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vine.

검색결과 3,794건 처리시간 0.029초

Candida속 균의 항진균성약제에 대한 감수성 (Antifungal susceptibility of Candida spp isolated from bovine mammary glands and teat cups of milking machines)

  • 여상건;정규영;조희택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9-73
    • /
    • 1989
  • 준임상형 유방염 이환 젖소의 유즙과 유두컵으로부터 분리된 Candida속 균의 8종 항진균성약제에 대한 감수성을 조사하였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 53주의 Candida속균 중 98.2%, 94.4%, 84.8%의 균주가 각각 clotrimazole, econazole, miconazole의 농도 $25{\mu}g/ml$이하에서 발육이 억제됨으로서, 이들 약제의 항균력이 타 약제에 비하여 우수하였다. 균종별로 보면 C albicans는 clotrimazole에 대한 감수성이 가장 높았으며, 기타 비교적 감수성이 높았던 약제는 5-fluorocytosine, econazole, miconazole의 순이었다. C pseudotropicalis와 C guilliermondii는 haloprogin, clotrimazole, miconazole, econazole, 5-fluorocytosine등에 높은 감수성을 나타내었으며, haloprogin의 평균 MIC가 $0.17{\sim}0.19{\mu}g/ml$로 가장 우수하였다. C krusei는 cycloheximide에 대한 감수성이 가장 높았으며, 그의 비교적 감수성이 높았던 약제는 clotrimazole, haloprogin, miconazole, econazole의 순이었다. 한편 C parapsilosis는 econazole, cycloheximide, clotrimazole등에 다소 감수성을 나타내었으나, 이들 약제의 MIC는 econazole(기하평균 MIC $7.26{\mu}g/ml$)을 제외하고는 타균종에서 보다 현저히 낮았다. 또한 C tropicalis는 전 공시약제에 대하여 감수성이 낮은 경향이었다.

  • PDF

Bacillus subtilis을 이용한 Pasteurella haemolytica A1 leukotoxin 유전자의 cloning 및 발현 (Cloning and Expression of the Pasteurella haemolytica A1 leukotoxin Gene in Bacillus subtilis)

  • 유한상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665-680
    • /
    • 1996
  • Bovine Pneumonic Pasteurellosis는 수송열(輸送熱)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질병으로서, 여러가지 요인의 복합적(複合的)인 작용에 의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Pasteurella haemolytica A1이 가장 주요(主要)한 인자(因子)로 밝혀져 있다. P haemolytica A1은 leukotoxin(LKT), lipopolysaccharide(LPS), capsular polysaccharide 등 여러가지의 병원성인자(病原性因子)을 생성한다. 이들 인자중 LKT가 가장 중요한 병원성인자로 밝혀져 있다. 이에 본 실험은 P haemolytical A1의 LKT 유전자를 Bacillus subtilis에서 발현(發現)시킴으로서 LPS에 오염(汚染)되지 않은 LKT을 대량으로 생산할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실험의 첫 단계(段階)로서 pLKT52 plasmid을 Sau3 A1의 제한효소을 이용하여 부분소화(部分消化)시킨 후 이 부분 소화(消化)된 유전자들로부터 3~5kb 크기의 유전자들을 순수분리하여 pUC18와 결합시킨 후 E coli NM522에 형질전환(形質轉換)시켰다. 이때 형질전환된 균주들은 LKT에 대한 단크론 항체인 MAb601을 이용하여 colony blot 법에 의해서 LKT 유전자 보유 및 발현여부(發現與否)을 조사하였다. 이들 양성 clone들은 제한효소분석(制限酵素分析), 염기서열분석(鹽基序列分析) 및 Western blot 등에 의해서 재확인(再確認)하였다. 총 9개의 양성 clone중 위의 방법에 의해서 한 clone을 선택(選擇)하여 lktCA insert를 재분리하여 shuttle vector에 subcloning 하였다. Subcloning된 LKT 유전자들은 shuttle vector의 종류(種類)(pHPS9, p602/20, pHPS9-Sac)와 각기(各其) 다른 종류(種類)의 B subtilis(spoO12A, BR121, WB3O, Raj1105) 숙주내(宿主內)에서 발현정도를 Western blot 법에 의해서 비교(比較)하였다. 이때 최적발현조건(最適發現條件)은 p602/20와 pBL1의 dual plasmid system을 이용하여 B subtilis spoO12A에서 2시간동안 IPTG로 발현을 유도(誘導)하는 것이었다. B subtilis에서 발현된 LKT을 visual 법과 neutral red uptake 법을 이용하여 소 폐포(肺胞) 대식구(大食求)에 대한 biological activity를 확인하였다. 발현된 LKT에 대한 LPS 오염은 LKT을 SDS-PAGE 후 silver stain에 의해서 확인하였다. 본 실험을 통해서 볼 때에 lktCA 유전자를 보유(保有)하고 있는 p602/20는 B subtilis에서 매우 불안정(不安定)하였고, 발현된 LKT는 세균자체(細菌自體)에서 생성되는 protease들에 의해서 파괴(破壞)됨으로서 농도(濃度)가 매우 낮았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다음 단계(段階)의 실험에서 해결되어야할 문제들이다.

