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mical recycle

검색결과 228건 처리시간 0.026초

DEVELOPMENT OF MEMBRANE AND COLD-CONDENSATION PROCESS FOR REMOVAL AND RECOVERY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 Kim, Sung-Soo;Lee, Jong-Hwa;Kim, Hyunki;Kim, Sang-Yong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2003년도 The 4th Korea-Italy Workshop
    • /
    • pp.69-72
    • /
    • 2003
  •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cause air pollution problem and deterioration of atmosphere of petrochemical and fine chemical plants. Hybrid process of membrane and cold-condensation were developed and it effectively removed and recycled the VOC. Operation parameters of the process were optimized to attain hish removal and recycle of VOC. Composite membranes for organic vapor separation were developed in this work by PDMS coating and plasma polymerization on polypropylene and polysulfone support membranes. PDMS and various silicone monomers were tested for several organic vapors such as benzene, toluene, TCE, and HCFC, which are produced in petrochemical and fine chemical industry and causes air pollution problems if are released to atmosphere. Composite membranes prepared in this work showed appreciable performance in terms of organic vapor removal and reuse. Performance variation of the membranes was correlated with their surface characteristics.

  • PDF

디젤탈황 단위공정의 CFD 모델링을 포함한 연료전지 시스템 공정설계 및 최적화 (Process Simulation and Optimization of Fuel Cell System including CFD Modeling of Diesel Desulfurizer Unit Process)

  • 최창용;임도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6권3호
    • /
    • pp.421-42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100 kW급 연료전지 시스템의 운영을 위한 공정 및 CFD 모델링을 진행하였다. 공정 모델링을 통해 연료전지 각 단위 공정에 유입되는 유량을 도출하였으며 수소로 전환되지 않는 디젤의 환류량을 도출하였다. 디젤의 환류를 고려한 새로운 유입 유량 조건을 이용해 CFD 해석을 진행한 결과, 환류 디젤이 없는 것으로 가정한 이전 연구결과에 비해 더 짧은 유입시간과 비슷한 시간의 처리시간을 가지는 이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6기의 탈황 반응기를 이용해 100 kW급 연료전지를 가동시키는데 필요한 TSA 탈황 시스템 구성을 완료하였으며 전체 TSA 공정 운영을 위한 운용 방안을 도출하였다. 반응기 사이의 열 전달 해석을 통해 저온의 탈황공정과 고온의 재생공정 간의 열 간섭이 크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효율화에 기여할 것이며, 도출된 탈황모듈의 설계는 연료전지 시스템뿐만 아니라 청정 석유화학산업의 기초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폐페놀수지로부터 카본입자 재활용 연구 (Recycling of Carbon Particle from Phenol Resin Waste using Supercritical Fluid)

  • 조항규;임종성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5권2호
    • /
    • pp.220-224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전기절연판이나 접착제로 널리 사용되는 페놀수지를 초임계 유체를 이용하여 카본입자로 재활용 하는방법을 연구 하였다. 폐페놀수지는 불융/불용 특성으로 대부분 매립하거나 소각처리하고 있으며, 환경오염 방지차원에서 페놀수지의 새로운 재활용 기술 개발이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폐페놀수지를 재활용하기 위해 다양한 아/초임계 용매(에탄올, 아세톤, 물, 메탄올)를 선정하여 처리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카본입자의 제조 방법들 보다 훨씬 낮은 온도 조건($350{\sim}380^{\circ}C$)에서 카본입자를 제조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재활용된 카본입자의 FT-IR, XRD, TGA, SEM, EDS 분석을 통하여 반응용매에 따른 카본입자의 특성을 고찰하였으며, 모든 용매에 대해 동일한 화학구조 및 비정질 구조를 가지는 카본입자를 제조 할 수 있었다.

PVC 스크랩의 재활용 촉진을 위한 기계적 물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chanical Properties for Recycling of PVC Scraps)

  • 계형산;이용무;한재명;홍석원;김영수;이동현;배종욱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4권6호
    • /
    • pp.45-53
    • /
    • 2015
  • 수명이 다하거나 용도 폐기에 의해 버려지는 PVC 스크랩은 분쇄 후 저급 제품으로 재생산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발생 원인별 물성에 관한 연구가 적은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의복용, 파이프 및 이음관류, 프로파일, 다양한 경질 PVC 등 수명이 다하여 발생되는 폐 PVC 스크랩을 신재 수지에 투입하되 투입되는 스크랩 함량의 변화에 따른 물성을 관찰하였다. PVC 스크랩의 기계적 물성은 스크랩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인장강도 및 충격강도가 모두 낮아지는 결과를 나타났다. 충격강도는 Cloth insert scrap (CC) > PC (Pipe scrap) > RC (Rigid scrap), 인장강도는 PC > CC > RC, Vicat 연화온도는 경향성이 없음을 나타냈으며, CC 소재는 스크랩 함량이 50 phr일 때 신재 PVC 기계적 물성의 80 %에 이르는 물성을 나타내었고, PC 소재는 스크랩 함량이 50 phr일 때 신재 PVC 인장강도의 50 %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이차전지 음극재 탄소 소재 재활용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ycle of Carbon Material in Anode of Secondary Battery)

  • 한경재;김유진;윤성진;강유진;장민혁;조형근;조혜령;서동진;박주일
    • 유기물자원화
    • /
    • 제30권4호
    • /
    • pp.59-66
    • /
    • 2022
  • 리튬이온 배터리는 휴대폰 시장과 함께 크게 확대되었고 전기 자동차 사업이 본격적으로 활성화됨에 따라, 이후에도 많은 사람의 관심을 끌게 될 분야이다. 지금까지는 리튬이온 배터리 내부에 있는 유가금속에 대한 회수에 많은 사람이 관심을 끌고 있지만, 음극재로서 주로 활용되는 흑연 또한 재활용가치는 충분하다. 따라서 순도 높은 흑연의 회수와 유가금속의 회수를 함께 하기 위해, 폐 리튬이온 배터리로부터 흑연의 정제 및 분리, 흑연의 전기적 특성을 회복하는 재생과정을 통해 다시금 이차전지의 음극재로써 활용할 수 있는 흑연을 만들어 내는 과정을 가지게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폐 흑연을 재생 흑연으로 바꾸는 과정과 재생 흑연이 가져오는 경제적 효과를 기술한다.

