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gnitive competency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7초

온라인 원격수업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학습 실재감과 자기주도학습역량이 전공교과목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learning presence and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on learning satisfaction in major subjects for online distance learning)

  • 전해옥;안경주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81-391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learning presence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nursing students' learn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online learning method.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67 nursing students attending three universities in different citi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16 to July 23, 2021, via an online self-reported questionnaire. Using SPSS WIN 27.0,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most effective online learning method experienced by nursing students was asynchronous online learning according to 58.2% of the respondents, while 30.3% of the respondents answered synchronous online learning. The main merit of asynchronous online learning was that it was possible to listen repeatedly (61.7%) to lectures, and the top advantage of synchronous online learning was that the location of the class was free (53.3%). In asynchronous online learning,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ed nursing students' learning satisfaction were cognitive presence (𝛽=.60, p<.001) and emotional presence (𝛽=.25, p<.001). These variables accounted for 56% of their learning satisfaction (F=54.12, p<.001). Similarly, cognitive presence (𝛽=.64, p<.001) and emotional presence (𝛽=.21, p=.001) in synchronous online learning, were the factors cited for significantly affecting learning satisfaction. The explanatory power was 62% (F=69.19, p<.001). Conclusions: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cognitive and social presence from the learning presence factors in both asynchronous and synchronous online learning influence and enhance nursing students' learning satisfaction. Therefore, these results provide important data for future online class design in nursing education.

작업치료사의 인지재활 직무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국내 대학 작업치료(학)과 교수자를 중심으로 (The Analysis of Professional Education Needs for the Competencies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Cognitive Rehabilitation: Focusing on the Professors in Occupational Therapy Departments of Universities/Colleges in Korea)

  • 홍승표;이희령;한대성;주유미;김영근
    • 재활치료과학
    • /
    • 제12권3호
    • /
    • pp.45-59
    • /
    • 2023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의 작업치료(학)과에서 시행하고 있는 인지재활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인지재활 관련 주요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전국의 작업치료 전공 대학의 교수를 대상으로 인지재활 교육 현황에 대한 설문지를 배포하여 조사하였다. 설문지는 선행연구의 국내 인지재활 작업치료 전문가 델파이 조사 결과 중 전문역량과 관련된 항목을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전국 총 62개 대학 중 32개(51.6%) 대학의 39명의 교수진의 응답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설문 분석은 엑셀 2010과 SPSS 18.0을 사용하여 인지재활 관련 전문역량에 대한 Borich 요구도와 Locus for focus 모형을 통한 교육의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결과 : 인지재활 관련 주요 역량별 Borich 요구도에 따른 우선순위를 조사한 결과 '인지문제를 작업수행 관점으로 설명하는 임상적 추론 능력', '인지재활 관련 수가 청구 관련 관리 능력', '결과평가에 따른 인지재활 계획 수립 능력', '작업중심 인지중재 수행 능력', '인지재활 평가 및 중재 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Locus for focus 모형에서는 작업수행에 기초한 인지재활 평가와 중재, 기록 작성 등의 항목들이 교육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작업치료(학)과에서 인지재활 교육의 현황을 인지하여 교육과 교과에 교육내용과 역량을 반영하고, 대학 졸업 후 지속되어야 하는 인지재활 전문가 교육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STEAM R&E를 통한 고등학생의 창의적 인재 역량 변화 (Changes in High School Students' Creative Leader Competency through STEAM R&E)

  • 문공주;문지영;황요한;김성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825-833
    • /
    • 2017
  • 우리나라 교육부는 미래 과학기술 발전을 주도할 창의적이고 융합적 역량을 갖춘 인재 융성을 강조하고 있다. 융합인재교육(STEAM)은 학생들의 과학기술에 대한 흥미와 이해를 높이고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STEAM R&E는 실생활과 관련된 융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생이 자기 주도적으로 연구 설계를 함으로써 미래 인재 역량을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STEAM R&E 프로젝트를 수행한 뒤 고등학생의 창의적 인재 역량이 변화하였는지를 탐색하였다. 창의적 인재 역량 검사는 인지적, 정의적, 사회적 영역으로 구성되며, 검사지는 각 영역별로 해당 요소를 측정하는 리커트 스케일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이에 2016 STEAM R&E에 참여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창의적 인재 역량 변화를 정량적으로 살펴보았고, 과학고등학교와 영재학교, 과학중점학교, 일반계 고등학교 간의 변화 차이를 비교해보았다. 연구 결과, STEAM R&E 프로젝트를 통해 전체 학생의 창의적 인재 역량이 세가지 영역 모두 향상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과학고등학교와 영재학교 학생들은 사전-사후검사 결과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과학중점학교와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의 창의적 인재 역량이 유의미하게 향상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STEAM R&E 활동이 일반고와 과학중점학교 학생들의 창의적 인재 역량의 함양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었으며, 학생들의 창의적 인재 역량이 어떻게 성장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적 탐구가 후속연구로 진행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과학 읽기 자료를 이용한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과학 수업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for Competency Instruction Strategy Using Science Reading Text on Elementary Sch ool Students' Science Reading Ability)

