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rrelation Analysis of Stress/Rest Ejection Fraction of $^{201}Tl$ Gated Myocardial Perfusion SPECT

$^{201}Tl$ 게이트 심근관류 스펙트에서의 휴식기와 부하기 좌심실 구혈률 상관관계 분석

  • Kim, Dong-Seok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
  • Yoo, Hee-Jae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
  • Shim, Dong-Oh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 김동석 (서울아산병원 핵의학과) ;
  • 유희재 (서울아산병원 핵의학과) ;
  • 심동오 (서울아산병원 핵의학과)
  • Received : 2009.06.15
  • Accepted : 2009.06.30
  • Published : 2009.10.10

Abstract

Purpose: It is well-known that stress-induced stunning and reversible perfusion defect have impact on ejection fraction (EF) when performing myocardial perfusion SPECT. Due to these reasons, gated SPECT is recommended at stress and rest studies. And there was many experiments to analyze between Stress and Rest EF by using $^{99m}Tc$-MIBI.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between stress EF and rest EF at myocardial perfusion SPECT by using $^{201}Tl$ and define possible predictors of EF variability. Materials and Methods: From 2008 June to 2009 February, we analyzed 144 patients undergoing $^{201}Tl$ gated myocardial perfusion SPECT in ASAN medical center. To analyze the data, we use QGS (Quantitative gated SPECT) software, and derived End-systolic volume (ESV), End-diastolic volume (EDV), EF from the result. In this study, we comparatively analyzed stress/rest EF correlation based on stress/rest EF, EDV, ESV and reversibility of myocardial perfusion defect by using paired t-test, Bland-Altman analysis. Results: Mached pairs of stress EF and rest EF demonstrated excellent correlation (r=0.92) wit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11). Bland-Altman analysis demonstrated a mean ${\Delta}EF$ was 0.52% (95% confidential interval[CI], -1.17~0.12%).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 mean ${\Delta}EF$ and hypothetic mean of 0 (${\Delta}EF$=0) (p=0.10). In the correlation of ${\Delta}EF$ according to stress/rest EDV and ESV, except rest ESV of <28mL (p<0.05),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rrelation of ${\Delta}EF$ according to reversibility of perfusion defect, patients with reversible perfusion defect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Delta}EF$ (p<0.05). ${\Delta}EF$ of stress/rest EF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except 55% of rest EF (p<0.05). Conclusion: Like studies with $^{99m}Tc$-MIBI, there was generally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ress and rest EF in this study results. However a stress EF of <55%, a rest ESV of <28mL and patients with reversible perfusion defec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elta}EF$. If performing $^{201}T$ myocardial perfusion SPECT to patients with abnormal cardiac function or reversible perfusion defect, consider this study results and apply it. We expect this study results could be useful predictors of ${\Delta}EF$ variability.

목적 : 심근관류 스펙트 검사 시 부하로 인한 일시적인 심근 기절, 가역적 관류결손 등이 좌심실 구혈률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은 익히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유로 부하기/휴식기검사시 게이트법의 적용이 권고되고 있으며 99m-Tc을 이용하여 부하기/휴식기 좌심실 구혈률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여러 차례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목적은 99m-Tc 대신 Tl-201을 이용한 심근관류 스펙트에서 부하기와 휴식기 좌심실 구혈률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좌심실 구혈률의 변동의 예측가능한 지표를 정의하는 것이다. 실험재료 및 방법 : 2008년 6월부터 2009년 2월까지 본원에서 $^{201}Tl$ 게이트 심근관류 SPECT 검사를 시행한 환자 중 성인 144명(남:여=87:57, 평균나이 $62{\pm}10$세)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 분석하였다. 데이터 분석에는 QGS (Quantitative gated SPECT)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였고, 자동화된 방식으로 수축기말 용적(End-systolic volume, ESV), 확장기말 용적(End-diastolic volume, EDV), EF를 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하기/휴식기의 EF값, EDV와 ESV의 크기, 심근관류결손의 가역성 여부를 기준으로 EF값의 상관관계를 paired t- test와 Bland-Altman 분석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 하였다. 결과 : 부하기와 휴식기 EF값의 대응분포는 높은 상관관계(r=0.92)를 나타냈으며, 이들간의 EF값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11). Bland-Altman 분석 결과 부하기와 휴식기 EF값의 차이(${\Delta}EF$)는 평균 0.52% (95% 신뢰구간, -1.17~0.12%)로 나타났다. 평균 ${\Delta}EF$와 부하기와 휴식기 EF값의 차이가 없을 것이라는 가설(${\Delta}EF$=0)과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10). 부하기와 휴식기 EDV와 ESV에 따른 ${\Delta}EF$의 상관관계는 휴식기 ESV가 28mL 미만(p<0.05)일 때를 제외하고 모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고, 관류결손의 가역성 여부에 따른 ${\Delta}EF$의 상관관계에서는 가역성 관류결손을 가진 환자에게서 ${\Delta}EF$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부하기와 휴식기 EF값에 따른 ${\Delta}EF$는 부하기 EF가 55% 미만일 경우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결론 : $^{99m}Tc$-MIBI을 이용한 연구 결과와 마찬가지로 휴식기와 부하기 EF값의 변동에는 대체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만 부하기 EF값이 55% 미만일 경우, 휴식기 ESV가 28 mL 미만일 경우, 가역성 관류결손을 가진 환자의 경우에 ${\Delta}EF$에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충분히 고려하여, 게이트 심근관류 SPECT 검사시 심기능이 저하된 환자나 가역성 관류결손을 가진 환자에게서 ${\Delta}EF$의 유의한 차이 발생을 사전에 인지 가능한 유용한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