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19.15.06.207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Center Teachers' Caring Thinking and Communication Skills  

Lee, Yoo Jin (삼육대학교 유아교육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15, no.6, 2019 , pp. 207-22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ing thinking and communication skills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and the effect of caring thinking on communication skill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2 teachers working at childcare centers in Gyeonggi-do, South Korea. The research tool used was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in order to examine caring thinking and the communication skills of those teachers. For the data analysis,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ing thinking and communication skills according to the age and academic background of the teacher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aring thinking and the communication skills of the teachers. Third, responsibility, respect, and a non-directive attitude among the sub-factors of the teacher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ommunication skills. Conclusion/Implications: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caring thinking of the teachers was one of the variables that improved communication ski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provide various programs and support for enhancing caring thinking as one of the ways to develop the communication skills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Keywords
childcare center teacher; caring thinking; communication skill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정의, 김은정 (2019).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근거한 숲체험 활동에 따른 유아의 자연환경감수성 및 배려적 사고에 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6(1), 231-255. doi:10.22155/JFECE.26.1.231.255
2 강현숙 (2014). 교수효능감이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중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남희, 김미진 (2016). 어린이집 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역할수행능력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간 관계. 생태유아교육연구, 15(3), 195-214.
4 김미경 (2018). 어린이집 조직문화가 보육교사의 배려적사고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사녀, 부성숙 (2013).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교수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2(4), 511-524. doi:10.5934/kjhe.2013.22.4.   DOI
6 김세루, 천혜경, 안상화, 홍혜경 (2009).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전문성 인식 및 의사소통능력의 관계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3(6), 5-25.
7 김수미 (2013). 어린이집 교사의 인성 및 전문성 발달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수동, 안재진, 이정연 (2014). 배려척도 문항개발 연구. 사회과학연구, 25(1), 81-104.
9 김윤옥 (2016). 인성교육을 위한 화법교육 방향-의사소통 갈등상황을 중심으로-. 화법연구, 32, 1-24. doi:10/18625/jsc.2016..32.1
10 김지선 (2014).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의사소통능력 및 교사-유아관계.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노은숙 (2012).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민은경 (2016). 보육교사의 의사소통능력과 부모-교사 의사소통간의 관계.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민희정 (2019). PBL 수업을 수강한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의사소통능력과의 관계: 배려의 매개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2), 931-954. doi:10.22251/j;cci.2019.12.931
14 박미영 (2009). 배려적 화법의 교육 내용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박주미 (2016). 영아교사의 인성 및 놀이교수효능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관계.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박창균 (2016). 배려의 소통적 자질 탐구. 새국어교육, 108, 89-113. doi:10.15734/koed..108.201609.89
17 박현지, 김지은 (2016). 인성동화를 활용한 협동활동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2(1), 143-170. doi:10.14698/jkcce.2016.12.143   DOI
18 서현석 (2007). 말하기 교육의 내용으로서 '배려적 사고'의 개념 탐구. 국어교육학연구, 28, 393-422. doi:10.20880/kler.2007..28.393
19 서현석 (2016). 국어교육에서 '배려'연구의 동향과 전망. 우리어문연구, 54, 491-509. doi:10.15711/05416
20 서현석 (2019). 미래의 초등학교 듣기.말하기 교육을 위한 의사소통 모형. 화법교육, 43, 25-54. doi:10.18625/jsc.2019.43.25
21 Katz, L. (2003). The right of the child to develop and learn in quality environ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35(1/2), 13-22. doi:10.1007/bf03174431   DOI
22 송지희 (2017). 어린이집 교사의 공감능력이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를 매개효과로. 중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우수경, 서윤희 (2016). 예비유아교사의 낙관성과 공감능력 및 의사소통능력 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21(1), 367-384. doi:10.20437/KOAECE21-1-15
24 우지연, 최일선 (2018). 공감교육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9(3), 189-206. doi:10.22154/JCLE.19.3.8
25 황은진 (2015).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및 의사소통능력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Cho, B. K., & Saracho, O. N. (1997). The development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role rating scale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 19-36.
27 Erbay, F., oMEROGLU, E., & cAGDAs, A. (2012). Development and validity-reliability study of a teacher-child communication scale. Educational Sciences: Theory & Practice, 12(4), 3165-3172.
28 Fritz, S., Brown, F. W., Lunde, S. P., & Banset, E. A. (1999). Interpersonal skills for leadership. New Jersey: Prentice Hall.
29 Lipman, M. (2003). Thinking in Education (2nd ed).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 Navratilova, H. (2017). Children's initiations in communication with preschool teachers. Acta Educationis Generalis, 7(2), 42-55. doi:10.1515/atd-2017-0012   DOI
31 Noddings, N. (2012). The caring relation in teaching. Oxford Review of Education, 38(6), 771-781. doi:10.1080/03054985.2012.745047   DOI
32 Piker, R. A., & Rex, L. A. (2008). Influences of teacher-child social interactions on English language development in a head start classroom. Early Childhood Educational Journal, 36(2), 187-193. doi:10.1007/s10643-008-0267-y   DOI
33 황보식 (2018). 실천적 인성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고찰 -상호존중과 배려를 매개로-. 대한정치학회보, 26(2), 73-92. doi:10.34221/KJPS.2018.26.2.4
34 이영애 (2011). 어린이집 교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가정-교사 간 의사소통의 관계.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윤성운, 성은영 (2012). 유아 배려교육의 개념 및 실제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들의 인식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6(1), 351-374.
36 이명신, 권충훈 (2010). 제4장 나딩스(Noddings)의 배려교육론 -유아교육과 교사교육 중심으로-. 중등교육연구, 22, 59-79.
37 이수련 (2013).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계 분석. 어린이미디어연구, 12(1), 221-239.
38 이은혜 (2014). 유치원 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교사-부모 간 의사소통 어려움의 매개효과.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이춘희 (2009). 유아의 배려적 사고 교육. 서울: 창지사.
40 임정란, 정효진, 배지희 (2019). 유아 배려행동에 대한 유아 교사들의 경험과 배려교육을 위한 제안. 유아교육학논집, 23(1), 79-108. doi:10.32349/ECERR.2019.2.23.1.79
41 장옥선 (2018). 보육교사의 인성과 직무만족도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정다우리 (2013).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심사 및 교사 인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81, 49-70.
43 정혜영 (2010). 배려적 화법에서의 대화 학습 방법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최현주 (2000). 유치원 교사의 의사소통 유형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정희윤 (2015). 어린이집 교사의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과의 관계.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최윤녕 (2017). 유아교사의 배려적 사고와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의 관련성 연구. 교육연구, 2(1), 161-188.
47 최일선, 조운주 (2010). 유아교육 평가의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사.
48 홍지명 (2017).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의사소통능력 간의 관계. 인문사회 21, 8(3), 1319-1334. doi:10.22143/HSS21.8.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