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care center teacher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25초

보육교직원 (Childcare Staff)

  • 서영숙;박진옥;서혜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5-28
    • /
    • 2014
  • 우리나라는 양적으로 확대된 어린이집의 보육서비스 질을 제고하기 위해 2005년 1월 영유아보육법을 개정하면서 보육교사의 자격 기준을 강화하였다. 이후 원장의 국가자격증 도입, 명칭 변경, 원장과 보육교사 자격기준 강화와 보수교육 체계 정비, 보육교사 자격취득 보육관련 교과목 및 학점기준 강화, 2012년에는 보수교육 보육교사자격검정 등 업무위탁관련 조항을 정비하는 등 보육교직원 관련 법적 근거의 변화가 있었다. 이는 보육교직원이 보육의 질 향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영유아에게 직접적인 영향력을 주는 매우 중요한 변인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직원과 관련된 법적 근거 규정이 계속 강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문헌조사와 분석을 통해 보육교직원의 현황과 발전방향을 서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3가지 측면을 다루고 있다. 첫째, 보육교직원 관련 역사적 흐름을 리뷰하고 보육교직원의 개념과 역할, 전문성, 법적지위를 조사 분석하였다. 둘째, 보육교직원의 양성기관, 자격체계, 재직 보육교직원, 처우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셋째, 이 모든 것을 토대로 양성체계, 자격기준, 보수교육과 훈련체계, 처우개선 및 지위 향상을 위한 발전방향을 제안하였다.

보육교직원 자격과 재교육 정책 현황 분석 및 발전 방향 고찰 (Consideration of Policy on Qualification and In-service Education of Childcare Center Staff for Improving Educare Quality)

  • 김의향;박진옥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29-145
    • /
    • 2018
  • 본 연구는 영유아 보육의 질 확보를 위한 보육교직원 자격과 재교육 정책을 고찰하고 바람직한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보육교직원 관련 정책 및 관련법에 대한 각종 자료와 문헌을 조사하고 이를 분석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보육교직원 자격기준에 대해서는 철학적, 발달심리학적, 사회적 배경의 논리적, 합리적 근거에 의한 법 정비가 필요하다. 둘째, 보육관련 교과목 및 학점 기준, 보육관련 교과목영역 선정과 필수교과목 지정에 대한 명확한 근거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이수 교과목 영역 조정과 필수, 선택교과목 조정과 일부 교과목의 명칭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NCS(국가직무능력 표준) 보육 분야의 직무능력 수준도 고려하여 교과목을 선정하여야 한다는 것을 밝혔다. 다섯째, 원장의 자격기준 요건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 여섯째, 유보 격차 해소를 위해 보육교사, 유치원교사 통합형 영유아교사 양성체제가 필요하다. 보육교직원 역량 강화와 전문성 제고를 위하여 보수교육 대상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운영체계 및 전산 체계화가 필요하다. 보수교육 운영 주체의 다양화, 보수교육 내용의 정기적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보수교육 행재정적 지원 체계 확립이 필요하다. 보수교육의 자발적 참여, 정부와 부모가 지원하는 보육교직원 전문성 계발 정책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코딩교육에 관한 원장의 지지, 보육교사의 학습공동체 참여 및 코딩교육 실행 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The Effects of a Childcare Center Director's Support for Coding Education on the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s Participation in Learning Communities and the Intention to Implement Coding Education.)

  • 김보현;이홍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25-41
    • /
    • 2021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a director's support for coding education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on the participation of teachers in the learning community and the intention to implement coding educa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12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rea.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a structural model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Results: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infant teacher participation in the learning community between a director's support and infant teacher's intention to implement coding education positively mediates the director's support and infant teacher's intention to implement coding education. In particular, it was discovered that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coding-related learning communities had the greatest impact on infant teachers' intentions to implement coding education based on total effectiveness. Conclusion/Implications: The above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enhance the intention of infant teachers to implement coding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learning community related to coding education and encourage participation from infant teachers.

어린이집의 하루일과에서 영아반 보육교사가 실행하는 영아권리존중보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ant daycare center teacher practicing infant's rights respect in care giving daycare center's daily work)

  • 윤진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407-41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반 보육교사가 어린이집의 하루일과 속에서 영아권리존중보육을 어느 정도 실행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J도 G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영아반을 담당하는 보육교사 21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린이집 하루일과에 따른 영아권리존중보육의 실행 수준을 보육교사의 학력, 경력, 연령, 전공에 따라 차이를 검증한 결과,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등원시간과 화장실 다녀오는 시간에는 4년제졸업이상 학력교사보다 전문대졸 학력교사가, 등원시간과 낮잠 재우는 시간에는 50대 이상 연령교사보다 30~40대 연령교사가 영아의 권리를 보다 존중하는 보육을 실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연령과 전공에 따라서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아도, 교사의 연령에 따라서는 의사 존중, 개별성 존중, 정보 제공에서 50대 이상 연령교사보다 30~40대 연령교사가, 교사의 전공에 따라서는 자율성 존중, 개별성 존중에서 유아교육 계열 전공교사보다 보육복지 계열 교사가 영아 최우선의 원칙에 따라 영아의 권리존중보육을 보다 우수하게 실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두 관련변인의 관계성을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육교사가 어린이집의 하루일과에 따라 실행하는 영아권리존중보육을 많이 할수록 영아 최우선의 원칙에 따른 영아권리존중보육도 많이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양적 질적으로 우수하고 균형 있는 영아의 권리존중 내실화를 다지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어머니와 가정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안전사고에 대한 두려움과 안전 예방 행동에 대한 비교 연구 (Comparison of Fear and Prevention Behavior on Accident between Mother and Teacher in Family Childcare Center)

  • 김혜금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43-53
    • /
    • 2010
  • This study aimed to compare fear and prevention behaviors on accidents between mothers and teachers in family childcare centers. The participants were 117 mothers whose children were 0~2 year-olds and 121 teachers. Based on Hendrickson(2008) and Reichert & Henricks(1996), the scale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nd it was composed of fear and prevention behaviors on accident.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x^2$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mothers feared fall accidents and step-on-accidents while teachers feared suffocation accidents and liability for injury medical fee. Also, mothers did more prevention behaviors on use of car seats than teachers, whereas teachers did more behaviors on walk safety, custody of drugs and dangerous articles, and food safety.

