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cepts

검색결과 9,663건 처리시간 0.032초

초등학교 학생들의 증발과 응결 개념에 대한 연구 (Study on students과 concepts of evaporation and condensation in elementary school)

  • 이용복;이성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17권1호
    • /
    • pp.89-103
    • /
    • 1998
  • We study that what kind of the concepts of evaporation and condensation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have. The results are following. (1) The students have simple concepts of evaporation on natural circumstance. However, they don't understand about various effect on evaporation. (2) They don't know where the evaporized water is comming from. (3) They have experiences on observing condensation of wale. (70%), however don't know that the water is evaporized in the air. (4) They have more understanding about evaporation, more correct concepts on condensation in circulation of water.

  • PDF

DOUBLE WIJSMAN LACUNARY STATISTICAL CONVERGENCE OF ORDER 𝛼

  • GULLE, ESRA;ULUSU, UGUR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39권3_4호
    • /
    • pp.303-319
    • /
    • 2021
  •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concepts of Wijsman strongly p-lacunary summability of order 𝛼, Wijsman lacunary statistical convergence of order 𝛼 and Hausdorff lacunary statistical convergence of order 𝛼 for double set sequences. Also, we investigate some properties of these new concepts and examine the existence of some relationships between them. Furthermore, we stud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new concepts and some concepts in the literature.

수학의 1차적 개념이 초등학교 3학년 영재아의 수학적 개념구성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연구 - 분수의 덧셈과 곱셈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about Influence of Primary Mathematic Concepts on the Composition of Mathematic Concepts in 3rd grade Prodigies of Elementary Schools - Focusing on Addition and Multiplication of Fractions -)

  • 김화수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1호
    • /
    • pp.17-4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사칙연산과 분수의 1차적 개념을 학습한 초등학교 3학년 영재아 3명을 대상으로 분수의 덧셈과 곱셈을 내용으로 하였을 때, 정확한 개념의 인지와 개념의 연결로 분수의 덧셈과 곱셈에 대한 스키마와 변형된 스키마1)를 어떻게 구성을 하는지에 대해 질적 사례연구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즉 수학의 1차적 개념의 구성으로 어떠한 스키마와 변형된 스키마를 형성하여 분수의 덧셈과 곱셈에 대한 관계적 이해를 하는지, 그리고 영재아들이 스스로 형성한 스키마와 변형된 스키마를 어떻게 이용하여 분수의 덧셈과 곱셈의 문제 해결에 접근을 하는지, 또한 연구대상자들의 개념구성과 문제해결력에서의 스키마는 어떻게 변형을 이루어 나가는지를 심도 있게 조사하였다. 그 결과 분수의 덧셈에서 분수의 곱셈으로 연결될 때, 정확한 1차적 개념에 대한 인지와 스키마 그리고 변형된 스키마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때 수학의 1차적 개념끼리의 연결과 정확한 1차적 개념에 대한 인지로 인해서 만들어지는 스키마와 변형된 스키마의 형성이 분수의 덧셈과 곱셈의 창의적 문제 해결에 무엇보다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7학년 학생의 과학 태도 수준에 따른 광합성 관련 개념의 근접성 변화 분석 (Analysis of Concept's Proximity of 7th Grade Students' Photosynthesis Concepts by the Level of Science Attitude)

