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ervation materials

검색결과 901건 처리시간 0.025초

'나한도(羅漢圖)'의 보존수복(保存修復) -국립중앙박물관(國立中央博物館) 소장(所藏) 고려불화(高麗佛畵)- (Restoration of 'Arhat' of Koryo Dynasty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박지선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권
    • /
    • pp.41-49
    • /
    • 2000
  • 회화유물 보존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관점은 유물의 원형을 찾아 그대로 복원하는 것이다. 복원 방법으로는 전통적인 표장법을 쓰는데 이를 위해서는 X선 및 적외선 촬영, 현미경조사 등과 같은 과학적인 조사와 함께 재료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번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고려불화 '나한도'는 그 원형이 많이 손상되어 있었다. 따라서 보존처리 과정에 있어 그 문제점을 찾아 복원하였고, 표장 형식은 액자에서 족자로 바꾸는 방법을 택하였다. 본고에서는 '나한도'의 사전조사 내용 및 보존처리 과정을 소개하고자 한다.

국보 제326호 청자 '순화4년'명 항아리의 과학적 보존처리 (Scientific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Celadon Jar with the Inscription of 'the Fourth Sunhwa Year'(National Treasure No.326))

  • 이선명;권오영;박종서;한우림
    • 보존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53-469
    • /
    • 2019
  • 청자 '순화4년'명 항아리는 굽바닥에 명문이 새겨져 용도와 사용처, 제작자를 알 수 있는 등 초기 청자의 제작 정황을 보여주는 중요한 편년자료이다. 청자 항아리는 과거에 여러 번 수리복원 되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다양한 환경변화로 인해 처리 재료가 노화되어 균열부의 이격 및 단차가 발생하는 등 구조적 안정성이 우려되었다. 보존상태를 정밀 진단한 결과, 청자 항아리는 정면의 '입(入)'자형 균열, 좌면의 'V'자형 결실부를 포함한 균열, 후면의 'J'자형 균열이 주요 손상부위로 확인되었다. 균열부는 장뇌, 건성유, 송진 등이 포함된 정제 옻을 접착제로 토분을 첨가하여 접합하고 접합선은 다시 정제 옻을 칠한 후 금분으로 표면 처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결실부는 석고로 복원 후 아크릴 물감으로 색맞춤하였다. 이후 수리복원 재료가 노화되어 1981년에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응급처리를 실시하였는데, 균열부 보강을 위해 Cemedine C를 쓰거나 Cemedine C에 Microballoon을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보존처리는 유물의 보존상태 진단 결과를 근거로, 과거 수리복원 재료를 제거하고 물리적으로 취약한 부분을 다시 접합복원을 통해 보강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또한 추후 전시하는데 활용될 수 있도록 복원부를 중심으로 색맞춤을 실시하였다.

섬유 재질에 대한 천연 살충·살균제의 적용성 평가 (Evaluating the Application of Natural Pesticides on Textile Materials of Organic Cultural Heritages)

  • 김영희;홍진영;정미화;조창욱;김수지;이정민;최정은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32호
    • /
    • pp.25-35
    • /
    • 2011
  • 천연물로부터 항균 및 방충작용에 효과적인 물질을 검색한 결과, 목초액과 세신추출물이 강한 생물활성을 나타내는 후보물질로 선발되었다. 천연 항균 및 살충제로서 선발된 목초액과 세신추출물은 자체에 색을 지니고 있어 이들을 이용하여 문화재 보존 처리제로 사용하였을 경우 유기질 문화재 재질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섬유 재질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무염색 섬유 시편과 염색 섬유 시편을 대상으로 두 종의 천연 살충소재를 $28^{\circ}C$ 온도와 70% 습도 조건에서 노출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천연 살충소재 처리 후 6개월 동안 이들 섬유의 색변화를 2주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세신추출물의 경우 무염색 섬유뿐만 아니라 천연 염색한 붉은색과 푸른색의 섬유에서 또한 색변화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FT-IR spectrum 분석 결과에서도 초기 시편과 비교 시 큰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목초액의 경우 무염색 면섬유에 있어서 3주차부터 뚜렷한 색변화가 관찰되었으며, FT-IR spectrum 분석 결과에서도 초기 시편과 비교했을 때 특정 파장대의 피크가 없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목초액의 경우 유기질 문화재 보존처리제로 적용할 경우 섬유 재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사용에 제한을 두어야 한다.