  • PDF

시료고체상분산(matrix solid phase dispersion)전처리법을 이용한 식육중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물질 동시정량분석 (Multiresidue matrix solid phase dispersion (MSPD) extraction and HPLC determination of tetracyclines in animal muscle tissue)

  • 강환구;손성완;조병훈;이혜숙;박신자;김재학;조명행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541-550
    • /
    • 1996
  • Tetracycline antibiotics have been widely used not only therapeutics but feed additives. There are many methods for the isolation and determination of tetracycline antibiotics in animal muscle tissue. But those methods take much time and labor, so it is difficult to analyse many samples simultaneously. A rapid isolation method and 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tetracycline antibiotics in animal muscle tissue (bovine, porcine, chicken) is presented. Blank control and tetracyclines fortified samples (0.5g) were blended with $C_{18}$ containing 0.05g each of oxalic acid and disodium ethylenediaminetetraacetate. After homogenize, homogenate was transferred to glass column made from 10ml glass syringe and compressed to 4~4.5ml volume. A column made from the $C_{18}$/meat matrix was washed with hexane (8ml) and dichloromethane (8ml, if needed), following which the tetracyclines were eluted,vith methanol or 0.01M methanolic oxalic acid (8ml). The eluates containing tetracyclines analytes were free from interfering compounds when analysed by HPLC with UV detection (photodiode array at 360nm). Standard curve for each tetracycline showed a linear response at the range of $0.05{\sim}1.0{\mu}g/ml$ and tetracycline antibiotics were eluted within 4ml of eluted volume. All tetracycline antibiotics except tetracycline were stable during the concentration process at $40^{\circ}C$ and time required for concentration was 3~4 hours. Fortified samples containing oxalic aicd and EDTA represented more good recoveries than those of not-contained sample. Recoveries were 91.8~110.1% (oxytetracycline; OTC), 57.7~79.5% (tetracycline; TC), 78.1~88.6% (chlortetracyclines; CTC) and 88.4~100.6% (doxycycline; DC) in pork tissue, 101.1~126.8% (OTC), 66.4~75.4% (TC), 79.2~88.1% (CTC) and 69.3~86.7% (DC) in beef tissue, and 90.8~95.6% (OTC), 66.2~84.4% (TC), 75.7~77.2% (CTC) and 55.6~80.7% (DC) in chicken muscle tissue. The detection limits validated in muscle tissue by this method were $0.05{\mu}g/g$ for OTC and TC, and $0.1{\mu}g/g$ for CTC and DC.

  • PDF

제주마에서 총마 모색의 유전 양성과 후보 유전좌위의 유전적 다형성 (Genetic Polymorphisms of Candidate Loci and Inheritance Ppatterns of Gray Coat Color in Jeju Horses.)

  • 한상현;이종언;김남영;고문석;정하연;이성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793-798
    • /
    • 2009
  • 본 연구는 제주마에서 빈번하게 관찰되는 전신성 백모색 발생의 유전 양상과 유전적 변이와의 상관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백모색은 표현형과 MC1R 유전자형 분석 자료의 조합을 근거로 결정한 가라, 유마, 적다 등 모든 기본 모색에서 관찰되었다. 제주마에서는 타 품종들에서 KIT 유전자의 이형 접합성에 의해 발생하는 선천성 백색에 대한 잠재적 돌연변이 들은 발견되지 않았다. STX17 유전자의 intron 6 에서 4.6-kb 중복을 보유한 개체들에서 특이적으로 탈색된 백모색이 관찰되었다. 관찰기록과 STX17 유전자형에 따라 제주마에서 관찰되는 탈색된 백화현상은 총마(점진적 백화증, Gray) 로 확인되었다. 가계도 분석에서 총마 형질은 상동염색체성 우성유전형 질로 나타났으며 상동염색체성 열성형질인 albinism과도 구분되었다. 제주마에서 총마 모색이 자마 시기에는 명확하게 발현되는 않으며, 종종 다른 표현형들과 혼동을 일으키기도 하기 때문에, 총마와 이와 유사한 표현형으로 출생 시부터 혼합 모색을 나타내는 조모색, 상처 치료 후 백화, 백반 유사피부 백색증 등에 대한 추가 연구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총마와 유전적 배경의 관계를 구명한 본 연구결과는 제주마에서 분자육종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우 CLMN 유전자 exon 8번 영역의 신규 단일염기다형과 근내지방도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A Novel SNP in the Exon 8 Region of the CLMN Gene and Its Association with Marbling Score in Hanwoo)