어린이집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의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편성·운영 실태 (Recognition,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the Third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of Teachers of 0 to 2-year-olds and 3 to 5-year-olds In Child Care Centrer)

  • 김현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389-396
    • /
    • 2016
  • 본 연구는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들의 인식 및 편성 운영 실태를 분석하여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적용과 운영의 실제 변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보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들의 인식, 편성 운영 실태는 어떠한지와 영역별 실행정도는 어떠한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인식 및 편성 운영 실태에 관한 질문지를 구성하고 경상남도의 보육교사들을 연구대상으로 총 300부의 질문지를 배부하여 267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t 검증 및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린이집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들은 대체로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을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어린이집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들은 대체로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을 적절히 편성 및 운영하고 있었다. 셋째, 영아반 교사와 유아반 모두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을 영역별로 실행하고 있었지만 영역별 실행도는 차이가 있었다.

한국형 보육교사 직무만족척도(K-CTJSS)의 표준화를 위한 타당화 연구 (Study for Validation of the Korea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Scale(K-CTJSS))

  • 조성연;백은주;김혜금;권연희;정지나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9권2호
    • /
    • pp.1-1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Scale"(K-CTJSS) tha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was evaluated by pretest in 2009. K-CTJSS is composed by 40 items with 6 factors and is responded by 6 point Likert scale. Participants consisted of 1,276 childcare teachers in Korea except Gangwon-do and Jeju-do by purposive sampling.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ulted in 40 items composed of 6 factors (director's childcare center management system, social recognition, working environment and welfare, workload and time management, relationship with co-workers, relationship with parents). Seco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a 6 factor structure by resulting over appropriate level of goodness of fit. Third, inter-corelation coefficients among 6 factors were significant level(r = .10~.70). Fourth, the reli ability level of 6 factors by Cronbach's ${\alpha}$ were high(.84~.95.). Finally, concurrent validity levels with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Jorde-Bloom, 1989) and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Diener et al., 1985) were r = .07~.84 and .19~.46, respectively.

부산시 시간제 대체교사 지원사업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 및 요구 (Recognition and Demand of Child Care Teachers for the Support Project for Part-Time Substitute Teachers in Busan)

  • 김정은;최진령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21-37
    • /
    • 2023
  •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demand of child care teachers regarding the support project for part-time substitute teachers in Busan.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6,141 childcare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Busan part-time substitute teacher support project,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Results: First, an examination of the perception of part-time substitute teacher support projects based on the type of daycare center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aspects, except for whether they choose to reapply. Second, an analysis of the demand for part-time substitute teacher support projects, categorized by the type of daycare center,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Implica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furnish valuable insights for the equitable and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part-time substitute teaching assistant support project, taking into account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various daycare centers. Additionally, the results offer essential foundational data to guide the strategic direction of the part-time substitute teaching assistant support project.

어린이집 교사의 배려적 사고와 의사소통능력 간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Center Teachers' Caring Thinking and Communication Skills)

  • 이유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207-226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ing thinking and communication skills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and the effect of caring thinking on communication skill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2 teachers working at childcare centers in Gyeonggi-do, South Korea. The research tool used was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in order to examine caring thinking and the communication skills of those teachers. For the data analysis,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ing thinking and communication skills according to the age and academic background of the teacher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aring thinking and the communication skills of the teachers. Third, responsibility, respect, and a non-directive attitude among the sub-factors of the teacher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ommunication skills. Conclusion/Implications: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caring thinking of the teachers was one of the variables that improved communication ski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provide various programs and support for enhancing caring thinking as one of the ways to develop the communication skills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영아반 보육교사의 교사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정서안정성, 대인관계 스트레스, 근무환경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Variables Affecting Teacher Sensitivity of Infant Classes in Childcare Centers: Focus on Emotional St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and Work Environment Variables)

  • 정유정;김진욱
    • 아동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05-218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influencing teacher sensitivity to infant classes in Educare Center teachers and teacher sensitivity, by classifying their personal psychological, socio-psychological, and work environment variables. Furthermore, it aimed to inquire the extent to which these variables influence teacher sensitivity. Methods: The study included 236 Educare Center teachers in charge of infant classes working in infant-caring facilities. Based 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 significance test was conducted for each variable. Results: Firstly, according to the correlations regarding teacher sensitivity to infant classes, for sensitive interaction, emotional stabilit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relationships with the director, colleagues,and parents; mean working hours in other places; and mean daily personal time. For insensitive interaction,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emotional stability and mean daily break time,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relationships with the director, colleagues, and parents. Secondly, regarding the influences on teacher sensitivity to infant classes, for sensitive interaction,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s consisted in the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and parents. On the other hand, for insensitive interaction,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s were the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and emotional stability. Conclusion: Reduc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and increasing the emotional stability of Educare Center teachers will increase their sensitivity level. Furthermore, the quality of care will be impro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