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unity movement

검색결과 436건 처리시간 0.027초

ICT 기반 가축 감염병 대응을 위한 커뮤니티 매핑 연구 (A Study on Community Mapping for ICT-Based Livestock Infectious Disease Response)

  • 구지희;편무욱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47-257
    • /
    • 2020
  • 구제역과 같은 가축 전염병은 강한 전염력으로 인해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가축의 전염성 질병은 조기 감지가 매우 중요하나, 개별 농가에서 조기 진단이 어렵고, 수의사나 사료 공급 차량 등의 농장간 이동을 통해서 전파되는 사례도 빈번하다. 본 연구에서는 발병 초기단계에서 유비쿼터스 기반의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여 가축의 체온을 자동으로 모니터링 하여 실시간 전송함으로써 수의사의 농장방문 없이 빠른 진단이 가능하고 추가 확산을 방지하는 기술을 연구하였다. 자동으로 수집된 정보와 연계된 원격진료시스템을 활용하여 농장단위, 지역단위, 국가단위에서 가축전염병을 커뮤니티 매핑 기법을 이용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기술을 제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 참여형 공간정보기술 적용을 위한 각 단계별, 주체별 커뮤니티 매핑 항목을 도출하였다.

공공도서관 관련 교양과목 개발에 관한 연구 - '우리 모두의 장'으로서 공공도서관 알아차리기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beral Arts Subject Related to Public Libraries: Knowing Public Library as a Commons)

  • 한만성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3-57
    • /
    • 2023
  • 연구의 주요 목적은 공공도서관이 가진 '우리 모두의 장(공통장)'의 특성을 최대한 발견한 학습 구성요소 설계 및 대학의 일반교양 과목 요건에 부합하는 교육 내용 구성이다. 공공도서관은 다양한 문해력 향상의 연습장이자, 디지털 공유문화의 체험장, 차별 없는 모두의 학습장, 메이커 운동의 작업장 그리고 지역공동체 형성의 거점으로서 '우리 모두의 장'의 성격을 두루 갖추고 있다. 연구자는 다양한 문해력 이해, 정보활용능력의 정보윤리, 공동체 의식 및 다문화 이해, 공공의식과 협동정신 및 컴퓨터 활용능력, 학제적 지식 및 통합적 안목과 시각 등을 학습 구성요소로 설계하고 '공유문화와 지역도서관'이라는 명칭의 과목을 개설하였다. 이러한 공공도서관 관련 융합 교양 교과는 지역 및 공공성의 위기가 증대되는 상황에서 공공도서관의 가치를 학생들에게 널리 확산하고 실제로다양한 도서관 서비스를 체험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지역도서관의 인지도 및 이용률 향상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된다.

기술사 자격의 국제적 통용성 확보 방안 (A Plan to Secure the International Currency on Korean Professional Engineer)

  • 조정윤
    • 기술사
    • /
    • 제32권3호
    • /
    • pp.92-105
    • /
    • 1999
  • With the advent of the information age and the knowledge-based society, human resource development has become a key factor in determining a nation's competitiveness. And technological qualification systems have a direct and significant influence 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order to guarantee Korea's continued development as a competitive member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t is demanded that a Korean Technology Qualification System (KTQS) is to accept international qualification criteria.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analysis current movements about the international mutual recognition of Professional Engineer and present problems for introducing APEC Engineer System to KTQS, and also recommend reasonable plans which overcome those. Under the WTO/GATS, the liberalization of trade in professional services will steadily increase. APEC activities to facilitate the portability of qualifications is considered complementary to the WTO movement. If the government attempts to introduce the APEC criteria for university degree requirements, university curriculum standards, programs for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s(CPD), and practical, on-site experience. In the standpoints with the recent developments of APEC Engineer agreement on profession qualification, it is important to guarantee that Korean qualifications have a common, international currency. Measures have to be taken to harmonize the qualifications standards for Professional Engineer with those set out by the WTO/GATS movement. Also this will require an increase in the quality of university curriculum and an establishment of CPD. This process will be further enhanced by the organization of APEC Engineer Monitoring committee, Consisting of government officials, professional engineers and university professors. At this committee we can discuss the best strategies to keep our nation's interests.

