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s service

검색결과 341건 처리시간 0.022초

시내버스 이용자의 서비스만족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o Service Satisfaction of Intra-city Bus Users)

  • 김광욱;정헌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3D호
    • /
    • pp.213-222
    • /
    • 2012
  • 부산시는 2007년 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 이후 버스 서비스 향상을 통한 이용활성화를 도모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를 위해 시내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서비스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내버스 서비스 20개 항목을 기본적 서비스, 안전운행, 노선정보, 쾌적도, 청결도 및 편의시설의 상위 6개 영향요인으로 구분하고, 각 세부 서비스에 대한 선호의식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시내버스 이용자의 일반적 특성(성별, 연령), 교통 행동(이용횟수, 탑승시간)과 교통환경(기온, 강수)에 따른 다양한 조건에서의 버스 서비스 만족 영향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기후변화에 대비하는 버스 정책과 버스 이용활성화를 위한 운영계획 수립 시 중요한 의사결정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설치된 간선도로의 서비스수준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Level of Service Analysis Method of Arterials including Exclusive Median Bus Lanes)

  • 조한선;김태형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135-144
    • /
    • 2013
  • PURPOSES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methodology to estimate level of service of arterial including Exclusive Median Bus Lanes. METHODS : On 6 Exclusive Median Bus Lanes routes in Seoul, bus travel time and number of bus-stop per km were investigated. Also whether or not passing lane exists at bus-stop was checked. Based on the data from sites, bus travel time was estimated according to length of segment, number of bus-stop per km and whether or not passing lane exists at bus-stop. RESULTS : A bus travel time table was developed according to length of segment, number of bus-stop per km and whether or not passing lane exists at bus-stop. After bus travel speed and passenger car travel speed is estimated based on each travel time table and length of segment, two speeds are combined with weighted average speed using traffic volume of each lane group. Then weighted average speed is a measure of effectiveness of arterial including Exclusive Median Bus Lanes. CONCLUSIONS :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roposed methodology can estimate level of service of arterial including Exclusive Median Bus Lanes considering the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Exclusive Median Bus Lanes.

교통약자를 위한 저상버스 탑승 예약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ow-Floor Bus Reservation System for the Transportation Weak)

  • 허성수;최영곤;박유현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39-46
    • /
    • 2018
  • 국내 저상버스 서비스는 2004년부터 최근까지 이동이 불편하고 휠체어를 탑승한 교통약자를 위해 전국적으로 보급되고 있다. 하지만, 저상버스 운행 정보가 미비하여 교통약자가 이를 이용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많은 실정이다. 따라서 휠체어를 탑승한 교통약자의 저상버스 이용률을 증가하기 위해 교통약자를 위한 저상버스 이용 서비스 개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휠체어를 탑승한 교통약자의 저상버스 이용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 저상버스의 운행 정보와 탑승하고자 하는 저상버스에 탑승예약을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저상버스 탑승예약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본 논문의 시스템을 적용하게 되면 저상버스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들에게 보다 좋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버스 정류장의 서비스 수준 및 평가모델 구축에 관한 연구 (Establishment about Service Level and Evaluation Model of Bus Stop)

  • 이원규;정헌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2D호
    • /
    • pp.217-225
    • /
    • 2008
  • 버스 정류장은 많은 승객이 이용하기 때문에 편리한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이용자 중심으로 환경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GAP, IPA,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버스 정류장 서비스 수준에 대한 이용자 평가모델 구축을 통하여 그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버스 정류장의 31개 서비스 항목에 대한 GAP 구축에서는 장애인 관련 시설, 버스 이용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항목에서 차이가 높게 나타났다. IPA의 현재 서비스의 경우는 버스 운행 관련 정보, 보조시설, 장애인 지원시설에서 우선 시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서비스 기대치의 경우는 버스 운행 관련 정보 및 환승시설, 장애인 지원시설에서 지속적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에 의한 버스 정류장 서비스 평가모델은 적합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버스 정류장 전체 만족도에는 시설 이용 만족보다는 대기 만족 그리고 버스 정류장 시설 이용 만족에는 버스 운행 관련 정보 만족, 보조시설 만족, 버스 운행 정보 및 환승시설, 장애인 지원시설이 상대적으로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현재 버스 정류장에 대한 전체 만족도가 낮을수록, 전체 만족도에 대한 기대치가 높게 요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버스 운행 관련 정보와 장애인 지원시설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개선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버스서비스 개선을 위한 버스몰림지표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Bus Bunching Indices for Bus Service Improvement)