Flyash를 이용한 블록의 흡음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Sound Absorption of Flyash Blocks)

  • 변홍식;이태관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35-240
    • /
    • 2002
  • The blocks using flyash were prepared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 of sound absorption of flyash block was investigated. It was revealed that the chemical additives and flyash played an important role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 of sound absorption. Chemical additive affects the capability of sound absorption while flyash affects the characteristic of sound absorption, i.e. high value of the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at the specific frequencies(1KHz and 2KHz). The flyash block showed higher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than that of the commercial concrete block having carpet on the surface. It was also shown that the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increases with increase of the content of flyash in the block.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70wt% of flyash in the flyash block was the optimum content to obtain the highest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메탄의 건식 개질을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재활용 (Recycle of Carbon Dioxide Using Dry Reforming of Methane)

  • 김정묵;류준형;이인범;이재성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7권3호
    • /
    • pp.267-274
    • /
    • 2009
  • 온실가스 배출 규제에 따라 이산화탄소 배출 감축은 산업계에서 해결해야 할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가 되었다. 이산화탄소는 온실가스 발생원 중 대부분을 차지하며 본 논문에서는 실제 대규모 산업 현장에서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저감하는 직접적인 방안으로 메탄의 이산화탄소 개질 반응을 이용하는 방법을 고찰해 보았다. 강한 흡열 반응 형태인 이 반응에 대해 추가적인 이산화탄소 발생을 피하며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자열 개질 반응을 이용하는 것이 적합한 방법으로 판단된다. 생산된 합성가스는 환원가스로 재활용하거나 화학제품 및 연료의 합성에 활용할 수 있다.

석유화학단지 수소 재활용 최적 네트워크 설계 (Optimal Hydrogen Recycling Network Design of Petrochemical Complex)

  • 정창현;이철진;김대현;한종훈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5권1호
    • /
    • pp.25-31
    • /
    • 2007
  • 석유화학단지내에서 석유화학공장과 정유공장과 같은 산업현장에서는 상당량의 수소가 부산물로 발생되고 있으나, 이는 대부분 자체적으로 연료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연료로 사용되는 상당량의 수소를 에너지원의 원료나 기타 공정의 원료로 재활용할 경우, 현재보다 수소의 가치를 높여서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석유화학단지내 공장간 수소 재활용 네트워크를 설계하였다. 수소 핀치 분석을 통하여 교환망 구성에 필요한 최소의 수소 요구 및 정제량을 파악하고, 네트워크 구성에 필요한 비용과 기타 제약 조건으로 최적화 문제를 구성하여 공급처(source)와 수요처(sink) 공장간에 최적으로 수소를 재활용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설계하였다.

Solid Circulation Rate in a 3-phase (gas/liquid/solid) Viscous Circulating Fluidized Bed

  • Jang, Hyung Ryun;Yoon, Hyuen Min;Yang, Si Woo;Kang, Yong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6권2호
    • /
    • pp.186-190
    • /
    • 2018
  • For the first time, the characteristics of solid circulation rate ($G_S$) were investigated in a three-phase (gas-liquid-solid) viscous circulating fluidized bed (TPCFB). The solid circulation rate was controlled separately by adjusting the experimental apparatus as well as operating variables. Effects of primary and secondary liquid velocities ($U_{L1}$ and $U_{L2}$), gas velocity ($U_G$), particle size ($d_p$), height of particles piled up in the solid recycle device (h), and viscosity of continuous liquid media (${\mu}_L$) on the value of $G_S$ were determine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value of $G_S$ increased with increases in the values of $U_{L1}$, $U_{L2}$, h and ${\mu}_L$, while it decreased with increasing $U_G$ and $d_p$ in TPCFBs with viscous liquid media. The values of $G_S$ were well correlated in terms of dimensionless groups within this experimental conditions.

CHARACTERISTICS AND STRENGTH EVALUATION OF THE MIXED MATERIAL OF FLY ASH FROM 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OR AND THE RECYCLED POLYPROPYLENE

  • Park, Sang-Min;Kim, Hwan-Gi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1권5호
    • /
    • pp.257-265
    • /
    • 2006
  • The purpose of research is to mix the fly ash from 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or in the recycled Polypropylene and to recycle. The specimen was produced by mixing 20 wt.% of MSWI fly ash at maximum in the recycled Polypropylene and the particle size analyzer, DSC, TGA, SEM and UTM instruments were used to analyze the physical chemical properties of the specimen. As a result of measurement,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MSWI fly ash was $18.08\;{\mu}m$. In TGA analysis, the temperature of specimen S-5 at 50% of weight decrease was risen by $7^{\circ}C$ higher than specimen S-1. In UTM measurement, specimen S-2 showed the maximum strength for tensile strength and specimen S-3 showed the maximum strength for flexural strength. But, impact strength was de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ing proportion of MSWI fly ash. In conclusion, when the proper amount of MSWI fly ash was added to the recycled Polypropylene, thermal endurance, tensil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could be increased, but impact strength was decrea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