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rate

검색결과 283건 처리시간 0.027초

Hydrophobic Interaction between Rhodamine 6G and Tetraphenylborate Anions

  • Lee, Beom-Gyu;Jung, Rae-Seok;Kim, Kang-Ji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0권2호
    • /
    • pp.158-161
    • /
    • 1989
  • The hydrophobic interaction occurring between rhodamine 6G and tetraphenylborate anions has been investigated with surfactants by absorption and fluorescence studies. In the order of tetraphenylborate, tetrakis(4-fluorophenyl)borate, and tetrakis[3,5-bis(trifluoromethyl)phenyl]borate the hydrophobicity is found to be increased.

Fire Performance of the Wood Treated with Inorganic Fire Retardants

  • Son, Dong-Won;Kang, Mee-Ran;Kim, Jong-In;Park, Sang-Bum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0권5호
    • /
    • pp.335-342
    • /
    • 2012
  • To prepare the eco-friendly fire retardant wood, Japanese red pine (Pinus densiflora), Hemlock (Tsuga heterophylla), and Radiata pine (Pinus radiata) were treated with inorganic chemicals, such as sodium silicate, boric acid, ammonium phosphate, and ammonium borate. Different combination and concentration of those chemicals were impregnated by vacuum/pressure treatment methods. The electron-beam treatment was used to increase the chemical penetration into the wood. The fire performance of the fire retardant treated wood was investigated. The penetration of chemicals into the wood was enhanced after electron beam treatment. Ignition time of the treated wood was the most effectively retarded by sodium silicate, ammonium phosphate, and ammonium borate. The most effective chemical combination was found at 50% sodium silicate and 3% ammonium borate, which satisfied flammability criteria for a fire retardant material in the KS F ISO 5660-1 standards.

Borate 완충용액에서 철의 부식에 대한 대기의 영향 (Atmospheric Effects on Corrosion of Iron in Borate Buffer Solution)

  • 김현철;김연규
    • 대한화학회지
    • /
    • 제56권6호
    • /
    • pp.673-678
    • /
    • 2012
  • 변전위법과 선형분극법을 이용하여 Borate 완충용액에서 철의 부식에 대한 대기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철의 부식은 용액 속에 녹아있는 산소의 양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용액에 녹아 있는 산소의 환원반응으로 환원전류가 증가하여 부식전위가 양의 방향으로 이동하였다. 물 또는 산소의 환원 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OH^-$ 이온은 철 전극의 전기이중층에 $OH^-$ 이온의 농도를 증가시켜 철 전극에 $OH^-$ 이온의 흡착을 용이하게 하였다. 철 전극 표면에 $OH^-$ 이온의 흡착은 Langmuir isotherm 또는 Temkin logarithmic isotherm을 이용하여 설명할 수 있었다.

모세관 전기이동을 이용한 ${\delta}$-Aminolevulinc acid와 Porphobilinogen의 분리

  • 김진남;윤종선;류화원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12-515
    • /
    • 2000
  • 일정전류와 일정전압조건 모두에서 완충액 농도가 증가할수록 시료들의 이동시간이 증가하였으며 전압이 높을수록 시료들의 이동시간이 단축됨을 알 수 있었다. ALA, PBG, glycine, LA의 최적 분석조건은 borate 완충액 30mM, 20kV, $76{\mu}A$에서 가장 잘 분리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ALA, PBG, glycine, LA를 동시에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ALA 2mM, PBG 0.25mM 범위내에서 선형적인 보정곡선을 보이므로 정량분석이 가능하였다. CE를 이용한 ALA와 PBG의 동시 정량분석으로 인체, 동식물 및 광합성 미생물의 대사과정에 수반되는 효소인 ALA synthetase, ALA dehydratase의 활성 연구, 광합성 홍색세균에 의한 ALA생합성, 의학, 생화학, 효소공학 등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붕산염 막대를 이용한 부후재의 구제처리 (Remedial treatment of decayed wood using borate rod)