  • 신성철;정의룡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2호
    • /
    • pp.1314-1320
    • /
    • 2019
  • 본 연구는 한우 CLMN 유전자 exon 8번 영역의 단일염기다형과 육량 및 육질형질과의 연관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또한, 한우 등심조직에서 근육 내 지방함량의 극명한 차이를 나타내는 고지방육 그룹과 저지방육 그룹 간 CLMN 유전자의 발현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CLMN 유전자는 고지방육 그룹에서 더 높게 발현되었다. 한우 CLMN 유전자의 exon 8번 영역에서 총 9개의 단일염기다형을 검출하였으며, 이들 SNP의 유전자형과 육량 및 육질형질과의 연관성을 평가하기 위해 direct-sequencing 분석을 통하여 각 개체별 SNP genotyping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exon 8번 영역 내에 존재하는 g.23249G>C SNP가 근내지방도 형질과 유의적인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CC 및 GC 유전자형을 가진 개체들은 GG 유전자형을 가진 개체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더 높은 근내지방도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관불평형 분석을 통해 CLMN 유전자의 haplotype을 구성하고 육량 및 육질형질과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근내지방도와 유의적 연관성이 입증되었다. 즉, CC-CC haplotype(g.23249G>C and g.23465T>C SNPs)을 가진 개체들이 CT 및 GT haplotype을 갖는 개체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더 높은 근내지방도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발굴된 CLMN 유전자의 SNP는 육량과 육질형질이 우수한 한우를 선발하기 위한 분자 마커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Whole-Genome Resequencing Analysis of Hanwoo and Yanbian Cattle to Identify Genome-Wide SNPs and Signatures of Selection

  • Choi, Jung-Woo;Choi, Bong-Hwan;Lee, Seung-Hwan;Lee, Seung-Soo;Kim, Hyeong-Cheol;Yu, Dayeong;Chung, Won-Hyong;Lee, Kyung-Tai;Chai, Han-Ha;Cho, Yong-Min;Lim, Dajeo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38권5호
    • /
    • pp.466-473
    • /
    • 2015
  • Over the last 30 years, Hanwoo has been selectively bred to improve economically important traits. Hanwoo is currently the representative Korean native beef cattle breed, and it is believed that it shared an ancestor with a Chinese breed, Yanbian cattle, until the last century. However, these two breeds have experienced different selection pressures during recent decades. Here, we whole-genome sequenced 10 animals each of Hanwoo and Yanbian cattle (20 total) using the Illumina HiSeq 2000 sequencer. A total of approximately 3.12 and 3.07 billion sequence reads were mapped to the bovine reference sequence assembly (UMD 3.1) at an average of approximately 10.71- and 10.53-fold coverage for Hanwoo and Yanbian cattle, respectively. A total of 17,936,399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were yielded, of which 22.3% were found to be novel. By annotating the SNPs, we further retrieved numerous nonsynonymous SNPs that may be associated with traits of interest in cattle. Furthermore, we performed whole-genome screening to detect signatures of selection throughout the genome. We located several promising selective sweeps that are potentially responsible for economically important traits in cattle; the PPP1R12A gene is an example of a gene that potentially affects intramuscular fat content. These discoveries provide valuable genomic information regarding potential genomic markers that could predict traits of interest for breeding programs of these cattle breeds.