  • 이희정;김영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10호
    • /
    • pp.1524-1536
    • /
    • 2012
  • 과학 태도는 학습의 질 향상에 영향을 미치며 과학 교육에서 중요한 관심사 중의 하나이다. 과학 태도 수준에 따라서 인지적 영역의 구조적 측면, 특히 개념간의 근접성 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과학 태도 수준에 따라서 광합성 관련 개념의 근접성이 수업 후에 어떻게 변하는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7학년 학생 270명을 대상으로 수업 전과 수업 후의 과학 태도와 광합성 개념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광합성 개념은 '광합성이 일어나는 장소', '광합성에 필요한 물질', '광합성결과생성 되는 물질',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광합성 개념의 근접성은 다차원 척도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구체적인 개념을 습득함으로써 개념의 근접성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학습을 통해 과학태도 상집단이 중 하집단에 비해 과학적 개념의 근접성이 가까워지는 경향이 있다. (3) 과학 태도의 모든 수준의 학생에서 비과학적 개념이 수업 후에도 계속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비과학적 개념이 광합성과 관련된 과학적 개념 사이의 근접성을 방해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4) 학생들은 광합성과 관련된 4개 영역에서 서로 관련된 개념은 가깝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광합성에서 광합성 장소와 필요 물질을, 광합성 결과 생성되는 물질과 필요 물질을 가깝게 인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5, 6학년 학생들의 대표값에 대한 비형식적 개념 분석 (An Analysis of Informal Concepts of Average Found in Fifth and Sixth Graders)

  • 이춘재;전평국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5권3호
    • /
    • pp.319-343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fifth and sixth graders recognize average and to find out suggestions for teaching/learning methods of average by examining which difference there is depending on the way of the word problem presentation. For the this purpose, was conducted experiment study with the way of the world problem presentation set up as experimental treatment.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results obtained in the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since students who did not learn the regular course of average had various informal concepts already, it is needed to consider handling more various concepts of average in order to enable students to expand flexible thoughts. Second, compared with fifth and sixth graders showed a wide difference in informal concepts of average depending on the way of the word problem presentation. In expect data with given average, concepts of mean as algorithm, balance point, and mode indicated similar percentage, while in estimate average with given data, the percentage of students who showed the concept of mean was very high at 67.6%. That may be because problems related to mean in the current textbooks are items of 'estimate average with given data', so in types of 'estimate average with given data', students solve questions with mean as algorithm without considering situations of problems. This resul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way of the word problem presentation even in textbook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informal concepts of averag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des. In addit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re would be difference in the concepts of average depending on gender or attributes of discrete quantity and continuous quantity.

  • PDF

예비 과학 교사의 화학 개념에 대한 이해도와 문제 해결 능력 조사 (Research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Understanding of and Problem-Solving Ability with Regard to Chemistry Concepts)

  • 최원호;윤혜선
    • 대한화학회지
    • /
    • 제56권5호
    • /
    • pp.617-62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사범대학 과학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화학 개념의 이해도와 문제 해결 능력을 관련 문항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오답을 선택하며 문제 해결에 필요한 정확한 개념을 가지지 못하는 예비 과학 교사들이 모든 문항에서 발견되었다. 이 결과의 원인을 찾기 위한 심층 질문을 통해 일부 예비 과학 교사에게서 나타난 몇 가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예비 과학 교사들은 고등학생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확한 개념을 가지고 있었지만 몇몇 개념들에 대해서 고등학생들과 동일한 오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과학개념의 일반적 정의나 의미는 알고 있었지만 교육과정 상 강조하는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였으며, 시각적으로 인지된 정보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문제 해결과 관련된 일반적 개념의 필요성은 인식하는 반면 탐구와 관련하여 문제 해결에 필수적인 능력을 간과하거나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 상위 교육과정의 필요성을 제안하는 경향이 있었다.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과학과의 생명영역 물질대사에 관련한 학습개념 분석 (Analysis of Learning Concepts Related to Metabolism Presented in the Life Filed of Science Textbooks According to the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 심규철;이부연;김현섭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627-633
    • /
    • 2003
  •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의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과 생물영역 물질대사와 관련한 개념의 수준과 연계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교과서는 초등학교는 1종 검인정 교과서를 사용하였으나, 중학교와 고등학교는 분석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동일 출판사에서 개발한 3종의 교과서를 사용하였다. 물질대사와 관련한 개념은 초등학교에서는 42개, 중학교에서는 3개 출판사 평균 92개, 고등학교에서는 평균 59개가 제시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출판사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학교급이 올라감에 따라 점차적으로 구체적 개념에 대한 형식적 개녕의 비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습개념의 수는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 시 학습단원에 따른 학습개념의 제시는 학습자의 인지 수준 및 제시되는 개념의 수를 적정화해야 하며, 단원과 학습 내용의 수직적 연계성을 고려한 구성이 필요하다.

