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rvical adenocarcinoma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7초

산천어(Oncorhynchus masou) 에탄올 추출물의 in vitro 및 in vivo에서 항암활성 (Anticancer Activity on Ethanolic Extract of the Masou Salmon (Oncorhynchus masou) in vitro and in vivo)

  • 오현택;정미자;함승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42-145
    • /
    • 2009
  • 산천어 70% 에탄올 추출물(MSE)이 암세포 성장억제와 Balb/c 마우스에서의 종양 성장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인간 자궁암(HeLa), 간암(HepG2), 유방암(MCF-7), 위암(AGS), 폐암(A549) 세포 그리고 인간신장 정상세포 (293)에 MSE을 처리했을 때 세포생존율이 감소하였고 이들 감소율을 MTT assay로 알아보았다. MSE는 정상세포 293에서보다 인간 암세포주인 MCF-7, A549, HepG2, AGS 그리고 HeLa세포에서 현저하게 더 높은 세포독성이 나타났다. 시료 최고농도인 1 mg/mL를 인간 폐암세포(A549), 유방암세포(MCF-7), 간암세포(HepG2) 및 위암세포(AGS)에 처리한 결과 각각 9.2%, 12.7%, 14.6% 및 16.9%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더하여 복수암 세포(sarcoma-180)를 이용한 실험동물(Balb/c mice)에서의 고형암 성장 억제 효과를 알아보았으며, 각각 25 mg/kg body weight와 250 mg/kg body weight의 MSE를 투여하였을 때 종양 성장 억제율은 각각 44.7%와 55.7%였다. 따라서 우리는 MSE가 암 예방을 위해 인간에게 유익한 기능성 소재일 것이라는 것을 제안하였다.

해양심층수 및 다시마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간장의 생리활성 효과 (Biological Activities of Soybean Sauce (Kanjang) Supplemented with Deep Sea Water and Sea Tangle)

  • 함승시;김수현;유수정;오현택;최현진;정미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74-279
    • /
    • 2008
  • 해양심층수 간장 및 일반간장을 제조하여 항돌연변이원성과 세포독성을 측정하였으며 sarcoma-180 cell을 이용하여 in vivo에서 항암효과를 살펴보았다. S. typhimurium TA98과TA100 균주를 이용한 실험에서 모든 시료에서 돌연변이원성이 없었으며, 항돌연변이원성 실험에서는 직접변이원인 MNNG($0.4{\mu}g$/plate)의 경우 TA100 균주에서 해양심층수간장의 시료농도 $200{\mu}g$/plate에서 90.9%의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4NQO($0.15{\mu}g$/plate)에 대해서는 같은 시료농도에서 62.0%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4NQO의 경우 TA98 균주에 대해서 해양심층수 간장은 61.7%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모든 시료는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독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HeLa, Hep3B, AGS, A549와 MCF-7을 사용하였다. 각 시료 추출물의 암세포 성장효과를 조사한 결과, 해양심층수 간장이 1 mg/mL의 농도에서 각각 69.4%, 70.5%, 55.6%, 82.1% 및 73.2%의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해양심층수 간장은 고형암 성장 억제 실험에서 대조군에 비해서 40.9%의 고형암 성장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솔잎 열수 증류액의 생리활성 효과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Vaporized Liquid of Water-boiled Pine Needle)

  • 이효진;최승필;최형택;김수현;함영안;이득식;함승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79-183
    • /
    • 2005
  • 솔잎 열수 증류액에 대한 항산화 활성은 $RC_{50}$ 값이 $18.4\;{\mu}L$로서 매우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솔잎 열수 증류액에 대한 항돌연변이 활성은 S. typhimurium TA98과 TA100 균주를 이용한 돌연변이성 실험 결과 솔잎 열수 증류액 자체로서는 변이원성이 없었으며 항돌연변이원성 실험에서는 직접변이원인 WNNG $(0.4\;{\mu}L/plate)$의 경우 S. typhimurium TA100 균주에서 시료농도 $200\;{\mu}L/plate$에서 $45.9\%$의 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4NQO $(0.15\;{\mu}g/plate)$에 대해서는 동일 농도에서 $85.5\%$의 높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간접변이원인 $B(\alpha)P\;(10\;{\mu}g/plate)$에 대해서는 시료농도 $200\;{\mu}g/plate$의 시료농도에서 $88\%$의 높은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Trp-P-1 $0.15\;{\mu}g/plate$에 대해서는 $50\;{\mu}g/plate$의 낮은 시료농도에서도 $85\%$의 높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솔잎 열수 증류액의 암세포 성장억제효과를 검토한 결과, 폐암세포, 유방암세포에 대해서 각각 $78.7\%$, $62.3\%$의 비교적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위암세포, 자궁암세포, 간암세포에서 각각 $90.8\%,\;93.7\%,\;90.0\%$의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메밀 혼합분의 반죽특성과 생리활성 검색 (Dough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Effects of Mixed Flour of Buckwheat and Wheat)

