 0.26. p<0.05)' and systolic blood pressure (r= 0.30. p<0. 05). on the other hand. the left and right eyesight correlated nagatively(r=-0.15. r=-0.33. p<0.01). 9.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s on the male and female environmental workers' health condition were working career, height. and weight. And these three variables could help determine the two groups at the level of 81. 8 percentage.

  • PDF

예비 공업교사의 직업기초능력과 교사효능감과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Key Competencies and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Industrial Teachers)

  • 이규녀;김소연;박기문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81-199
    • /
    • 2011
  • 이 연구는 예비 공업교사들의 직업기초능력과 교사효능감이 개인적 배경변인과 관련지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하고, 직업기초능력과 교사효능감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는 예비 공업교사들의 직업기초능력 이해도와 교사효능감을 신장시키기 위한 예비 교원 양성 프로그램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공업교사의 교사효능감은 모두 보통(M=3.0)이상으로 나타났으며, 교수효능감(M=3.41)이 개인효능감(M=3.28)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유의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과 전공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별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교수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 공업교사의 직업기초능력 하위영역은 모두가 평균 3점대로 나타났다. 성별과 학년별은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기초능력의 글로벌 역량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 공업교사의 성별과 전공은 교사효능감과 직업기초능력 모두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 변인은 교사효능감(r=.274) 및 직업기초능력(r=.168)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예비 공업교사의 직업기초능력과 교사효능감은 r=.475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