  • 박지훈;전재경;이수진;남정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4호
    • /
    • pp.642-657
    • /
    • 2022
  • 이 연구는 과학 읽기 자료를 이용한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과학 수업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5학년으로 실험집단은 과학 읽기 자료를 이용한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과학 수업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교과서에 바탕을 둔 과학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과학 읽기 능력 검사지, 모둠별 논의과정 녹음본과 수업 녹화본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읽기 자료를 이용한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과학 수업은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읽기 능력의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과학 읽기 능력 검사 결과, 총점 및 3개 하위 요소 모두에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높은 수준의 인지 과정에 속하는 '성찰 및 평가'와 '통합 및 해석'이 큰 비율로 증가하였다. 학생들은 이 수업에서 교사가 제시한 자료를 읽고 읽은 내용을 바탕으로 논의에 참여하며, 읽은 내용과 읽기 과정에 대한 반성을 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학생들의 과학 읽기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A proposed cultural competence training program for nurses based on their transcultural self-efficacy

  • Jin, Ju-hyun;Cleofas, Jerome V.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6권2호
    • /
    • pp.86-99
    • /
    • 2018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mographic profiles of 260 staff nurses in the SPC Health Care Ministry Hospitals and their Transcultural Self-Efficacy (TSE) level on the Cognitive, Practical and Affective dimensions. To obtain the result, among the nine (9) demographic profile items, three (3) common positive predictors were considered, namely, 1) Educational attainment level; 2) Age; and 3) Willingness to work abroad in all three dimensions. While in the Practical and Affective dimensions, the number of years employed were a common negative predictor and in the Affective dimension, Gender of participants was added as the positive predictor. Therefore, there are some significan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influence to the transcultural self-efficacy. Furth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diagnostic study, the researcher designed the One (1) year Cultural Competence Training Program for staff nurses. For future research, the researcher recommended to conduct a further study that will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by approaching a longitudinal study form administering the test and retest of TSET.

융합지향 조직 구축을 위한 융합인재 측정 도구 개발 (Developing an Instruments to Measure the Convergence Talent: Building Convergence-oriented Organizations in South Korea)

  • 이서영;권상집
    • 지식경영연구
    • /
    • 제20권1호
    • /
    • pp.77-99
    • /
    • 2019
  • This study aims to examin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convergence talent measurement. Based on the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on convergence and convergence talent, we draw 4 main competencies (convergence cognitive, accomplishment, problem solving, and attitude) and 10 critical aspects (creative thinking, critical thinking, cooperation,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knowledge accessibility, resource utilization, trust, openness, caring) for building an effective convergence-oriented organization. A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 survey were conducted for the analysis to investigate the convergence talent scale. With a data of 151 employees in diverse companies, the results show that the factors demonstrated acceptable levels of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empirical evidences of our study are 10 key aspects comprising four main dimensions which suggest an available scale for measuring the convergent talent for enhancing convergence-oriented organizations. Our research contributes to the expansion of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on convergence, especially in convergence-oriented organizations.

개인의 모바일 정보격차가 모바일 인터넷의 인지적 가치 차이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 Analysis on the Impact of the Mobile Digital Divide on the Cognitive Value of the Mobile Internet)