한우의 생식세포 보존에 관한 연구 I. 한우 정액의 일반성상 및 동결후 생존성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Preservation of Germ Cells in Hanwoo I. Effects of Frozen Thawed Viability and Characteristics in Bovine Semen)

  • 이명식;박정준;전기준;정영훈;우제석;박수봉;임석기;연성흠;손동수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43-149
    • /
    • 2003
  • 한우의 유전자원을 보존하기 위하여 정액동결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고급육계통은 육질에 대한 육종가 상위 10% 이내의 자손에서 선발하였고 다 유계통은 어미의 이유시 체중에 대한 육종가 상위 10%이내의 자손에서 선발하였으며 2개 계통에서 종모우 총 13두를 선발하여 공시하였다. 정액채취는 인공질법으로 실시하였고 의빈대에 수소를 계류하고 채정대상우를 승가시켰으며, 3회 가승가후에 채정하였다. 채정후 10분 이내에 실험실로 옮겨와 검사항목을 조사하고 37$^{\circ}C$에서 1차 희석을 하고 5$^{\circ}C$까지 하강한 후 2차 희석을 하였으며, 액체 질소 5cm 위에서 5분간 평형후 침지하여 동결하였다. 이들 종모우 정액의 일반적 성상에 있어서 채정된 정액량은 1차와 2차를 합하였을 때 평균 채정량이 5.7 ml였고 정자농도는 975${\times}$$10^{6}$개였으며 정액의 색상은 유백색이었고 pH는 6.8이었다. 채취시 생존성은 90.2% 그리고 동결 융해후에는 65.7 %가 생존하였으며 총 6,870스트로우의 동결 정액을 생산하여 보존하였다.

소 난포란의 체외성숙과 체외수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IN-Vitro Maturation and Fertilization of Bovine Follicular Oocytes)

  • 김상근;이만휘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2
    • /
    • 1992
  • 본 연구는 소의 난포란의 체외성숙과 체외수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미숙 난포란을 채취하여 형태적 분류를 통해 우수한 란을 공시한 후 난포의 크기, 정액의 형태, 수정능득법, 혈청, 호르몬, 난포액, 난구세포등을 첨가한 TCM-199 배양액에서 배양하면서 체외성숙 및 수정율을 조사하였는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소 난포란을 채취하여 배양을 통해 형태적 분류를 했을때 A형란은 61.4%, B형란은 12.1%, C형란은 19.2%, D형란은 4.2%였으며 발생중지 또는 퇴화란은 3.0%였다. 또한 A, B, C형란을 배양액에 배양했을때 난포란의 체외성숙율은 각각 89.1%, 78.0%, 52.6%였으며, 수정율은 각각 78.1%, 66.1%, 33.3%였다. 2. 소 난포의 크기를 1-2mm, 3-5mm 및 5mm이상으로 분류하여 채취한 난포란의 수는 각각 67개, 98개, 63개 였으며, 이를 TCM-199 배양액에서 배양했을때의 체외성숙 및 수정율은 각각 56.7%와 44.8%, 82.5%, 72.4%와 46.0%와 28.6%였다. 3. 소 난포란의 체외수정에 있어서 정소상체 미부정자, 희택정액 및 동결정액을 이용하여 매정하였을때 체외수정율과 분할율은 각각 63.3%, 73.3%, 70.0%와 32.7%, 37.8%, 38.3%였다. 4. 소 난포란의 체외수정에 있어서 m-KRB 처리법, HIS처리법, Ca-IA처리법, BFF처리법 및 heparin처리법으로 각각 수정능획득을 유기하였을때 체외성숙 및 분할율은 각각 53.1%, 28.1%, 33.9%와 17.7%, 50.8%와 26.2%, 48.1%와 22.8% 및 58.8%와 32.8%로서 heparin 처리법이 가장 높았다. 5. 소 난포란의 체외성숙과 수정에 있어서 각 농도의 우태아혈청과 FSH, HCG, $\beta$-estradiol을 첨가한 TCM-199배양액에서 배양했을때의 체외성숙 및 수정율은 각각 76.0-82.3%와 26.2-70.0%로서 무첨가에 비해 첨가가 높았다. 6. 발정우혈청 및 우태아혈청 5-20%를 첨가한 배양액에서 배양했을때의 체외성숙율은 각각 71.7-76.9%, 74.0-80.6%였으며 체외수정율은 51.9-58%와 26.2-30.0%로서, 체외수정율의 경우 발정우혈청의 첨가가 우태아혈청의 첨가에 비해 높았다. 7. 난포액20-30%를 첨가한 배양액에서 배양했을때의 난포란의 체외성숙율은 각각 68.0%와 64.6%, 수정율은 각각59.6%와 60.4%로서 난포액10%, 50%를 첨가한 배양액에서 배양시의 체외성숙율과 수정율에 비해 높았다. 8. 1$\times$10 6 /ml의 난구세포를 첨가한 배양액에서 배양했을때의 난포란의 체외성숙율과 수정율은 각각 76.5%와 61.7%로서 FCS 10%와 1$\times$10 4 -10 5/ml 와 1 $\times$10 8/ml난구세포를 첨가한 배양액에서 배양시의 체외성숙율과 수정율에 비해 높았다.

