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action pile

검색결과 185건 처리시간 0.021초

실물크기 쇄석다짐말뚝에 대한 수치해석 연구 (A Numerical Analysis Study for Prototype Crushed-Stone Compaction Pile)

  • 황근배;정성민;이민희;최용규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66-73
    • /
    • 2004
  • Prototype crushed-stone compaction pile(${\Phi}=700mm$) were constructed on specific test site. Static loading tests for crushed-stone compaction piles were performed. Based on the static loading test results, finite element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oftware PENTAGON 3D. Numerical analysis were done for the area replacement ratio($a_s$) of $20{\sim}70%$ and $a_s$ was varied as a step of 10%. In the single crushed-stone compaction pile, settlement was decreased as $a_s$ was increased. In the group pile, this tendency was similar. In the in-sit test and numerical analysis, as $a_s$ increased, the stress concentration ratio was increased. But $a_s$ in the numerical analysis were more than that of in-situ test, greatly.

  • PDF

쇄석과 모래 혼합다짐말뚝의 공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Rammed Aggregate and Sand Mixture Piers)

  • 천병식;김백영;도종남;국길근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119-122
    • /
    • 2009
  • The gravel compaction pile method has been used as a soft foundation improvement method because bearing capacity and discharge capacity is excellent. But the discharge capacity decreased when the clogging was generated because the clay penetrate into a void of gravel compaction pile.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uce the clogging generation in gravel compaction pile constructing in the soft ground and take a step to minimize a void of gravel compaction pile. And the proper mixing ratio was determined with the large scale direct shear test performed to get strength and permeability with mixing ratio of crushed stone and sand(100:0, 90:10, 85:15, 80:20, 75:25). As a result of the test, it was showed that internal friction angle was the highest at 85:15 mixing ratio of crushed stone and sand and we can make sure a tendency of internal friction angle's decrease when the mixing ratio of crushed stone and sand passed 15%.

  • PDF

모래다짐말뚝(SCP)에 의한 매립지반의 액상화저감효과 평가 (Evaluation of Liquefaction Remediation of Reclaimed Land by Sand Compaction Pile)

  • 김종국;손형호;윤원섭;채영수;최인걸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1678-1688
    • /
    • 2008
  • In this study, dredging reclamation ground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ground improvement and liquefaction reduction effect with the result that standard penetration test(SPT) and piezo penetration test(CPT) before and after of improvement. Especially, the estimate center of the pile and factor of liquefaction safety to the position of ground around with the pile presented improvement of compaction for improved compaction of dredging reclamation ground.

  • PDF

수치해석적 방법에 의한 저회혼합다짐말뚝의 침하저감비에 관한 연구 (Numerical Study of Settlement Reduction Ratio for the Bottom Ash Mixture Compaction Pile)

  • 주익찬;김구영;도종남;조현수;천병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53-58
    • /
    • 2012
  • 일반적으로 연약지반인 점성토 지반이나 느슨한 사질토 지반을 개량하기 위하여 모래다짐말뚝(SCP)공법 또는 쇄석다짐말뚝(GCP)공법이 쓰여지고 있다. 하지만 모래다짐공법은 모래의 수급부족과 모래채취로 인한 환경파괴와 같은 문제점이 있으며, 쇄석다짐공법은 쇄석다짐재료의 클로깅으로 인하여 배수재의 투수계수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모래와 공학적 성질이 유사한 화력발전소 부산물인 저회를 모래의 대체 재료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회혼합다짐말뚝에 대한 기초적 연구로써 조립재료 및 치환율에 따른 조립재료 혼합다짐말뚝의 거동특성을 수치해석적으로 규명하였다. 특히, 말뚝중심부로부터 거리에 따른 침하저감비(SRR)를 산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조립재료에 따른 혼합다짐말뚝의 침하저감비 변화값은 유사한 형태를 보였으며 치환율에 따라 복합지반의 강성이 증대하여 침하저감비는 감소하는 형태를 보였다. 특히, 치환율 20~40%의 범위에서는 일반적으로 침하저감비의 증가가 큰 것으로 나타났고, 치환율 40% 이상에서는 증가치가 서서히 감소하는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연약지반과 유사한 지반에 혼합다짐말뚝 적용 시 경제성을 고려하였을 때, 30~40%의 치환율이 적절할 것으로 사료된다.

모형실험에 의한 조립토 다짐말뚝의 하중-침하 관련 거동특성 분석 (Analysis of Load-Settlement Behaviour Characteristics of Granular Compaction Piles from the Model Tests)

