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flexibility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4초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인지적 유연성의 조절효과 (Effects of Parental Attachment on Career Maturity in University Students: Moder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ognitive Flexibility)

  • 이후정;박지연;조경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324-335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인지적 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충남·서울 소재지역의 대학생들로 총 36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별에 따라 부모애착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부모애착과 진로성숙도 사이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인지적 유연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부모애착이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인지적 유연성이 미치는 영향과 정도에 따라서 부모애착이 대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학생이라는 그룹도 그 안에는 개인별로 서로 다른 내적 요인이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진로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

대학졸업예정자의 진로정체감 발달과정이 이후의 진로결과에 미치는 영향: 진로유연성을 중심으로 (The Longitudinal Effect of Vocational Identity on Career Outcomes of Individuals Transitioning to Adulthood: Focusing on Career Flexibility)

  • 이수정;김은진;이보라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4호
    • /
    • pp.67-89
    • /
    • 2018
  • 본 연구는 대학졸업예정자들을 대상으로 진로유연성의 종단적 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진로유연성을 중점으로 한 진로정체감 및 인구통계학적 변인(성별, 나이, 부모소득수준, 학생이 지각한 가정경제수준)과 3년 동안의 실제 취업여부, 경력성장,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553명의 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첫 번째 측정시기로부터 1년 뒤 1차시에는 259명, 2년 뒤 2차시에는 229명, 3년 뒤 3차시에는 182명의 학생들이 조사에 참가하였다. 다변량 회귀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진로유연성은 2년 후, 3년 후의 취업여부를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전반적 진로탐색은 3년 동안 지속적으로 취업여부를 정적으로 예측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특히 시간이 지날수록 진로유연성이 취업여부를 예측하는 정도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나, 진로유연성의 종단적 기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심층적 진로탐색은 2년 후, 3년 후에 경력성장을 예측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 직무만족을 예측하는 변인은 밝히지 못하였다. 이를 통해 미래의 진로 교육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고, 한계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부사관과 학생들의 셀프리더십이 취업진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NCOs and students of self-leadershiployment career)

  • 권정민;이한규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09-118
    • /
    • 2017
  • 이 연구는 부사관과 학생들이 자각하는 지지가 셀프리더십 욕구와 어떤 인과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셀프리더십 욕구를 매개변수로 학생들의 임용행동과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의 남녀 대학 학생 부사관과 전공 학생을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362명의 학생을 추출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모형을 설정한 다음 구조방정식모형(SEM)을 통하여 변인간의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과 연구모형 검증을 기초로 하여 이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셀프리더십이 진로신념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계획 명확성에서는 확인 중심적 전략(+), 목표 중심적 전략(+), 독립적 자기신뢰에는 확인 중심적 전략(+), 건설적 사고전략(+), 자책 중심적 전략(+), 진로 유연성에서는 자연적 보상전략(+), 건설적 사고전략(+), 전문능력향상은 확인 중심적 전략(+), 자책 중심적 전략(+)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셀프리더십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반만족에서는 자연적 보상전략(+), 교과만족에서는 자연적 보상전략(+), 목표 중심적 전략(+), 인식만족에서는 자연적 보상전략(+), 목표 중심적 전략(+)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신념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반만족에서는 진로계획 명확성(+), 독립적 자기신뢰(+), 진로유연성(+), 전문능력향상(+), 교과만족에서는 독립적 자기신뢰(+), 진로유연성(+), 전문능력 향상(+), 인식만족에서는 독립적 자기신뢰(+), 진로유연성(+), 진로계획명확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서인력의 경력이동 및 경력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areer Movement and Career Development of Librarians Workforce)

  • 노영희;안인자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47-168
    • /
    • 2009
  • 도서관계의 상황을 보면 대학도서관, 공공도서관, 전문도서관, 학교도서관 등 매우 다양한 유형의 도서관이 있고, 국가적인 차원 및 상업적인 차원의 정보유통기관이 있으며, 또 이를 지원하는 기관들 즉, 도서관자동화업체, 도서관관련 비품업체, 도서관관련 아웃소싱업체, 각종 데이터베이스 구축업체가 있다. 이러한 상황을 볼 때 문헌정보학을 전공한 사람들의 경력경로는 매우 다양해 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사서인력의 유동성 및 경력이동률 은 매우 높을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도서관계의 특성 및 직업적 특성을 감안하여 사서인력의 유동성 실태나 이직률과 이직의 원인 등을 규명하는 연구는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한 기초연구로 사서인력의 경력이동 및 경력개발 현황에 대해서 조사하고자 하였다. 사서의 경력개발 과정 분석을 통해 도서관계 및 관련분야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람들의 직장이동 경로, 경력개발을 위한 노력, 경력이동 요인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공공조직 구성원들의 경력몰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areer Commitment in Korean Public Sector)

  • 이규만;박용선
    • 산학경영연구
    • /
    • 제20권2호
    • /
    • pp.29-45
    • /
    • 2007
  • 오늘날의 급변하는 경영환경 속에서 기업들은 생존을 위해 유연성을 확보해야 한다. 특히 한국기업들은 1997년 이후 IMF라는 경제적 위기를 겪으면서 인적자원 관행을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설계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기업들이 그간의 불합리한 경영관행을 근절하고 조직의 유연성과 글로벌 경쟁력을 증진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나 그에 따른 부작용도 나타났다. 특히 고용불안이 가중되고 있는 오늘날의 조직에서 평생직장의 개년이 사라짐에 따라 구성원은 승진이나 임금보다는 노동시장에서의 고용가능성과 자신의 경력관리의 필요성에 대한 심리적인 만족을 중요시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공공조직을 대상으로 한 경력몰입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향후 실증분석을 위한 토대로서 경력몰입과 관련된 제 변수들을 고찰하였다.

