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in exon 8 region of the calmin (CLMN) gene and to evaluate their associations with meat yield and quality traits in Hanwoo (Korean cattle). We compared gene expression pattern of CLMN between high and low marbling score groups with extremely different intramuscular fat content of the longissimus lumborum muscles in Hanwoo. The CLMN gene was highly expressed in the high marbling score group. Total of nine SNPs were identified in the exon 8 region of CLMN gene, genotyping of the SNPs was carried out using direct-sequencing analysis in Hanwoo population (n=300) to evaluate their association with meat yield and quality traits. As a result, g.23249G>C in exon 8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arbling score. Animals with the CC and GC genotypes had higher marbling score than those with the GG genotype. We constructed haplotypes of CLMN gene by linkage disequilibrium analysis and analyzed association between haplotypes and meat yield and quality traits. Haplotype of CLMN gene was associated with marbling score. As a result, animals with the CC-CC haplotype (g.23249G>C and g.23465T>C SNPs) had higher marbling score than those with CT and GT haplotyp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SNPs of bovine CLMN gene may be a useful molecular marker for selection of meat quality traits in Hanwoo.
본 연구는 한우 CLMN 유전자 exon 8번 영역의 단일염기다형과 육량 및 육질형질과의 연관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또한, 한우 등심조직에서 근육 내 지방함량의 극명한 차이를 나타내는 고지방육 그룹과 저지방육 그룹 간 CLMN 유전자의 발현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CLMN 유전자는 고지방육 그룹에서 더 높게 발현되었다. 한우 CLMN 유전자의 exon 8번 영역에서 총 9개의 단일염기다형을 검출하였으며, 이들 SNP의 유전자형과 육량 및 육질형질과의 연관성을 평가하기 위해 direct-sequencing 분석을 통하여 각 개체별 SNP genotyping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exon 8번 영역 내에 존재하는 g.23249G>C SNP가 근내지방도 형질과 유의적인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CC 및 GC 유전자형을 가진 개체들은 GG 유전자형을 가진 개체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더 높은 근내지방도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관불평형 분석을 통해 CLMN 유전자의 haplotype을 구성하고 육량 및 육질형질과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근내지방도와 유의적 연관성이 입증되었다. 즉, CC-CC haplotype(g.23249G>C and g.23465T>C SNPs)을 가진 개체들이 CT 및 GT haplotype을 갖는 개체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더 높은 근내지방도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발굴된 CLMN 유전자의 SNP는 육량과 육질형질이 우수한 한우를 선발하기 위한 분자 마커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