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ss 2 malocclusion

검색결과 494건 처리시간 0.032초

상악 열성장형 전치부 반대교합 아동에 있어서의 상악 치아 성숙도 (THE DENTAL MATURATION OF MAXILLA IN CHILDREN WITH ANTERIOR CROSSBITE OF MAXILLARY UNDERGROWTH TYPE)

  • 안울진;노홍석;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19-128
    • /
    • 2011
  • 초기 혼합치열기 어린이의 전치부 반대교합 평가과정에서는 부정교합의 골격적 특성이 강할수록 상악 치아의 맹출 및 형성이 현격히 지연되는 것이 흔히 감지되었다. 만일 두개안면부의 전후방적 골격적 특성이 치아의 성숙도와 연관성을 가진다면, 치아의 발육과 맹출에 대한 평가가 반대교합의 조기 감별진단의 한 도구로써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초기 혼합치열기의 상악 열성장형 반대교합 아동에 있어서 상악의 치아 석회화도와 맹출률, 그리고 측두방사선규격사진 분석을 통한 수종의 계측치 간 연관성을 규명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부산대학교치과병원 소아치과에 교정적 목적으로 내원한 Hellman 치령IIA IIC 아동 중, 전치부 반대교합을 보이는 III급 부정교합 증례로부터 상악 열성장군과 상악 정상군 각 50례를 무작위 추출하여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측두방사선 규격사진과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을 이용하여 각 군의 골격적 양상, 상하악 치아의 석회화도와 맹출률을 구하고 그 차이와 상관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양 군의 상악 치아 성숙도 비교에 있어서 상악 열성장군의 제 1대구치만 석회화도와 맹출률 이 낮게 나타났다(p<0.05). 2. 역령은 상악 치아의 석회화도와 맹출률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3. 상하악의 전후방적 악골 관계중 Wits는 상악 제 1대구치의 석회화도와 맹출률 모두를, SNA는 맹출률을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로 나타났다(p<0.05).

하악전돌증환자에서 하악지시상분할골절단술 후 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한 근심골편의 횡적인 변화에 관한 연구 (TRANSVERSE CHANGE OF THE PROXIMAL SEGMENT AFTER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IN MANDIBULAR PROGNATHISM USING COMPUTED TOMOGRAPHY)

  • 김영준;국민석;박홍주;;오희균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0권3호
    • /
    • pp.232-240
    • /
    • 2008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ransverse changes of proximal segment after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BSSRO) using 3-D CT in mandibular prognathism. Patients and methods: Twenty-two patients who underwent BSSRO for mandibular set-back in class III malocclusion without facial asymmetry were examined. Miniplates were used for the fixation after BSSRO. Facial CT was taken before and after BSSRO within 3 months. Frontal-ramal inclination (FRI), inter-gonial width (IGW) and intercondylar width (ICW) were measured in 3-D CT images using V-works $4.0^{TM}$ program. Student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changes between pre- and post-operative measurements using SPSS 10.0 program. Results: 1. Mean peroperative FRI value ($12.87{\pm}3.43^{\circ}$) was slightly increased to postoperative value ($14.13{\pm}3.72^{\circ}$) (p < 0.05). The average FRI increased 10.42% and the range was from $-2.46^{\circ}$ to $3.34^{\circ}$. 2. Mean peroperative IGW ($99.01{\pm}5.36$) was slightly decreased to postoperative IGW ($96.51{\pm}5.88mm$) (p < 0.05). The average IGW decreased 2.52 % and the range was from $-6.61^{\circ}$ to 0.91 mm. 3. Mean preoperative ICW ($125.01{\pm}5.30mm$) was slightly decreased to postoperative ICW ($125.40{\pm}5.45mm$) (p < 0.05).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operative ICW. 4.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ship between FRI difference and IGW difference (p < 0.05).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lower ramus of the proximal segment is moved inward after BSSRO procedure for mandibular set-back.