  • PDF

폐석더미에서 복토 및 식생기반재 처리가 참싸리(Lespedeza cyrtobotrya Miq.)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il Covering Depth and Vegetation Base Materials on the Growth of Lespedeza cyrtobotrya Miq. in Abandoned Coal Mine Land in Gangwon, Korea)

  • 김정환;임주훈;이궁;이임균;정용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61-67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soil covering and vegetation base materials implementation on the growth of Lespedeza cyrtobotrya Miq. in abandoned coal mine land. We compared the biomass of L. cyrtobotrya at the study plots of four different soil covering depth (control, 10cm, 20cm, and 30cm) and four different compounds of vegetation base materials composed of soil conditioner (S), erosion control (E), and peat moss (P) (control, S+P, E+P, and S+E+P). The result showed that the biomass of L. cyrtobotrya was higher in the study plots implemented with soil covering than control plot, although the increase in biomass was not constant with soil covering depth. In case of the vegetation base materials treatments, the biomass was highest in S+E+P plot, and S+P and E+P plots showed higher biomass than control plot.

도자기 수리복원 방법의 변천과정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Changes Process Repair and Restoration Method of Ceramic)

  • 양필승;서정호
    • 보존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9-59
    • /
    • 2011
  • 손상된 도자기는 고대부터 여러 가지 방법과 재료를 사용하여 수리복원 되었다. 도자기 수리복원의 역사는 전통적인 수리방법을 이용해 실생활에서 활용 가능한 재료들을 사용하던 방식에서 새로운 재료의 도입과 다양한 처리기법의 시도 및 사용된 재료의 분석에 이르는 전문적인 분야로까지 그 영역을 넓히며 발전을 거듭하여 왔다. 우리나라의 도자기 수리복원 방법의 변천과정은 출토유물과 문헌자료, 분석 등을 통해 조사한 결과, 동물이나 식물에서 추출된 접착제, 석회와 같은 복원제 등을 사용하여 수리 복원하던 천연재료 사용 시기(고대~일제 강점기 이전)와, 주사비 등 천연재료와 합성수지가 혼합되어 사용되는 시기(일제 강점기~1970년대), 새로운 처리기법과 재료가 도입되고 보존규범에 입각하여 수리복원이 이루어진 합성수지 사용 시기(80년대 이후)로 구분 할 수 있었다.

이징(1580년~1642년) 묘 출토 목질류 및 직물류 분석 (Analysis of Wooden Materials and Fabrics from the Tomb of Yi Jing)

  • 이효선;박운지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8권
    • /
    • pp.19-34
    • /
    • 2017
  • 이징 묘 출토 목질류에 대한 수종 분석 및 복식 중에서 대표 직물류에 대한 재질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목질류로 분류된 외관, 내관, 칠성판, 삽은 모두 소나무류(Pinus densiflora)로 식별되었다. 직물류 분석 결과, 삽 부착 직물과 명정, 오낭은 견직물이었다. 적삼은 평직 면직물이었으며 버선의 경우 겉감은 면직물, 안감은 마직물이었다. 견직물 중에서 오낭의 우족·좌족은 수자직(繻子織) 문단이고 나머지는 평직 견직물인 주(紬)로 확인되었다. 적외선 분석 결과, 삽에는 구름무늬가 전체적으로 그려져 있었으며, 명정과 오낭에는 묵서가 있었다.

