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연습과 과제활동 병행 치료가 관념운동 실행증 환자의 상지 움직임 속도와 정확성에 미치는 효과: 단일사례 실험연구

The Effect of Mental Practice with Task Activities on Upper Limbs Movement Speed and Accuracy of Ideomotor Apraxia Patients : Single 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 이재홍 (사회복지법인 청목복지재단 믿음의집) ;
  • 장종식 (극동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 이재신 (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Lee, Jae-Hong (Belief's House, Social Welfare Corporation Cheongmok Welfare Foundation) ;
  • Jang, Jong-Sik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Far East University) ;
  • Lee, Jae-Shi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onyang University)
  • 투고 : 2014.10.09
  • 심사 : 2014.11.24
  • 발행 : 2014.11.30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상상연습과 과제활동을 병행한 중재방법을 통하여 관념운동 실행증 환자의 상지 움직임 속도와 정확성에 어떠한 효과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대전 소재한 재활전문 요양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뇌졸중 환자 2명을 대상으로 상상연습과 과제활동을 1주일에 5회기씩 총 20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중재 전 후 실행증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Ideomotor apraxia test를 시행하였고, 상지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MFT를 사용하였다. 상지 움직임 속도와 정확성은 시각적 그래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대상자 모두 실행증 증상의 감소를 보였으나, 상지기능에는 눈에 띄는 변화는 없었다. 과제수행 총 수행시간은 376.67초에서 355.24초, 434.60초에서 391.33초로 감소했다. 과제수행 마지막 컵을 내려놓는 시간은 15.67초에서 13.30초, 20.80초에서 10.73초로 감소하였다. 옮긴 물의 양은 52.38ml에서 49.70ml, 50.89ml에서 50.09ml로 모두 50ml에 가까워지는 결과를 보였다. 결론 : 상상연습과 과제활동을 병행한 중재방법은 실행증 증상을 감소시켰으며, 상지 움직임의 속도와 정확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관념운동 실행증 환자에게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중재방법으로 여겨진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ntal practice with task activities through upper limbs movement speed and accuracy in ideomotor apraxia patient. Methods : As a 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 with multiple baseline across individuals, the patients were two ideomotor apraxia patients, employed in this study. The employed program included receiving mental practice and task activities, measuring change of the total performance times, time to put down the last cups and amount of water in cups for 4 weeks, including baseline and intervention periods. The subject were measured by Ideomotor apraxia test and MFT were analyzed. The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visually and two-standard deviation band method. Results : All subjects were a reduction in symptoms of apraxia, but noticeable change in upper limbs function was not there. Total time of performance from 376.67 to 355.24 seconds, 391.33 seconds to 434.60 seconds, reduced. Put down the cup of performance time from 15.67 to 13.30 seconds, 20.80 seconds to 10.73 seconds, reduced. The amount of water transferred from 52.38ml to 49.70ml, 50.89ml to 50.09ml, all results were closer to 50ml. Conclusion : As a result of this study, mental practice with task activities can be an effective method to ideomotor apraxia patients. This study would serve a fundamental data on ideomotor apraxia patients to the further studi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