  • 김홍택;강윤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5권4호
    • /
    • pp.33-45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조립토 다짐말뚝에 대해 보다 체계적인 실내모형실험을 수행하여, 조립토 다짐말뚝과 인접지반의 하중분담 특성, 말뚝의 길이변화에 따른 지지력 특성, 재하면적의 크기 및 말뚝의 설치간격(인접지반의 치환율) 등이 지지력에 미치는 영향, 또한 군말뚝의 경우 위치별 말뚝의 지지력 특성 등, 궁극적으로 조립토 다짐말뚝의 합리적 설계를 위한 극한지지력 평가시 고려되어야 할 여러 조건하에서의 실험결과에 대한 분석이 수행되었다. 분석결과, 지배적인 파괴형태는 원추형에 가까운 팽창파괴임을 재차 확인하였으며, 재하면적이 커짐에 따라 극한지지력이 증가하는 현상도 확인하였다. 또한 말뚝의 설치간격이 줄어들수록 극한지지력은 증가하며, 설치위치에 따라 극한지지력이 변화하고, 말뚝의 길이가 극한지지력에 미치는 영향은 미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다중회귀분석 및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자갈다짐말뚝 개량지반의 극한 지지력 예측 (Prediction of Ultimate Bearing Capacity of Soft Soils Reinforced by Gravel Compaction Pile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 봉태호;김병일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3권6호
    • /
    • pp.27-36
    • /
    • 2017
  • 자갈다짐말뚝(Gravel Compaction Pile) 공법은 연약지반 개량공법 중의 하나로 육상 및 해상에서 연약 지반을 개량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어 왔다. 자갈다짐말뚝으로 보강된 지반의 극한 지지력은 자갈다짐말뚝 및 지반의 강도, 치환율, 시공조건 등에 영향을 받으며 이를 예측하기 위한 다양한 예측식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기존 예측식을 활용한 극한지지력 예측은 오차율 및 변동성이 매우 크며, 실제 설계에 활용하기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자갈다짐말뚝으로 보강된 지반의 극한 지지력을 예측하기 위하여 현장 재하시험결과를 활용한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단일잔류 교차검증에 따른 예측오차평가를 통하여 가장 효율적인 입력변수를 선정하고 이에 대한 극한 지지력 예측식을 제안하였다. 또한 선정된 입력변수를 활용하여 인공신경망 적용에 따른 극한 지지력 예측오차를 평가하고 이를 기존 예측식에 따른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SCP 및 GCP 개량 점성토지반의 실내재하시험에 대한 극한지지력 산정 방법 개발 (Estimation of Ultimate Bearing Capacity of SCP and GCP Reinforced Clay for Laboratory Load Test Data)

  • 봉태호;김병일;한진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4권6호
    • /
    • pp.37-4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모래다짐말뚝(sand compaction pile, SCP)과 자갈다짐말뚝(gravel compaction pile, GCP)으로 보강된 지반의 극한지지력을 예측할 수 있는 식을 제안하고자 34개의 국내외 실내재하시험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기존의 이론식에 의한 극한지지력 산정 값과 비교하여 기존 이론식의 예측 정도를 파악하였다. 또한 극한 지지력 예측식을 제안하고자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단일잔류 교차검증에 따른 예측오차평가를 통하여 가장 효율적인 입력변수의 수 및 조합을 선정하였다. 최종적으로 SCP와 GCP의 실내재하시험에 대한 극한 지지력을 예측하기 위한 다중회귀식을 제안하였으며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Bottom Ash를 활용한 Chemical Compaction Pile의 주변 지반 개량 특성 평가 (Evalu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Weak Soil Adjacent to Chemical Compaction Pile of Using Bottom Ash)

  • 김상철;박경태;성익현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163-17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개발한 Chemical Compaction Pile(이하 CCP)공법의 연약지반 개량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모형 아크릴 토조와 CCP 전용 토조를 제작하였으며, CCP를 구성하는 주재료인 Bottom Ash, 생석회 및 첨가재의 배합비를 실험변수로 하여 지반의 종류에 따른 함수비, 전단강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지반의 함수비 감소나 강도증진효과는 생석회의 함유량이 많을수록 크게 나타났으며, 지반개량효과도 짧은 시일 내에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지반개량에 따른 전단강도의 증진과 함수비의 변화는 지반의 종류에 따라서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도 개발된 CCP는 충분한 지지력도 확보하고 있어 연약지반개량과 함께 지지말뚝으로써의 기능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단일쇄석말뚝의 지지력 증가효과에 관한 현장실험 연구 (A Study of Field Test on Bearing Capacity Increase Effect of Single Stone Column)

  • 최용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12호
    • /
    • pp.5-11
    • /
    • 2007
  • 국내에서는 조립토를 이용한 연약지반 처리공법 중 모래다짐말뚝공법이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 모래자원의 고갈과 단가상승으로 인해 적용이 제한되고 있어 대체공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육상부 현장에 시험시공된 단일쇄석다짐말뚝에 대한 정재하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시 말뚝의 직경을 700mm로 고정하구 재하판의 면적을 변화시켰으며, 치환율 20, 30, 40%에 대하여 정재하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하여 단일쇄석다짐말뚝의 지지력 증가효과를 평가하였다.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침하량이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치환율이 고려된 단일쇄석다짐말뚝의 항복지지력 공식을 제안하였다.

대형토조시험을 이용한 모래다짐말뚝이 적용된 복합지반의 침하 및 하중전이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e Ground with Sand Compaction Pile(SCP) using Large Soil Box)

  • 김우석;박언상;김재권;김수삼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974-981
    • /
    • 2005
  • Because general laboratory tests for sand compaction pile method including unit-cell test device have fixed outside diameter, as area replacement ratio increase, diameter of sand pile increase. These condition can bring about overestimation of stiffness of composite ground. In addition, existing large soil box which consist of bellows type loading plate can occur serious mistake in checking the amount of drained water because there are additional drainage along the inside wall in device. Overcoming these shortcoming, this paper developed modified large scale soil box consist of piston type load plate. In this study, using this device, series of modified large scale soil box tests were performed, and investigated the settlement and stress transportation characteristics with area replacement ratio in sand compaction pile metho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