  • 유광하;김수현;유수정;오현택;함승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43-148
    • /
    • 2007
  • 메밀 함량이 높은 국수 개발 및 메밀 원료에서부터 제품에 이르기까지의 영양적 가치와 기능성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위해서 메밀가루 및 메밀가루 혼합분에 대해서 반죽 특성과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아밀로그래프 및 파리노그래프를 사용한 리올로지특성은 호화온도와 최고 점도는 B1에 비하여 메밀 혼합분에서는 낮아졌고, 파리노그래프 측정 결과 B1이 $BF1\simBF4$에 비하여 수분 흡수율은 낮게 나타났으며 반죽형성시간은 BF2에서 9.2분으로 가장 길었다. 메밀 혼합분 에탄올 추출물의 MNNG$(0.4{\mu}g/plate)$에 대한 항돌연변이 효과에서 S. Typhimurium TA100 균주에 대해 B1, BF4 및 BF3의 추출물은 시료농도 160 g/plate에서 각각 45%, 42% 및 37.3%의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동일 시료 농도에서 4NQO(0.15 g/plate)에 대해서는 S. Typhimurium TA98과 TA100 균주에서 B1 추출물의 시료농도가 $160{\mu}g/plate$일 때 각각 64%와 44.3%의 가장 높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유방암세포에 대한 암세포 성장 억제활성을 검토한 결과, B1, BF4 및 BF3 추출물의 시료 농도 1 mg/mL에서 67.9%, 63% 및 59%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동일시료 농도에서 간암세포의 경우 B1에서 72.6%, 위암세포의 경우 모든 시료에서 70% 이상의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BF3의 경우 81.1%의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다. 폐암세포와 자궁암세포에서는 60% 이상의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메밀 국수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원성 및 세포독성 효과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Fagopyrum esculentum Moenech Noodles Extracts)

  • 유광하;김수현;함영안;유수정;오현택;함승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10호
    • /
    • pp.1291-1296
    • /
    • 2006
  • 메밀 국수의 주 재료인 메밀분의 함량을 60%와 70%로 다르게 하여 건면, 압출면 그리고, 생면의 추출물을 조제하여 항돌연변이원성과 세포독성 효과를 조사하였다. 세포독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A549, Hep3B, MCF-7, AGS와 HeLa를 사용하였다. 이들 시료의 추출물의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메밀 생면은 자궁암세포에서 68.5%의 높은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압출면의 경우는 위암세포에서 75.7%의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건면의 경우는 폐암 세포에서 80%의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돌연 변이성 및 항돌연변이 활성은 S. Typhimurium TA98과 TA100 균주를 이용한 돌연변이성 실험 결과 메밀면 자체에는 돌연변이성이 없었으며, 항돌연변이원성 실험에서는 직접변이원인 MNNG$(0.4{\mu}g/place)$의 경우 TA100 균주에서 시료농도 $160{\mu}g/place$에서 메밀분 70% 혼합분 생면 추출물의 경우 41%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4NQO$(0.15{\mu}g/place)$에 대해서는 같은 시료농도에서 TA98 균주에 대해서 43%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메밀분 70% 혼합분 압출면의 경우 28%의 낮은 효과를 보였으나 S. Typhimurium TA98 균주에서는 같은 시료농도에서 45%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공시 시료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침윤성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SCC Antigen (TA-4) 측정의 유용성 (Vslue of Squamous Cell Carcinoma Associated Antigen fTA-41 in Patients Iurith Invasive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 조문준;김재성;박승호;남상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1권2호
    • /
    • pp.397-401
    • /
    • 1993
  • 자궁경부암 환자의 병변의 범위 및 임상 경과를 추정하는데 TA-4의 유용성을 검토하고자 충남대학교병원에서 자궁경부암으로 진단 받은 5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혈청 TA-4치를 RIA 방법으로 측정하여 $\le2\;ng/ml$을 정상 범위로 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료전 평평상피암 환자의 TA-4의 양성율은 $60\%,$ 선암은 $40\%$였다. 2) 병기가 진행될수록TA-4의 양성율및 평균치가 높아서, 양성율 병기 I는 $40\%,$ II는 $72\%,$ III는 $63\%,$ IV는 $100\%$였으며 평균치는 병기 I에서 3.1, II는 6.6, III는 8, IV는17.7 ng/ml였다. 3) 방사선 치료후 혈청내 TA-4치는 감소하여 5000 cGy 조사후 치료전 양성을 보였던 환자의 $44\%$에서 TA-4치 가 정상으로 돌아왔다. 4) 원발성 자궁경부암 환자의 양성율은 $59\%$였으나 지속성 또는 재발성등 치료에 실패한 15명 환자의 양성율은 $80\%$였다. 이상으로 연속적 혈청내 TA-4치의 측정은 자궁경부암 환자의 방사선치료에 따른 임상 경과를 관찰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발효 차가버섯 추출물이 인체 종양세포주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ter Extract from fermented Chaga Mushroom(Inonotus obliquus) on the Proliferation of Human Cancer Cell Lines.)