  • PDF

A Comparative Study on the Self-help Approach in Rural Development between Vietnam's New Rural Development and Korea's Saemaul Undong

  • Do, Trang Thu;Nguyen, Hanh Thi My;Vu, Trang Thu
    • East Asian Economic Review
    • /
    • 제20권1호
    • /
    • pp.91-125
    • /
    • 2016
  • Vietnam's "Doi Moi", initiated in 1986, translated to high economic growth and rapid urbanization for the country, but also widened the gap between rural and urban areas. Vietnam's National Target Program on New Rural Development for 2010-2020 was aimed at developing the rural economy and improving the living standards of rural people, but after five years the urban-rural gap remains substantial. Two of the main reasons are the lack of investment capital and lack of effective ways to mobilize community involvement. In contrast, during the 1970s, rural areas in Korea experienced huge improvements under the "Saemaul Undong" movement. The program's success at promoting sustainable development in Korea's rural areas has inspired rural programs in other developing countries. In this paper, we compare and contrast the two movements to provide explanations for the different results between the two countries. Based on this analysis, and policy implications stemming from it, we recommend resource mobilization strategies to change villagers' attitude and increase their involvement in Vietnam's rural development movement, aligning with the inclusivity principle "people know, people discuss, people do and people check".

When Science Met People Through Education: the Mechanics' Institute Movement in the 19th Century Britain

  • Song, Jin-Woong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41-554
    • /
    • 2012
  • With an emphasis on scientific literary, science education has again became closer to the interests and needs of people and sometimes expands its scope beyond the boundaries of school and the curriculum. Science educators often claim that its historical roots can be traced back to the movements of General Science and Science and Citizenship during the 1920s-40s. This study attempts to re-interpret the historical meanings of the Mechanics' Institute Movement (MIM) from the perspectives of science education. In doing so, this study first introduces the process of the emergence of MIM with a focus on its founder, George Birkbeck, and the Andersonian Institute where evening science classes began to be open to skilled workers. Then the overview of MIM is described, with examples drawn from the London Mechanics' Institute and the Manchester Mechanics' Institute. In discussing science teaching of MIM, the details taken from various mechanics' institutions are examined in terms of why, what, and how to teach sciences. This study argues that the MIM was a unique social phenomenon in which science could respond to the needs of skilled workers through education, providing science learning opportunities which were otherwise unavailable and that the MIM shared many similarities with current practice of science education, moving towards a wider career perspectives, cross-subject, community-based, and informed citizenship.

Watsu 치료가 뇌졸중 이후 성인 편부전마비환자의 근긴장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atsu Therapy on Muscle Tone in Adult Hemiparesis Patient After Stroke)

  • 천승철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46-56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atsu therapy on muscle tone in adult hemiparesis patient after stroke. The subject was a 66 year old patient with left hemiparesis whose self gait was independent with minimal assist. The subject was ambulatory with some degree of limitation and demonstrated a little tremor and asymmetry in the body. A multiple treatment design(A-B-C-B) for a single-subject research was used for this study. The watsu therapy consisted of basic moves, head cradle, underfar leg, near leg cradle in watsu I (transition flow), for 25 minutes, which lasted 12 sessions for a total 21 sessions. A baseline was conducted for a first time and a general ROM exercise was conducted after the first watsu therapy. Tone assessment scale was tested : 1. posturing at rest 2. response to passive movement 3. associated reaction Comparing to the baseline and general ROM exercis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watsu therapy had some positive effects on improvement of three tests and there was a more positive effects of both response to passive movement and associated reaction.

  • PDF

민간 아카이브의 구축과 관리: 느티나무도서관의 사례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Private Archives: The Case of Neutinamu Library)

  • 최진선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67-173
    • /
    • 2020
  • 이 글은 용인 수지에 위치한 느티나무도서관의 아카이브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쓰여졌다. 느티나무도서관은 2000년 개관 이후 지역 커뮤니티의 거점 역할을 해오고 있다. 대외적으로는 민간 도서관운동의 맥을 이어오고 있으며, 도서관문화 발전을 위해 2003년 느티나무도서관재단을 설립하여 여러 기관들과 협력사업을 펼치고 있다. 이렇듯 다양한 교류와 활동으로 느티나무도서관은 많은 자료들을 생산, 수집하게 되었고. 지금까지 모여진 생산 기록과 수집 기록들이 활용될 수 있도록 2013년 아카이브를 구축하였다. 이 글을 통해 느티나무도서관의 아카이브 조성 과정과 관리 현황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크리티컬 패션에 관한 고찰 (What is Critical Fashion?)