발생학습 전략의 적용이 계절변화 관련 지구과학개념 변화에 미친 효과 (The Effects on Earth Science Concepts about Seasonal Changes by Generative Learning Strategy)

  • 정진우;윤상화;이항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60-171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계절 변화에 관련된 개념 유형을 분석하고, 관련 개념들에 관한 토의에 의해 인지갈등을 해소하는 방법을 강조한 발생학습 전략의 적용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계절변화 관련 지구과학 개념 유형은 100가지 였으며, 그 중에서 66가지는 오개념을 포함한 비과학적 개념 유형이었다. 계절변화에 관련된 개념 평가도구는 R&D과정과 2번의 현장검증을 거쳐 개발되었다. 실험집단에는 지구과학개념 유형과 인지갈등을 반영한 4단계의 발생학습 전략을 적용하였다. 한편 통제집단에는 전통적인 교수 학습 전략을 적용하였다. 유의수준 .05에서 공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계절변화와 관련된 오개념을 지구과학적 개념으로 변화시키는 데 발생학습전략이 하나의 가능한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생물 존재 필요성에 대한 중학생의 개념생태 특징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Conceptual Ecologies on the Need of Existence of Living Things)

  • 송현미;정완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648-657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개념 생태 요소들을 알아보고, 각 요소들 및 학생들의 개념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정상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중학교 3학년 학생 6명 을 대상으로 설문지 결과 및 면담과 토론 수업 결과들을 분석하여 각 학생들의 개념 생태 특징을 기술하였다. 학생들이 보유하고 있는 생물 존재 필요성에 대한 개념은 인지적, 정의적으로 다양한 개념 생태 요소들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음을 볼 수 있었으며 그 유형도 다양하게 나타났다. 특히 그러한 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로는 형이상학적 신념, 다른 영역의 개념 이해 등을 들 수 있으며, 다른 요소들도 이와 상호관련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처럼 학생들의 선개념은 관련된 개념 생태 요소들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으며 개념 및 학습자의 유형에 따라 개념 생태들이 달라지므로, 개념 변화 학습시 학습자의 특성 및 개념 생태 요소들의 영향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 PDF

학생들의 탐구 학습을 돕기 위한 교사의 과학적 개념 설명 방식: 초등학교 5, 6학년 지구과학 영역을 중심으로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ientific Explanation to Support Students' Inquiry: Focusing on 5th and 6th Grade Earth Science Curriculum)

  • 서예원;고현덕;박경원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8권2호
    • /
    • pp.161-177
    • /
    • 2009
  •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teachers construct scientific explanation during instructional practices to help students' scientific inquiry. Before investigating teachers' classroom practices,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was examined to identify scientific concepts, particularly in earth science. Then, a total of six teachers' scientific explanation in actual teaching practices was analysed focusing on a) explanation of scientific concepts; b) rationale for scientific explanation; c) connection between scientific explanation and everyday explanati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cience curriculum provides $1{\sim}2$ main scientific concepts per unit, which are mostly appeared in the unit title. Those concepts and sub-concepts are not explicitly described but embedded in students' inquiry activities. Second, the teachers explain scientific concepts and discuss the rationale behind the scientific explanation, but rarely connect scientific explanation to everyday explanation. Also, the level of scientific explanations is low remaining level 1 or 2, not reaching 3, the highest level.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s a) teachers need to provide explicit and clear explanations about scientific concepts; b) teachers are required to connect scientific explanation and everyday explanation; c) the level of teachers scientific explanation should be elevated by using an evidence, reasoning and claim, the components of scientific explanation as well as introducing new scientific concepts and inquiry activit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