  • 차재영;박상현;허진선;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71-677
    • /
    • 2007
  • 발효 및 비발효 차가버섯 수용성 추출물이 정상 세포주 NIH3T3 mouse normal fibroblast cell 및 인체 종양 세포주 AGS human gastric cancer cell(위암), HCT-15 human colon cancer cell(대장암), Hep3B human hepatoma cancer cell(간암), MCF-7 human breast cancer cell(유방암), HeLa human cervical cancer cell(자궁경부암)에서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assay 방법에 의한 세포 증식 억제와 암세포 증식억제의 기전 연구의 일환으로 apoptosis가 일어날 때 나타나는 DNA fragmentation을 agarose gel electrophoresis 방법으로 검토하였다. 인체 종양 세포주의 생육저해 효과가 발효 차가버섯 추출물이 비발효 차가버섯 추출물보다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동일한 실험조건하에서 마우스 정상 세포주 NIH3T3은 8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어 정상 세포주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발효 및 비발효 차가버섯 추출물에서 본 실험에 사용한 세포주 중에서 대장암 세포주 HCT-15에 대해 가장 세포 증식 억제효과가 뛰어났으며, 이러한 효과는 첨가 농도 의존적 이였다. 발효 및 비발효 차가버섯 추출물에 의한 암세포 증식억제가 기전 연구로 apoptosis가 일어날 때 나타나는 DNA fragmentation을 세포로부터 genomic DNA를 분리하여 agarose gel electrophoresis 방법으로 조사한 결과, 정상세포인 NIH3T3 세포는 DNA fragmentation이 거의 일어나지 않아 세포 생존율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특히 대장암 세포주인 HCT-15에서는 발효 차가버섯뿐만 아니라 비발효 차가버섯 추출물에서도 DNA fragmentation이 많이 일어나는 것이 관찰되어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가 높다는 결과를 뒷받침 해주고 있다.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Gynecological Malignancies in a Tertiary Care Hospital in Eastern India: Importance of Strengthening Primary Health Care in Prevention and Early Detection

  • Sarkar, Madhutandra;Konar, Hiralal;Raut, Deepak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6호
    • /
    • pp.3541-3547
    • /
    • 2013
  • Background: This cross-sectional observational study was undertaken to establish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gynecological malignancies, focusing mainly on symptoms, histological type and stage of the disease at presentation, in a tertiary care setting in Eastern India. Materials and Methods: In the gynecology out-patient clinic of a tertiary care hospital in Kolkata, India, the patients with suggestive symptoms of gynecological malignancies were screened. Their diagnoses were confirmed by histopathology. One hundred thirteen patients with histopathologically confirmed gynecological malignancies were interviewed. Results: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symptoms by the patients with histopathologically confirmed gynecological malignancies were excessive, offensive with or without blood stained vaginal discharge (69.0%), irregular, heavy or prolonged vaginal bleeding (36.3%) and postmenopausal bleeding (31.9%). The majority of the patients (61.0%) had squamous cell carcinoma on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followed by adenocarcinoma (30.1%). Nearly half of the patients (48.7%) were suffering from the Federation Internationale des Gynaecologistes et Obstetristes (FIGO) stage III, followed by stage II (40.7%) malignancy. Conclusions: This study highlights that most of the patients with gynecological malignancies present late at an appropriate health care facility. Ovarian cancer may often have non-specific or misleading symptomatic presentation, whereas cervical cancer often presents with some specific symptoms. These observations point to the need for increasing awareness about gynecological malignancies in the community and providing easily accessible adequate facilities for 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of the disease by optimal use of available resources, i.e. strengthening the primary health care system.