  • PDF

예비유아교사의 성격에 따른 진로탄력성의 차이연구 (A Study on Differences in Career Resilience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민혜영;송경섭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77-83
    • /
    • 2023
  • 본 연구는 교육의 질을 담당하게 될 141명의 예비유아교사들의 성격에 따른 진로탄력성의 차이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직업 환경에 따른 다양한 문제해결 대처능력과 아이디어의 창출 능력을 가늠하는 진로탄력성은 교사-유아상호작용 및 유아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라 판단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성격의 유형 중외향성, 성실성 성격의 경우, 평균점수 이상의 집단이 평균이하의 집단에 비해 진로탄력성의 창의성, 유연성, 도전정신, 미래지향성에서 모두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개방성 성격의 경우는 창의성 유연성, 도전정신에서, 친화성 성격의 경우는 유연성, 미래지향성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신경증 성격의 경우는 반대로 평균점수 이하인 집단이 유연성, 도전정신, 미래지향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예비유아교사들의 긍정적인 성격 형성을 도모하고자 하는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 및 교육과정, 상담 등 포괄적인 프로그램들의 필요성을 시사한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진로정체감과 Krumboltz의 과제접근기술이 진로성숙도, 진로장벽,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reer Identity and Krumboltz's Task Approach Skills on Career Maturity, Career Barriers, and Career Aspiration)

  • 김경미;배영광;민이슬;장성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497-508
    • /
    • 2014
  • 본 연구는 진로정체감과 Krumboltz의 과제접근기술 중 낙관성, 위험감수, 불확실한 상황에 대한 인내가진로성숙도, 진로장벽,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그리고 충청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269명을 대상으로 진로정체감, 과제접근기술, 진로성숙도, 진로장벽, 진로포부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상관분석 결과 진로정체감은 진로성숙 진로포부와 정적상관을, 진로장벽과는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낙관성은 진로장벽과 부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불확실한 상황에 대한 인내는 진로성숙과는 정적상관을, 진로장벽과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진로정체감과 과제접근기술이 진로성숙, 진로장벽,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진로성숙에는 진로정체감, 낙관성, 불확실한 상황에 대한 인내부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장벽에는 진로정체감, 낙관성, 불확실한 상황에 대한 인내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진로포부에는 낙관성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상담에서 과제접근기술이 진로에 대한 태도, 진로장벽,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을 인식하고, 내담자들이 낙관성과 불확실한 상황에 대한 인내를 개발할 수 있도록 조력해야 함을 보여주었다. 이밖에도 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의 의미와 제한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영유아와 초등학생 자녀를 둔 여성 근로자의 직장-가정 갈등이 가정 및 직장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가족친화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Influence of Work-Family Conflict on Family and Job Satisfaction of Working Mothers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Friendly Benefit)

  • 김동희;정선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101-11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이하 자녀를 둔 여성근로자가 가족친화제도를 쉽게 이용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 가족친화제도 이용용이성여부가 직장-가정 갈등이 가정 및 직장생활만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화할 수 있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여성관리자패널조사(Korean Women Manager Panel) 6차 자료를 이용하여 초등학생 이하의 자녀를 가진 538명의 여성근속자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직장-가정갈등과 직장생활만족과의 관계에서 가족친화제도의 유형인 시간유연성제도, 경력유연성제도, 근로자지원제도 모두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보였다. 가정생활만족에 조절효과를 나타낸 것은 경력유연성제도가 유일했다. 유능한 여성근로자들이 경력을 단절하지 않고 자녀를 양육하며 일할 수 있도록 가족친화제도를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확산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기업과 정부차원의 적극적 지원을 제언하였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처유연성, 강인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ccupational Stress, Coping Flexibility, and Hardiness on Burnout in Nurses)

  • 조옥희;윤정은;배상현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23-232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occupational stress, coping flexibility, and hardiness on burnout in nurse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se relationships. Methods: Convenience sampling was used in this study to engage a total of 122 nurses from two general hospitals.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the nurses' occupational stress, coping flexibility, hardiness, and burnou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regard to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by using the SPSS program. Result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xtent of burnout in nurses depending on their age, marital status, educational level, and religion. Burnout and occupational stres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herea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burnout and hardiness. For the factors influencing nurses' burnout, occupational stress was identified to be most influential, followed by hardiness, total clinical career, religion, and working unit. Conclusion: To decrease burnout in nurses, there is a need for developing and deploying programs which can reduce their occupational stress and enhance hardiness.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진로 교육 분석 (Analysis of Career Education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 윤옥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5호
    • /
    • pp.107-115
    • /
    • 2024
  • 교육과정 개정은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와 능력 향상, 사회 요구에 부응하고 평등성과 포용성 강화, 교사의 전문성 강화, 국가의 경쟁력 강화, 세계화 시대에 대응하며 지속적인 발전과 혁신을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이를 통해 미래 세대에 더 나은 교육 기회와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은 학생들이 현대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지식과 기술을 반영하고, 산업과 사회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 교육과정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진로 교육을 분석하여 진로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진로 교육 관련 내용을 진로와 직업이 직접적으로 언급된 내용만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첫째, 미래 대응을 위한 교육과정에서 디지털 기초소양 강화에 진로교육과 관련된 내용이 나온다. 둘째, 학교 현장의 자율적인혁신 지원 과제영역에서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유연성 제고 세부 추진내용 중 자유학기제 편성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셋째, 학습자 맞춤형 교육 강화 영역에서, 세부 내용 중 초중등 학교급 간 진로 연계 교육 강화가 진로 교육의 핵심이다. 세부 내용 자체 영역에 진로 교육이 언급된 것이다. 이처럼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 내용은 진로 교육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진로교육의 방향이나 내용을 2022개정 교육과정에서 충실히 반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