  • 김은경;노정현;김영찬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11
    • /
    • 2008
  • 버스는 개인교통수단에 비해 대량수송이 가능한 경제적, 친환경적 교통수단으로 인식되면서 서비스 개선을 위한 다양한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특히, BMS(Bus Management Systems)와 같은 첨단대중교통체계의 수립은 버스운행에 대한 효율적 관리를 통한 운행서비스를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활용되고 있다. 현재 버스운행관리는 대부분 정시배차와 같은 정시성과 관련한 신뢰성 관리에 초점을 두고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류장에서 버스몰림 운행관리의 필요성과 몰림현상에 대해 설명하고 정차면수 기준과 평균버스도착율을 기준으로 한 2가지 유형의 버스몰림지표를 개발하였다. 버스몰림지표는 서울시 교통정보서비스 (TOPIS, Transportation & Information Service)의 BMS 버스운행이력 자료를 이용하여 중앙버스전용차로인 도봉미아로와 일반차로인 통일의주로에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도심에 가까운 정류소가 외곽의 정류소에 비해 몰림운행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간대별로는 오전 첨두시간대에 버스몰림이 심각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버스정시성 지표와 비교함으로서 보완지표로서 활용성을 제시하였다. 중앙전용차로와 일반차로의 몰림운행 비교를 통한 중앙전용차로의 확대시 참고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며, 정차면수(Number of Berth)와 같은 버스정류소 규모 및 노선배치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 PDF

버스운행관리 및 수송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us Operation and the Strategy for Bus Transport Improvement)

  • 배기목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23-130
    • /
    • 1999
  • The bus as a feeder trip should supply equality service to the whole community. But in spite of the change of latent demand to the bus by the variety of regional structural change, the existing bus route can not supply effective feeder service. For cope with the latent demand to the bus, this study establish a concept that frame of the bus operation and management. This study tackled to evidence this fact by analyzing the bus transport problems in terms of the urban growth, and following issues were discussed: 1) the strategy for improvement of bus operation, 2) the land use control which is appropriate for the public transport network, 3) the economical range to justify the bus operation, 4) the allowance for the private transport mode. On the second part of this study, the difference on the bus operation was compared to determine the range within which the bus operation can be justified. This would provide the direction to improve the management for bus operation and fundamental information to develop the bus operation system.

버스운행관리 및 수송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us Operation Management and Transport Strategy)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323-332
    • /
    • 1999
  • The bus should supply an equal service to the whole community as feeder trip. However the existing bus route can not supply an effective feeder service in spite of the changes in the latent demand by the variety of regional structural change.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the concept which frames the bus operation and management to cope with the latent demand to the bus. This study tackled this evidence by analyzing the transportation problems in terms of the urban growth emphasizing the following issues ; First, the strategy to improve the bus operation Second the land use control appropriate for the public transportation network Third economical range to justify the bus operation Second, the land use control appropriate for the public transportation network Third, economical range to justify the bus operation Fourth, the allowance for the private transportation mode On the latter part, the difference on the bus operation was compared to determine the range within which the bus operation could be justified. This study would provide some implications to improve the management for bus operation and fundamental information to develop the bus operation system.