악성 타액선 종양 114 예의 임상고찰 (Clinical Analysis of 114 Cases of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s)

  • 박윤규;설대위;정동규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1-34
    • /
    • 1985
  • The authors reviewed 114 cases of malignant major and minor salivary gland tumors at Presbyterian Medical Center seen from February, 1963 to December, 1983.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Overall male and female sex ratio was 2:1. The peak age of patients with major and minor salivary gland tumor were both 5 th decade. 2) The ratio of benign and malignant tumor was 83:114. The incidence of malignancy in each group was 52% in parotid (50 patients), 75% in minor salivary gland (45 patients), 49% in submaxillary gland(18 patients) and 25% in sublingual gland (1 patient). 3) The incidence according to the anatomic primary site for minor salivary cancers was 10 cases in the nasal cavity, each 8 in the palate and the maxillary antrum, 7 in the tongue, 5 in the gum, 3 in the larynx and 2 in the buccal mucosa. 4) Adenoid cystic carcinoma was the most common cancer of minor salivary gland and malignant mixed tumor was the most common in major salivary glands, each comprising 34 cases (76%) of minor and 19 cases (28%) of major salivary gland tumors. 5) The incidence of cervical lymph node metastasis was 50% in the submaxillary gland cancers, 44% in the parotid gland cancers and 21% in malignant tumors of minor salivary glands. The highest incidence of lymph node metastasis according to histopathological classification was formed in high grade of mucoepidermoid (67%). 6) Nerve invasion was common in mucoepidermoid carcinoma. According to anatomic site, nerve invasion occurred most often in adenoid cystic carcinoma of the submaxillary gland (44%). 7) The lung was the commonest site for distant metastasis comprising 12 cases among 26 cases in which distant spread occurred. 8) The recurrence rate was 50% for major salivary gland cancer and 52% in cancer of the minor salivary gland. In accordance with pathological classification, adenocarcinoma most frequently recurred after excision. This being seen in 88% of patients undergoing definitive therapy. 9) The determinate 5 year survival rate was 78% in major salivary gland tumors, but 69% in minor salivary gland tumors.

  • PDF

타액선 악성종양의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N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S)

  • 성일용;김욱규;김종렬;정인교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6권4호
    • /
    • pp.427-434
    • /
    • 2000
  • The authors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36 patients with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s who were treated at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February, 1989 to September, 1997.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14 males(38.9%) and 22 females(61.1%). The peak age of patients with major salivary gland tumors was the 6th decade, but with minor salivary gland was the 5th decade. 2. Of all salivary gland tumors, 5 cases arose in the parotid glands, 2 cases in the submanibular glands, 1 case in the sublingual gland and 28 cases in the minor salivary glands. 3. The incidence according to the anatomic primary site for minor salivary glands was 15 cases in the palate, 5 in the floor of mouth and 2 cases each arising in the tongue, lip, retromolar area and buccal mucosa. 4. Of all salivary gland tumors, adenoid cystic carcinoma was 5 cases in the major salivary glands and 8 in the minor salivary glands. mucoepidermoid carcinoma was 2 cases in the major salivary glands and 14 in the minor salivary glands and others were 2 cases of adenocarcinoma, 4 malignant mixed tumors and 1 undifferentiated carcinoma. 5. The incidence of cervical lymph node metastasis was 100%(2/2) in the submandibular glands, 80%(4/5) in the floor of mouth, 50%(1/2) in the tongue and 20%(1/5) in the parotid glands. The highest incidence of lymph node metastasis according to histopathological classfication was found in the high grade of mucoepidermoid carcinoma and tubular type of adenoid cystic carcinoma. 6. Nerve invasion was common in the adenoid cystic carcinoma. 7. The lung was the commonest site for distant metastasis comprising 7 cases among 7 cases in which distant spread occurr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