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서비스 개선을 위한 버스몰림지표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Bus Bunching Indices for Bus Service Improvement

  • 김은경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
  • 노정현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
  • 김영찬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발행 : 2008.12.31

초록

버스는 개인교통수단에 비해 대량수송이 가능한 경제적, 친환경적 교통수단으로 인식되면서 서비스 개선을 위한 다양한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특히, BMS(Bus Management Systems)와 같은 첨단대중교통체계의 수립은 버스운행에 대한 효율적 관리를 통한 운행서비스를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활용되고 있다. 현재 버스운행관리는 대부분 정시배차와 같은 정시성과 관련한 신뢰성 관리에 초점을 두고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류장에서 버스몰림 운행관리의 필요성과 몰림현상에 대해 설명하고 정차면수 기준과 평균버스도착율을 기준으로 한 2가지 유형의 버스몰림지표를 개발하였다. 버스몰림지표는 서울시 교통정보서비스 (TOPIS, Transportation & Information Service)의 BMS 버스운행이력 자료를 이용하여 중앙버스전용차로인 도봉미아로와 일반차로인 통일의주로에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도심에 가까운 정류소가 외곽의 정류소에 비해 몰림운행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간대별로는 오전 첨두시간대에 버스몰림이 심각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버스정시성 지표와 비교함으로서 보완지표로서 활용성을 제시하였다. 중앙전용차로와 일반차로의 몰림운행 비교를 통한 중앙전용차로의 확대시 참고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며, 정차면수(Number of Berth)와 같은 버스정류소 규모 및 노선배치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As bus is realized by economical, environmental transportation that is available mass transport than car, various policy for improvement of services is achieved. As innovative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like BMS (Bus Management System) have established, it is possible to manage bus service efficiently. However, the present bus service management system mainly focuses on enhancing service reliability represented by schedule adherence index. This study discusses the necessity of a special management for bus bunching phenomena at stops, and develops two kinds of bus bunching indices based on the Number of Berth and the Average Bus Arrival Rate. The bus bunching indices were measured by utilizing the bus operational information from BMS at the Seoul TOPIS(Transportation & Information Service). In order to evaluate the sensitivity of the Indices, the indices were applied to two different bus groups: buses on exclusive bus median lane, and regular (shared) lanes. As analysis result, is bunching as is near in downtown and is bunching to peak time morning than the afternoon. Compared with the schedule adherence index, the suggested indices were proved as an efficient complementary indices in the evaluation of the bus operational performance. The results of index comparison between exclusive bus median lane and shared lanes can promote the expansion of exclusive bus median lane. Moreover, it can also be used as a reference in deciding bus station scale including the Number of Berth and the route adjustment pla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