  • PDF

체외 배양액의 조성과 혈청의 첨가가 한우 체외 수정란의 발달과 임신율에 미치는 효과 (Development a Following of Serum Addition In Vitro Culture and Embryo Transfer)

  • 최수호;박용수;이준희;강태영;김주헌;노규진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1-57
    • /
    • 2008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icient methods to produce in vitro Hanwoo embryos, and to improve the pregnancy rate. The developmental rate, total cell number and ICM ratio of in vitro embryos were compared amongst different culture media. Comparisons were also made on the status of recipients, pregnancy rate along with day of transfer after the estrus. Development of embryos into blastocyst stage in IVMD101 supplemented with 5% fetal bovine serum (FBS)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34.2%) than that of TCM-199 supplemented with 5% FBS (26.8%) and IVMD101 without FBS (25.9%) (p<0.05). The development rate to blastocyst stage was significantly faster in IVMD101(5% FBS) than that of other groups ($0.2{\sim}2.3%$) (p<0.05). The average number of inner cell mass and trophectoderm were similar among treatment groups, which were $36.0{\sim}44.7$ and $83.3{\sim}106.7$. However, total cell number in IVMD101(5% FBS and 0% FB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CM199(5% FB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pregnancy rate among treatment groups (32.0%, 33.9% and 28.6%, respectively). However, the pregnancy rate of Day 6 embryos cultured in IVMD101(5% FBS) was significantly (p<0.01) higher than IVMD101 without FBS and TCM-199 + 5% FBS (38.0% vs. 17.2% and 32.4%, respect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for the pregnancy rate between heifer and cow transferred with Day 6 embryos cultured in IVMD 101(5% FBS) (42.7% and 39.3%, respectively).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pregnancy rate (p<0.05) in heifer between one and two embryos transferred (31.4% and 41.9%). There was no difference of pregnancy rate among transfer days after estrus between heifer and cow, but the pregnancy rate of transfer to heifer with day 6 after estrus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at of day 7 and 8 (22.2% vs. 49.0% and 38.7% respectively).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re is a possibility to produce in vitro produced embryos cultured in IVMD101(5% FBS) showed higher blastocyst rate and the increased cell number. In terms of the pregnancy rate of in vitro produced embryos, the highest pregnancy rate was observed when two embryos were cultured in IVMD101(5% FBS) and transferred.

Comparison between Two Cryo-devices for Vitrification of Immature Oocytes of Indigenous Zebu Cows in Bangladesh

  • Choudhury, Sk Mohiuddin;Bhuiyan, Mohammad Musharraf Uddin;Rahman, Mohammad Moshiur;Rahman, Md. Masudur;Sharif, Md. Newaz;Bhattacharjee, Jayonta;Bari, Farida Yeasmin;Juyena, Nasrin Sultana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11-317
    • /
    • 2017
  • Cryopreservation of oocytes by vitrification technique may contribute a lot in the field of reproductive biotechnology.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wo cryo-devices for vitrification of immature oocytes of indigenous zebu cows. Slaughter house derived immature cumulus-oocyte-complexes (COCs) of cows were vitrified using 15% dimethyl sulphoxide (DMSO) as cryoprotective agent (CPA) with 0.5 mol sucrose in TCM 199 supplemented with 20% FBS. Vitrification of COCs was completed after immediate plunging of COCs loaded cryotop or French mini straw into the liquid nitrogen ($LN_2$). Then the COCs containing cryotop or French mini straws were warmed in 0.25 mol sucrose and 20% FBS supplemented TCM 199 followed by in vitro culture in $50{\mu}l$ droplets of bicarbonate buffered TCM 199 supplemented with 10% FBS, pyruvate, FSH and oestradiol for 24 hrs at $39^{\circ}C$ with 5% CO2 in humidified air. After maturation culture, oocytes were denuded and examined under inverted microscope for presence of polar body as the indication of maturation. Denuded oocytes were also stained by whole mount technique using 1% orcein to examine the maturation by presence of MII chromosomes. The in vitro maturation rate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oocytes vitrified and warmed using crytop ($47.1{\pm}6.9%$) than that of French mini straw ($15.9{\pm}12.5%$). Moreover, in vitro maturation rate was significantly (p<0.05) highe r in control oocytes (not vitrified) ($84.5{\pm}14.2%$) than that of vitrified oocytes. In conclusion, cryotop is better than French mini straw as cryo-device for vitrification of bovine immature oocy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