중원탑평리칠층석탑의 재질특성과 산지추정 및 손상도 진단을 통한 보존처리 (Conservation Treatment Based on Material Characteristics, Provenance Presumption and Deterioration Diagnosis of the Seven-Storied Jungwon Tappyeongri Stone Pagoda, Chungju, Korea)

  • 이찬희;김무연;조영훈;이명성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3권3호
    • /
    • pp.4-25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중원탑평리칠층석탑(국보 제6호) 구성암석의 재질특성 및 산지추정과 손상도 정밀진단을 통한 과학적 보존처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석탑의 주요 구성암석은 자철석 계열(평균 대자율 $5.86{\times}10^{-3}$ SI unit)의 흑운모화강암으로 동정되었으며, 이 암석은 부분적으로 염기성 포획암과 페그마타이트 세맥 및 장석 반정을 함유하고 있다. 이 암석의 원산지해석 결과, 송강천 일대의 암석이 동일기원으로 판명되어 석탑 복원용 석재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석탑의 손상도 평가에서는 박리 박락(2.7~5.5%), 보수물질(3.5~9.4%), 변색(58.9%) 및 생물오염(19.3~24.4%)에 의한 손상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석탑의 안정적인 보존을 위해 예비조사 결과를 토대로 보존처리를 수행하였다. 전체적인 공정은 대체석 복원, 세정, 접합 및 강화처리 등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석탑의 예비조사부터 과학적 보존처리까지 매우 유기적인 보존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석조문화재의 미래지향적 맞춤형 보존처리 사례를 정립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청연군주묘(淸衍郡主墓) 출토복식(出土服飾) 중 직김(織金), 부김의(附金衣)의 보존처리 (Conservation Treatment of Jikgeum(Weave with Supplementary Golden Wefts) and Bugeum(Gold sticking) Textiles and Costumes Excavated from Tomb of Cheongyeongunju (a Princess))

  • 박승원;이윤경;유혜선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9권
    • /
    • pp.67-83
    • /
    • 2008
  •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청연군주 출토복식(신수751 의류 일괄) 중 織金 및 金箔이 있는 복식의 보존 처리 과정을 소개하고자 한다. 금사 및 금박의 비파괴분석(X-선형광분석:XRF)을 실시한 다음 표면의 금(Au)이 열화가 진행되면서 분상화된 금층에 아교 2%용액을 도포하여 접착력을 강화하였다. 표면의 먼지와 오염물제거를 위해 진공흡입을 통한 건식세척과 분사식 습식세척을 병행하였고 손상부분을 보수하여 유물의 원형을 회복하였다.

약용식물 17종 메탄올 추출물의 유기질문화재 생물학적 열화원에 대한 항진균 및 살충활성 조사 (Antifungal and Insecticidal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17 Medicinal Plants against Biological Deterioration of Organic Cultural Heritage)

  • 임진아;최윤아;정미화;강소영;정용재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9호
    • /
    • pp.125-136
    • /
    • 2008
  • To investigate bioactive materials for development of natural conservative agent on organic cultural heritage, methanol extracts from 17 medicinal plants were screened for antifungal and insecticidal activity against 6 wood rot fungi and adult of Lasioderma serricorne. Antifungal activity of extracts was tested by using paper disc soaking method against wood-rot fungi. Among these extracts, the most significant antimicrobial activity was observed from the extract of Coptis japonica at 5 mg/disc against all wood rot fungi tested. The insecticidal activity of extracts was examined by topical application against L. serricorne adults. The extracts from Asarum sieboldii gave 83.3 % mortality at $25{\mu}g/adult$ for 24hr. From these result, the methanol extract from C. japonica and A. sieboldii described could be useful for conservation of organic cultural heritage against biological deterioration by wood rot fungi and L. serricorne.

  • PDF

조선통보의 주조원료와 산지 연구(I) (Raw Material and Provenance of Chosen-Tongbo (I))

  • 강형태;김규호;허우영;평미양광
    • 보존과학회지
    • /
    • 제16권
    • /
    • pp.15-20
    • /
    • 2004
  • 조선시대 최초의 동전은 조선통보이며 1423년에 주조되었다. 조선통보 2점을 입수하여 원자흡수분광분석법 및 중성자방사화분석법으로 모두 9종의 성분함량을 결정하였고 열이온화질량분석법으로 납동위원소비를 결정하여 원료의 산지를 추정하였다. 조선통보의 성분조성은 $Cu\;90\%,\;Pb\;3\~4\%,\;Sn\;2\~3\%$ 로서 중국과 일본의 동전과는 다른 조성을 나타내었다. 납동위원소비 분석결과 중국남부 방연석 분포범위에 속하였으며 통계적 분석법으로서 선형판별식분석법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