하악 전돌증 환자의 하악지 시상 골절단술후 경조직 변화에 따른 안모 연조직 변화 분석 (ANALYSIS OF FACIAL SOFT-TISSUE CHANGES AFTER MANDIBULAR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 박희대;권대근;이상한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8권1호
    • /
    • pp.87-108
    • /
    • 1996
  • 본원에서 하악지시상골 절단술을 시행한 하악전돌증 환자 29명 (남자 12명, 여자 17명)을 대상으로 수술전, 수술후, 장기관찰기간동안 경조직과 연조직 변화를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술후 하악은 반시계방향회전하면서 후방이동 하였으며 장기관찰시 B와 Pog에서 1.23mm, 1.28mm의 재발을 보였다. 이는 술후의 하악이동에 따른 순수한 효과(Net effect)가 81.7%, 82.2% 라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재발로 인하여 수술의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술전 치료계획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할 수 있다. 2. 하악 경조직의 수평변화에 대한 하악 연조직의 변화비율은 하순구에서 100%, 이부에서 99.1-102.1% 로 나타났으며 하순의 경우 72.7-93.7% 로 나타났으며 상순의 경우 하악 전치 이동량의 5.7% 정도 후방 이동하게 되지만 통계적 상관관계는 미약했으나. 수직적으로 8.3-9.6% 정도 유의한 하방이동양상을 보였다. 3. 술수 상순과 하순의 관계가 개선되어 심미선에 대하여 상순(Ls)은 상대적으로 동출하고 하순(Li)은 후방이동하였으며, 상순구가 얕아지고 하순구가 깊어졌으며, 비순각이 개선되어 전반적 안모가 개선되었으나 턱부위의 전돌은 수술후에도 약간 남아있었다. 4. 하악 연조직점을 종속변수로, 하악 경조직점을 독립변수로한 회귀분석에서 경조직 변화와 연조직 변화 사이의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여도 이를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연조직 두께와 수평이동사이에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 PDF

치조열 환자의 골이식에 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n Bone Grafting of Alveolar Clefts)

  • 유선열;소광섭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0권3호
    • /
    • pp.256-262
    • /
    • 1998
  • 치조열 환자의 골이식과 관련된 치료계획 수립과 골이식재, 골이식 시기, 교정치료 시기 등 치료방법의 선택에 도움을 주는 자료로 삼고자, 1992년 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구강악안면외과에서 골이식술을 시행한 치조열 환자중 추적검사가 가능한 31명을 대상으로 골이식술과 관련된 여러 가지 항목들과 술후 치조열부의 변연골 높이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별 분포는 남성(64.5%)이 여성(35.5%)보다 많았고, 남녀성비는 1.8 : 1이었다. 골이식시 연령은 이차 골이식기에 해당하는 6세에서 16세 사이(58.1%)가 많았고, 연령의 범위는 2세부터 33세까지였으며 평균연령은 11세였다. 치조열의 분류에 따른 분포는 편측성(93.5%)이 대부분이었고 그중 좌측(74.2%)이 많았다. 결손치로는 측절치가 많았고 과잉치는 측절치와 견치 사이에서 많이 관찰되었다. 술전 교합상태는 III급 부정교합 및 전치부 교차교합(65.1%)이 가장 많았고, 교정치료는 술전과 술후에 비슷하게 시행되었다. 골이식시 동시 시행한 수술로는 이차 구순수 정술이 가장 많았고, 술후 합병증으로는 골결손이 6례, 구비루가 1례, 열개가 3례 발생되었다. 골이식재로는 PMCB와 DFDB가 사용되었고 술후 변연골의 높이는 PMCB를 이식한 경우에 DFDB를 이식한 경우보다 높았으며, PMCB를 이식한 경우에는 변연골의 높이가 증가되었으나 DFDB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 PDF

악교정 수술시 교합평면의 차이에 따른 술후 안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TOPERATIVE STABILITY OF OCCLUSAL PLANE IN ORTHOGNATHIC SURGERY PATIENTS DEFENDING ON THE DIFFERENCE OF OCCLUSAL PLANE)