  • 김태환;이상용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9권2호
    • /
    • pp.159-183
    • /
    • 2017
  •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해 모바일 인터넷의 사용량이 급격하게 증가되어 왔지만, 기존의 유선 인터넷에서 발견되었던 정보격차의 현상이 모바일 인터넷 환경에서는 어떠한 방식으로 진화하였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진행되지 않았다. 과거 정보격차 연구에서는 주로 이용자들의 이용 환경만을 고려하여 통계적인 방법으로 접근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들의 이용 환경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인지적 가치를 함께 고려하여 정보격차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인터넷 환경에서 이용자들의 인지적 가치를 직접 설문하여 조건부가치측정법(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을 통해 추정하였고, 이러한 가치의 차이를 발생시키는 정보격차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이용자들은 모바일 인터넷에 대해 월간 51,723원 만큼의 가치를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기존 선행연구를 통해 정보격차 요인을 접근성, 역량성 및 활용성으로 분리하여 가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접근성으로 인해 31,878원의 차이가 발생되었고, 역량성은 7,736원, 활용성은 6,463원의 가치 차이를 일으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접근성은 현재 국내 모바일 인터넷 환경에서 이용자의 인지적 가치 차이를 가장 크게 만드는 정보격차 요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Challenges of Providing Cervical Cancer Prevention Programs In Iran: A Qualitative Study

  • Bayrami, Roghieh;Taghipour, Ali;Ebrahimipour, Hosse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3호
    • /
    • pp.10071-10077
    • /
    • 2015
  • Background: Cervical cancer has become a major public health problem worldwide. Iran, like other developing countries, is facing a number of challenges in managing the disease. This qualitative study documents challenges encountered in cervical cancer preventing programs in Iran. Materials and Method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8 participants including eleven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three gynecologic oncologists, five specialists in Obstetrics and Gynecology, five midwives, three health care managers and one epidemiologist in Mashhad Iran, between May and December of 2012. The sample was selected purposively until data saturation was achieved. Data credibility verified via allocated sufficient time for data collection, using member checking and peer debriefing. Data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conventional content analysis approach with ATLAS. ti software. Results: Findings from data analysis demonstrated 2 major themes and 6 categories about challenges of providing cervical cancer prevention programs including: individual and social challenges (cognitive/behavioral challenges and socio/cultural challenges) and health system challenges (stewardship, financing, competency of health care providers and access to services). Each category included some subcategories. Conclusions: Managing the cervical cancer prevention programs need to include the consideration of individuals, health care providers and health system challenges. Addressing the low level of knowledge, negative attitudes, socio cultural challenges, Poor intersectional collaboration and coordination and intra-sectional management, financing and competency of health care providers are essential steps toward significantly reducing the burdens of cervical cancer.

일대다 튜토링 수학 협동학습이 고등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ne-to-Many Tutoring Mathematics Cooperative Learning o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of High School Students)

  • 유기종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4권2호
    • /
    • pp.161-177
    • /
    • 2020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구성하고, 일대다(一對多) 튜토링 협동학습을 실시하였다. 집단 간 점수 차이와 집단별 사전·사후 점수 차이에 대한 유의성 검증은 비모수 통계기법을 사용하였으며,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을 살펴보기 위하여 개방형 설문조사 2회와 개별 면담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세 집단의 사전·사후 수학 점수 차이 검증 결과는 실험집단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학생교사는 일반학생을 가르치는 동안 자신을 성찰하고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으며, 일반학생은 학생교사에게 도움을 받음으로써 수업에 대한 재미와 관심을 더 두게 되고 자신감이 향상되었다. 수학 교과 역량 측면은 의사소통, 문제해결, 추론, 태도 및 실천 역량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교 식생활교육에서 지속가능 식생활 역량 함양을 위한 포용적 식생활교육의 방향 (Developing Inclusive Nutrition Education Direction for Sustainable Dietary Competency in Elementary Schools)

  • 김현주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73-88
    • /
    • 2023
  • 우리나라 식생활교육은 2009년 식생활교육지원법이 제정되면서 건강, 환경, 배려를 핵심 가치로 삼아 변화되기 시작하였으며, 제3차 식생활교육 기본 계획(2020년-2024년)에서는 지속가능한 식생활로 함께 하는 농업, 건강한 국민, 포용하는 사회 실현을 비전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의 디지털 문명은 학교 식생활교육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학교 식생활교육에서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내용을 살펴보고,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교육의 디지털 전환에 직면한 식생활교육 현상을 진단하고, 지속가능한 식생활 역량 함양을 위하여 포용적 식생활교육 구조와 내용 체계의 구체성을 통해 포용적 식생활교육의 방향을 탐색하였다. 포용적 식생활교육을 위해서는 인지적 학습, 정의적 학습, 실천적 학습이 포용적 방식으로 융합될 수 있는 구조와 체계가 필요하며,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학습자 핵심 역량 함양에 중점을 두는 포용적 식생활교육의 방향에서 그 대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