  • PDF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시외버스 서비스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연구 -충남 시외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Exploring Factors Influencing the use of Intercity-bus Services by means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 - Focusing on Intercity-bus Users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

  • 김원철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100-10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시외버스 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충남 시외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대인면접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환경요인이 운행요인보다 서비스 만족에 더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정류장청결과 교통카드충전의 편리성이 버스청결보다 중요한 요인이며, 여성의 경우, 정류장청결, 카드충전편리, 이용요금적정성 보다 버스청결이 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경요인의 만족도가 높아질수록 이용자는 이용했던 버스를 타인에 권유하는 의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외버스 서비스 만족도를 높이고 시외버스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버스의 청결도를 높여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는 시외버스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정책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배터리 자동 교체형 전기버스 운영 시스템의 개념적 설계 및 시뮬레이션 (Conceptual Design and Simulation of an Unmanned Battery Exchangeable Electric Bus Management System)

  • 김한얼;박준석;오하령;성영락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3권3호
    • /
    • pp.63-72
    • /
    • 2014
  • 배터리 교체형 전기버스는 친환경 공공교통 수단이다. 그러나 기술적 한계로 인하여, 이 버스는 소모된 배터리를 충전된 배터리로 반복해서 교체해야 한다. 현재 국내에서 연구 중인 배터리 자동 교체형 전기버스는 배터리 무인 자동교체소에서 자동으로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배터리 자동 교체형 전기버스 운영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두 가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첫째, 이 시스템은 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서비스는 기존 대도시에서 서비스 중인 버스정보시스템의 기능으로, 버스 승객들에게 버스를 얼마나 기다려야 하는지를 알려준다. 둘째, 배터리 교체 스케줄링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서비스는 배터리 잔량이 얼마 남아있지 않거나 배터리 교체를 원하는 버스를 완충된 배터리를 저장하고 있는 배터리 무인 자동교체소로 할당하는 역할을 한다. 제안된 시스템을 검증하기 위해서 시스템을 DEVS형식론으로 모델링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된 시스템은 위의 서비스들을 충실히 수행함을 알 수 있었다.

시내버스업체의 경영 및 서비스 평가제도 도입 효과분석 (An Effect Analysis on the Management and Service Evaluation System for Bus Company)

  • 김점산;조혜정;박준식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43-55
    • /
    • 2007
  • 경기도는 대중교통의육성및이용촉진에관한법률 제18조(대중교통운영자에 대한 경영 및 서비스평가)와 동법 시행령 제21조 -25조를 근거로 2005년부터 매년 버스업체에 대한 경영 및 서비스 평가를 시행하고 있다. 버스업체에 대한 경영 및 서비스평가 결과는 버스서비스 개선을 위한 정책수립에 활용함과 동시에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제51조에 의한 버스재정지원금 중 운영개선지원금과 경영 및 서비스평가 인센티브 산정에 적용하고 있다. 경영 및 서비스평가는 많은 인력과 재원이 투입되고 버스업체의 경영 및 서비스 평가제도에 대한 저항이 존재하는 만큼 제도의 지속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도입 효과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의 경영 및 서비스평가 도입효과를 정성적 방법과 정량적 방법을 병행하여 평가한 결과 도입효과를 긍정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정량적 평가는 버스업체에 대한 일반현황 조사, 유관기관 조사, 그리고 행정기관 조사에 의한 결과를 제도가 최초 도입된 2005년과 2006년을 대상으로 전후비교를 통해 분석되었으며, 평가결과를 종합하면 제도 도입에 따른 도입효과를 확실히 확인할 수 있었다. 정성적 평가는 행정기관 버스재정지원담당자, 버스업체 운영자(경영자), 운전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기초로 분석되었으며, 평가결과를 종합하면, 모든 조사항목에서 평가제도 도입효과에 대해 긍정적 답변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나 경영 및 서비스 평가제도에 대하여 설문대상자들이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평가지표의 적정성, 평가의 실효성에 문제에 대한 대응논리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스서비스 향상을 위한 평가항목의 보완 및 평가항목별(분야별) 목표 값을 설정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