  • 황충주;임선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37-253
    • /
    • 1998
  • 골격성 제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성장조절이나 절충치료로 해결하기 어려운 경우 악교정 수술을 시행하게 되며, 이러한 환자의 대부분이 최대의 효과를 얻기 위해 상하악 동시 수술이 필요하다. 이러한 양악 수술에서, 교합평면의 설정은 진단 및 치료에 매우 중요한 기준이 되어지며, 바람직한 기능 및 심미적인 결과와 술후 안정성을 얻을수 있도록 계획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양악 수술을 시행받은 골격성 제 III급 부정교합 환자 48명 (남자25명 여자23명, 평균 연령 21.5세)을 대상으로 하여 교합평면의 설정에 사용되어지는 몇가지 진단 기준중,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는 Delaire의 구조적, 구성적 분석에 의한 각 개인의 이상적인 교합평면의 술후 안정성에 대해서 평가하고자 이상적인 교합평면에 부합되게 수술이 시행된 군(A군-24명)과 이 평면에서 벗어난 군(B군-24명)으로 나누어, 수술 직전($T_1$)과 수술 직후($T_2$-평균 4.3일), 수술 8개월 이상 경과 후($T_3$-평균 1년 3개월)에 두군의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1. 양악 수술 후 $T_2와\;T_3$시기의 유의차를 보인 값은 교합평면과 하악평면이 이루는 각 이었으며 그외의 교합평면의 경사도에선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교합평면의 술후 재발량은 SN평면과, FH평면에 대해서 각각 $0.24^{\circ}{\pm}2.43{\circ},\;0.15{\circ}{\pm}2.16{\circ}$로 양악 수술 후 교합평면의 안정성은 유지되었다. 2. A군과 B군사이에서 교합평면의 안정성에는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3. A군및 B군내에서 교합평면의 안정성은 술자 및 수술방법에 따라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술후 교합평면의 변화($T_3-T_2$)는 술후의 치아에 의한 변화 보다는 악골의 변화($T_3-T_2$)와 높은 순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하악골의 변화와 높은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5. 술후 교합평면의 변화($T_3-T_2$)는 수술에 의한 상악골의 impaction양, 하악골의 후퇴량($T_2-T_1$)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 PDF

수직적 안모 형태에 따른 상악골 전방 견인 장치의 효과 비교 (The effects of maxillary protraction appliance (MPA) depending on vertical facial patterns)

  • 유영규;이기준;오창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413-424
    • /
    • 2002
  • 성장기 아동에서 상악골 열성장을 보이는 제III급 부정교합은 상악골 전방 견인 장치의 적응증이 된다. 상악골 전방 견인장치의 바람직한 효과는 상악골의 전방 이동이지만, 실제로는 상악 치아의 전방 이동, 하악골의 후하방 회전, 하악 전치의 설측 이동 등의 복합적인 결과로 III급 관계가 개선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수직적 안모 유형별로는 상악골 전방 견인 장치의 효과에 대한 차이는 잘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는 1998년-2000년 사이에 연세대학교 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환자들 중 초진시 나이는 6세 6개월에서 13세 3개월 사이의 상악골 열성장을 동반한 제 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된 67명 (남 36, 여 31)을 대상으로, 안모유형별로 SNMP군과 Gonial angle군에서 low, average, high로 세부군을 나누어 치료전 측모 두부방사선 규격사진을 통해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의 효과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NMP군의 low angle에서 B point의 후방이동량이 많았으며, High angle에서는 A point의 전방이동량이 컸다. 2) Genial angle군의 low angle에서 A point의 전방이동양이 가장 적었으며, high angle에서는 A point의 전방이동량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3) A point에 대한 arcTan를 구한 결과 A point의 이동 각도는 장안모 군에서 더 수평적인 이동 양상을 보였고, 단안모 군에서는 수직적 이동양상이 강했다. 4) SNMP군과 Gonial angle의 세부군에서 치료기간별 유의성은 없었다.

안정골구조물 중첩법(stable structural superimposition method)을 사용해야 하는 합리적 근거 및 그 중첩방법의 소개 (Logic for the use of stable structural superimposition method and introduction of its application)

  • 전윤식;황충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669-682
    • /
    • 1997
  • [$Bj\ddot{o}rk$]와 Skieller는 상, 하악골에 임플란트를 매식하여 안면골 성장유형을 관찰한 결과 성장으로 인하여 영향을 받지 않는 안정된 골구조물(stable structure)의 존재를 확인했고 성장중에 있는 환자의 안면골을 중첩할 때에는 반드시 이러한 부위를 기준으로 중첩해야 한다고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40여년이 흐른 지금까지 대부분의 교정의들은 안정골구조물을 이용한 중첩법(structural method) 보다는 최적중첩법(best fit method)을 선호하고 있다. 그러나 Angle씨 부정교합 II급 2류의 하악골과 같이 특징적으로 전상방 성장을 하는 골격구조를 갖는 증례와, 치료 후 장기관찰 증례에서는 두 중첩법 사이에 현저한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부인할 수는 없다. 이제는 윤리적인 문제때문에 더이상 임플란트를 매식하여 관찰하는 연구를 할 수 없게 되어 $Bj\ddot{o}rk$가 연구해왔던 임플란트 자료를 근거로 안정골구조물 중첩법을 사용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안정골구조물 중첩법의 실용화를 위하여 본 저자들은 안정골구조물 중첩법의 합리적 근거를 제시하고 중첩방법을 자세히 소개하고자 한다.