  • 정정희;임은혁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40-551
    • /
    • 2019
  • This study analyzes a new fashion phenomenon for critical fashion. Critical fashion is a message-centered fashion that delivers consciousness and sociocultural issues for contemporary society. The research method for this study combined literature reviews and case studies along with a research scope, that reviewed aspects of critical fashion through works, presentations, and images of collections, various media, and joint projects from the 2000s to the present day. This study indicates that critical fashion exhibits a conceptual pattern that metaphorically expresses the message of designers' perspectives on society and the fashion system. Critical fashion designers' socially critical messages began to emerge in avant-garde fashion influenced by avant-garde art movement that then developed into a conceptual fashion heavily influenced by conceptual art movement before it evolves into concepts of critical fashion. Critical fashion has been influenced by community-oriented critical art, which signifies that the characteristic of criticism of an art system is expressed through the language of fashion. In conclusion, critical fashion resists the idea of the integration of a cultural industry whose homogeneity is continuously collapsing the differences for the purpose of consumption and challenges to the established fashion system.

기후변화 완화 활동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그린스타트 운동을 중심으로 - (A Study for Activation Measure of Climate Change Mitigation Movement - A Case Study of Green Start Movement -)

  • 조성흠;이상훈;문태훈;최봉석;박나현;전의찬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95-107
    • /
    • 2014
  • '그린스타트(Green Start) 운동'은 '녹색성장을 통한 저탄소사회 구현(Low Carbon, Green Korea)'를 위하여 가정, 상업, 수송 등 비산업부문에서 온실가스를 효율적으로 줄여 나가는 녹색생활실천 운동이다. '저탄소 녹색성장'을 국가 비전으로 제시한 이명박 정부가 끝나고, 새로운 정부가 출범하면서 지난 5년간의 그린스타트 운동에 대한 평가와 더불어 지속가능하고 안정적인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녹색생활실천 운동의 방향 수립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공무원, 환경 NGO, 비환경 NGO, 그린스타트 운동 참여단체, 전문가 등 총 265명을 대상으로 그린스타트 운동의 성과와 향후 개선방향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 그린스타트 운동의 인지도는 높아지고 있으며, 그린스타트 운동이 녹색생활을 위한 개인의 행태와 집합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의견이 많았다. 다만 그린스타트 운동이 주요 환경운동단체와 결합되지 못하고 있으며, 기후변화 대응 운동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그린스타트 운동을 강화하여야 할 필요가 있고, 그린스타트전국네트워크1) 사무국은 정부와 환경시민사회와의 교두보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그린스타트 운동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그린스타트전국네트워크의 자율성을 강화하고, 거버넌스를 재편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속적으로 지역 특성에 맞는 온실가스 감축 활동을 지원하여야 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지역 활동 중 온실가스 감축 우수사례를 발굴하고 공유함으로써 실질적인 온실가스 감축 활동이 저변에 확산되도록 하여야 한다.

상상연습과 과제활동 병행 치료가 관념운동 실행증 환자의 상지 움직임 속도와 정확성에 미치는 효과: 단일사례 실험연구 (The Effect of Mental Practice with Task Activities on Upper Limbs Movement Speed and Accuracy of Ideomotor Apraxia Patients : Single 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 이재홍;장종식;이재신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1-22
    • /
    • 2014
  • 목적 : 본 연구는 상상연습과 과제활동을 병행한 중재방법을 통하여 관념운동 실행증 환자의 상지 움직임 속도와 정확성에 어떠한 효과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대전 소재한 재활전문 요양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뇌졸중 환자 2명을 대상으로 상상연습과 과제활동을 1주일에 5회기씩 총 20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중재 전 후 실행증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Ideomotor apraxia test를 시행하였고, 상지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MFT를 사용하였다. 상지 움직임 속도와 정확성은 시각적 그래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대상자 모두 실행증 증상의 감소를 보였으나, 상지기능에는 눈에 띄는 변화는 없었다. 과제수행 총 수행시간은 376.67초에서 355.24초, 434.60초에서 391.33초로 감소했다. 과제수행 마지막 컵을 내려놓는 시간은 15.67초에서 13.30초, 20.80초에서 10.73초로 감소하였다. 옮긴 물의 양은 52.38ml에서 49.70ml, 50.89ml에서 50.09ml로 모두 50ml에 가까워지는 결과를 보였다. 결론 : 상상연습과 과제활동을 병행한 중재방법은 실행증 증상을 감소시켰으며, 상지 움직임의 속도와 정확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관념운동 실행증 환자에게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중재방법으로 여겨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