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FACIAL SOFT-TISSUE CHANGES AFTER MANDIBULAR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하악 전돌증 환자의 하악지 시상 골절단술후 경조직 변화에 따른 안모 연조직 변화 분석

  • Park, Hee-Dae (Dept.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won, Tae-Geon (Dept.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Sang-Han (Dept.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박희대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 권대근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 이상한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Published : 1996.03.31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perform cephalometric analysis of the facial soft tissue profile after surgical correction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after SSRO in 29 patients (Males 12, females 17). Lateral cephalograms were taken in centric occlusion before and immediate, long term after surgeries. 1.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mandible was observed after the surgery, average relapses of mandibular set back were 1.23-1.28mm. The net effects of the mandibular set-back after surgeries were 81.7-82.2%. Because these relapse tendencies may reduce the effects of the surgical outcomes, surgeon must consider these net before the surgical treatment planning. 2. The ratio of horizontal changes of hard tissue to soft tissue at lower lip, mentolabial sulcus, pogonion were 72.7-93.7%, 100.3%, 99.1-102.1% respectively. There were little changes at upper lip position anteroposteriorly. 3. The relationship of upper and lower lips were improved after surgery. Lower lip was posteriorly repostioned and upper lip was flattend and elongated in conjunction with deepening of inferior lobial sulcus. But profile of chin was still prominent after surgery. 4. Hard tissue horizontal changes and tissue vertical chang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and there were reverse correlations with hard tissue vertical changes and soft tissue horizontal changes.

본원에서 하악지시상골 절단술을 시행한 하악전돌증 환자 29명 (남자 12명, 여자 17명)을 대상으로 수술전, 수술후, 장기관찰기간동안 경조직과 연조직 변화를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술후 하악은 반시계방향회전하면서 후방이동 하였으며 장기관찰시 B와 Pog에서 1.23mm, 1.28mm의 재발을 보였다. 이는 술후의 하악이동에 따른 순수한 효과(Net effect)가 81.7%, 82.2% 라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재발로 인하여 수술의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술전 치료계획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할 수 있다. 2. 하악 경조직의 수평변화에 대한 하악 연조직의 변화비율은 하순구에서 100%, 이부에서 99.1-102.1% 로 나타났으며 하순의 경우 72.7-93.7% 로 나타났으며 상순의 경우 하악 전치 이동량의 5.7% 정도 후방 이동하게 되지만 통계적 상관관계는 미약했으나. 수직적으로 8.3-9.6% 정도 유의한 하방이동양상을 보였다. 3. 술수 상순과 하순의 관계가 개선되어 심미선에 대하여 상순(Ls)은 상대적으로 동출하고 하순(Li)은 후방이동하였으며, 상순구가 얕아지고 하순구가 깊어졌으며, 비순각이 개선되어 전반적 안모가 개선되었으나 턱부위의 전돌은 수술후에도 약간 남아있었다. 4. 하악 연조직점을 종속변수로, 하악 경조직점을 독립변수로한 회귀분석에서 경조직 변화와 연조직 변화 사이의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여도 이를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연조직 두께와 수평이동사이에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