  • PDF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에서 수직적 안모형태에 따른 혀와 설골의 위치 비교 (A study on the position of tongue and hyoid bone in relation to vertical facial patterns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우광수;윤정현;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79-589
    • /
    • 2000
  • 혀와 설골의 위치가 안모형태와 어떤 양태로 상관성을 갖는지 비교평가하기 위해 69명의 성인군과 63명의 성장군에서 두부방사선계측사진을 얻었다. 성인군과 성장군에서 SN평면에 대해 큰 하악평면각을 갖는 군과 작은 하악평면각을 갖는 군으로 구분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혀의 높이는, 큰 하악평면각을 갖는 군보다는 작은 하악평면각을 갖는 군에서, 성인군보다는 성장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2. 설골의 수직적 높이는 큰 하악평면각을 갖는 군보다는 작은 하악평면각을 갖는 군에서, 성인군보다는 성장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3. 연령과 안모형태의 수직적 분류에 따른 설골의 전후방적인 위치는 차이가 없었다. 4. 두개저에 대한 설골의 기울기에 있어, 성인군보다 성장군에서 좀 더 가파른 경사도를 갖고 있었다.

  • PDF

Gonial Angle의 단순 회귀 모델: 파노라마 영상과 측모두부 영상간의 비교 (The Simple Regression Model of Gonial Angles : Comparison between Panoramic Radiographs and Lateral Cephalograms)

  • 박성희;김영재;이상훈;김종철;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29-13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파노라마 영상과 측모두부 영상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계측치를 확인하고, 그 관계를 수식화하는 것이다. 99명의 3급 부정교합 환자의 파노라마 영상과 측모두부 영상에서 gonial angle, 하악지 높이, 하악중절치에서 하악하연까지의 길이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측정된 수치는 각각 대응 표본 T검증, Pearson's 상관관계 검정, 회귀 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측모두부 영상에서의 gonial angle 평균값은 $127.50^{\circ}$, 파노라마 영상에서의 값은 $125.49^{\circ}$, 상관계수는 0.945(p < 0.001)로 나타났으며, 상관관계는 '측모두부 영상의 gonial angle = 0.920 ${\times}$ 파노라마 영상의 gonial angle + 12.072'로 나타낼 수 있다. 다른 계측치들 간의 상관관계는 gonial angle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Gonial angle은 파노라마 영상과 측모두부 영상에서 모두 재현성 있게 측정 가능하며,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파노라마 영상 또한 측모두부 영상과 같이 환자의 수직성장패턴을 평가하는데 도움을 주는 방법이다.

이모장치의 적응증에 관한 후향적 고촬 (THE RETROSPECTIVE STUDY ON THE INDICATION OF THE CHIN CAP THERAPY)

  • 양원식;김병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2
    • /
    • 1995
  • 본 연구는 초진시의 골격형태로부터 이모장치에 대한 반응성을 예측하는 지표를 구하여 III급부정교합환자의 조기 치료를 결정할 때 고려할 수 있는 기준를 마련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성장기의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아동 4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을 영구치열완성 이후의 교합의 안정성과 최대성장기 이후의 안모의 개선도를 기준으로하여 양호반응군 25명과 불량반응군 15명으로 나누었다. 초진시 두 군 사이에 현저한 차이를 보이는 주요 골격계측항목을 선택하고, 판별분석을 시행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치료전 $Bj\ddot{o}rk$ sum, 전후안면고경비율, genial angle, lower genial angle, occlusal plane to SN, occlusal plane to AB plane angle 등의 항목에서 두 군 사이의 유의성이 인정되어 양호반응군이 불량반응군에 비해 치료전에 보다 수평적인 안모형태를 지니고 있었음을 알 수 이었다. 2. $Bj\ddot{o}rk$ sum등 두군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각 항목들의 임계값과 판별력을 구하였다. 3. 판별에 기여도가 높은 세 항목 즉, $Bj\ddot{o}rk$ sum, genial angle 그리고 occlusal plane to An plane angle을 이용한 판별식을 구하였으며, 이를 이용할 때 본 연구에 사용된 표본의 $85\%$를 올바르게 판별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