  • 김규혁;김재진;김형준
    • 보존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3-27
    • /
    • 1999
  • 본 연구는 갈색부후균인 Tyromyces palustris와 Gloeophyllum traseum에 의해 인공적으로 부후된 소나무 시험편을 대상으로 붕산염 막대를 이용한 부후재 구제처리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붕산염 막대 처리에 의한 구제처리, 즉 붕산염 막대로부터 화산${\cdot}$이동된 붕소 성분에 의한 기 존재하던 부후균의 박멸과 그 후 부후재에 잔존하는 붕소 성분에 의한 부후균의 재가해 예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보다 효과적인 구제처리를 위해서는 붕산염 막대 삽입 지점으로부터 확산거리에 따른 붕소 성분의 보유량 경사를 완만하게 하여 줌이 필요한데, 앞으로 확산기간의 연장과 붕소 투여량이 붕소 성분의 보유량 경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PDF

보란-붕산트리페닐 (1 : 0.1) 계에 의한 술폭시화물의 신속한 탈산소화반응에 관한 연구 (Fast Deoxygenation of Sulfoxides with Borane-Triphenyl Borate (1 : 0.1) System)

  • 조병태;윤능민
    • 대한화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340-348
    • /
    • 1982
  • 술폭시화물을 보란으로 환원할 때 붕산트리페닐을 촉매량(10몰 퍼센트) 가하면 대응하는 황화물로 환원이 현저히 촉진됨이 관찰되어 이 환원계에 의해 구조적으로 서로 다른 몇가지 술폭시화물의 환원반응이 조사되었다. 술폭시화 테트라메틸렌은 5분 이내(보란만으로는 24시간 걸림) 술폭시화 디에틸, 술폭시화 디벤질, 술폭시화 벤질페닐은 1시간내에 정량적으로 환원이 완결되었으며 술폭시화 디페닐은 반응이 느려서 24시간에 90% 수율(보란만으로는 24시간에 18% 수율)로 환원되었다. 삼플루오르화붕소 에틸에테르 및 붕산트리에틸의 촉매효과는 붕산트리페닐보다 덜하였다.

  • PDF

Anthracene-Sensitized Photolysis of Onium Tetrakis(Pentafluorophenyl) Borate Cationic Photoinitiators

  • Yasumasa Toba;Midori Saito
    • Journal of Photoscience
    • /
    • 제5권3호
    • /
    • pp.111-120
    • /
    • 1998
  • Sensitized photolysis of two onium borates (diphenyliodoium and dimethylphenacylsulfonium tetrakis(pentafluorophenyl)borate, 1a and 2a , respectively) and cationic photopolymerization of an epoxy monomer by the photolysis were investigate. The onium borates were sensitized by the excited singlet of the athracenes(non-substituted, 9-methyl-and 9, 10-dimethylanthracene) and generated acid by decomposing teemselves. The quantum yields of photobleaching of the anthracenes($\Phi$-AH) and acid generatiion (øacid) by the onium borates were the same order as those of the corresponding onium salts in aerated solutions (methanol and acetoitrile) and in argon(Ar) saturated acetonitrile. However, in the photolysis of the iodonium borates 1a in Ar saturated MeOH , øacid was much higher than the corresponding ø-AH. The acid generated by the photolysis of the onium borates initiated cationic polymerization of an epoxy monomer. The values of both rate of polymerization (Rp) and degree of conversion on the photopolymerization for the iodonium borated 1a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sulfoium borate 2a. In the photopolymerization for the iodonium borate 1a, both the Rp value and the degree of conversinio increased upon the addition of glycerol as a hydrogen donor. It is suggested that the increase of both values may be caused with the increase of øacid by addition of glycerol.

  • PDF

Borate 완충용액에서 니켈 산화피막의 생성 과정과 전기적 성질 (Growth Kinetics and Electronic Properties of Passive Film of Nickel in Borate Buffer Solution)

  • 김연규
    • 대한화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9-16
    • /
    • 2014
  • Borate 완충용액에서 Ni의 부동화 피막의 생성과정(growth kinetics)과 부동화 피막의 전기적 성질을 변전위법, 대 시간 전류법 그리고 단일 주파수 또는 다중 주파수 전기화학적 임피던스 측정법으로 조사하였다. 이때 생성되는 산화피막은 Mott-Schottky 식이 적용되는 p-형 반도체 성질을 보였으며, 낮은 전극전위에서 생성되는 Ni의 부동화 피막 $Ni(OH)_2$는 전극 전위가 증가하면서 NiO, NiO(OH)로 변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