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ood acetaldehyde concentration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4초

감마선을 이용한 고기능성 히알루론산/연어추출물 제형개발 (Development of High-Functional Hyaluronic Acid/Salmon Extract Formulation Using Gamma-Ray)

  • 권동건;심재구;하만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9-16
    • /
    • 2018
  • 음주 후 숙취는 사람에 따라 증상과 정도가 상이 하지만 일반적으로 갈증, 피로감, 두통, 전신권태, 위장장애, 구토, 설사, 비타민 결핍 등이 나타난다. 이러한 숙취현상은 간세포와 체내에 축적된 알코올 및 알코올에 함유되어 있는 발효 부산물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트알데히드 등의 전구물질들의 작용에 의해 발생한다. 이에 숙취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연구로 연어 추출물 중 정액 또는 정소 추출물인 핵산-당-인산으로 이루어진 고분자이며 다당체인 Polydeoxyribonucleotide(PDRN)과 동일한 Origin, 동일 구조를 가지며 PDRN에 비해 가격이 저렴한 수용성 연어 추출물 분말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D-Glucuronic acid와 N-Acetyl glucosamine으로 구성된 고분자 다당체로 뛰어난 생체 적합성, 점탄성 및 보습력을 보유하고 있어서 숙취현상 중 나타나는 생체수분 감소량 및 피부수분 함유량저하에 대한 부분에 효과가 있어 항산화 및 피부보습효과를 제공하는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을 감마선으로 조사하여 사용하였다. 연어추출물 분말과 히알루론산 등을 이용하여 조성물을 제조한 후 체내 에탄올, 아세트알데히드 감소량,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와 초산 농도를 측정하여 알코올 분해효과를 평가하였고, 피부 수분 증발량과 피부 수분량을 조사하여 피부개선을 평가하고 항산화 및 피부보습효과를 제공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였다. 이에 에탄올은 연어추출물을 첨가하였을 때가 무첨가에 비해 5배에서 7배의 감소량을 보였고 아세트알데히드 3배에서 5배 이상의 감소량을 보였다. 또한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와 초산 농도의 변화에서는 무첨가 대조군에 비해 급격한 저하 변화를 보여 알코올 분해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숙취해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히알루론산 원료를 첨가하여 사용하였을 때 피부 수분함유량이 높았으며, 피부 수분 증발량이 감소됨이 확인되었다. 이에 고분자 다당체인 히알루론산은 뛰어난 점탄성 및 보습력을 보유하고 있어서 숙취현상 중 나타나는 생체수분 감소량 및 피부수분 함유량저하에 효과가 있어 항산화 및 피부보습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사료되어 연어추출물 분말과 히알루론산을 주원료로 하는 조성물이 음주 후 나타나는 숙취현상에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한약재 추출물 함유 음료가 알코올 투여 흰쥐의 알코올 대사 관련 효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dicinal Herbal Drink on Alcohol Metabolic Enzyme in Drunken Rats)

  • 황수정;최혜민;박현진;이진상;허담;김미려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610-615
    • /
    • 2010
  • Alcohol is the most widely psychoactive drug and has known in almost all civilization since ancient time. Recently increase consuming alcoholic beverages, alcohol is on of the major public health problems in the world. Alcohol dehydrogenase (ADH) and aldehyde dehydrogenase (ALDH) play important roles in the metabolism of alcohols and aldehydes. The drink consists of medicinal herbs, Puerariae Radix, Phyllostachyos Folium, Citri Pericarpium, Polygonati Rhizoma, Rehmanniae Rhizoma (Vinegar), which have been widely used in oriental medicin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effects of medicinal herbal drink (MHD) on alcohol metabolism in drunken SD rats subjects. In experiment, rats were treated to ethanol (EtOH, 3 g/kg, PO) at 60 min. after saline (CON) or MHD (1 ml/kg, PO) administration. Th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BAC), blood acetaldehyde concentration (BALC) activities of ADH, ALDH, AST and AL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MHD group than in control group as a time-dependent manner. And drinking water volume in MHD group with duplicate treatmen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in CON group.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MHD intake could give an influence upon the reduction in BAC and BALC may alleviate acute ethanol-induced hepatotoxicity by altering alcohol metabolic enzyme activities.

Evaluation of the role of Lactobacillus casei on alcohol metabolism and liver functions of rats

  • Kim, Ji-Hyun;Kim, Hyun-Jin;Kim, Sung-Koo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I)
    • /
    • pp.214-218
    • /
    • 2003
  • Alcohol consumption causes numerous consequences on the health of the human body. Heavy drinking on a daily base has caused liver diseases. Furthermore, some products such as acetaldehyde produced from alcohol metabolism are more toxic than alcohol itself.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role of Lactobacillus casei on alcohol metabolism, especially, the removal of the toxic effect of alcohol. The maximum alcohol dehydrogenase (ADH) and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activities from L. casei were observed at 4 hr of culture. L. casei was confirmed to produce the ADH and ALDH by the SDS-PAGE. From in vivo test using SD rats with 22% alcoholic drink, blood alcohol concentration (BAC),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OT) and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GPT) of the rats feeding the medium containing L. casei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rats feeding the medium containing an alcoholic drink only This demonstrates that the ADH and ALDH produced by L. casei have virtual functions to detoxicate the alcohol in vivo and the fermentation broth of L. casei can be used as an alcohol detoxification drink.

  • PDF

눈꽃동충하초 물추출물이 흰쥐의 알코올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ecilomyces tenuipes Water Extract on the Alcohol Metabolism of Rats)

  • 김지명;박재환;김미경;전향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96-40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눈꽃동충하초 물추출물이 알코올 대사에 미치는 효과를 동물실험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알코올과 그 대사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의 혈중 농도를 측정한 결과, 눈꽃동충하초 물추출물의 경구투여는 흰쥐의 혈중 알코올 농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3, 6, 9시간째의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특히 100 mg/kg 농도의 눈꽃동충하초 물추출물 투여 시 혈중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시간 곡선하 면적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반면에 알코올 투여 후 9시간째 측정한 간의 알코올 탈수소효소, 알데히드 탈수소효소, MEOS의 활성은 눈꽃동충하초 물추출물 투여에 따른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종합적으로 눈꽃동충하초 물추출물은 혈중 알코올 농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눈꽃동충하초 물추출물이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수준을 낮추는 작용기전과 관련하여, 경시적인 알코올대사 효소활성의 변화와 간 손상 관련 지표 조사 등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고농도 산소수로 재배한 콩나물 추출 음료의 알코올 분해 효능 (Effect of a Soy-Sprout Beverage Prepared with High-Concentrated Oxygen Water on Alcohol Metabolism in Rats)

  • 성혜미;정현정;윤수경;김태용;김기명;위지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616-621
    • /
    • 2014
  • 본 연구는 고농도 산소수로 재배한 콩나물을 당침하여 제조한 콩나물 추출 음료의 숙취해소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콩나물 자체의 asparagine 함량 및 ADH와 ALDH 효소활성을 확인하고 알코올과 콩나물 추출 음료 분말을 투여한 쥐의 혈중 알코올 농도,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 ALT, AST 및 ALP를 측정하였다. 고농도 산소수로 재배한 콩나물은 시판중인 콩나물에 비해 asparagine 함량이 높게 나타나 숙취해소 효능을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되었다. 알코올을 경구 투여한 쥐에 콩나물 추출 음료 분말을 투여한 경우 혈중 알코올 농도는 알코올만 투여한 대조군에 비해 1시간, 5시간 경과 후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 또한 콩나물 추출 음료 분말 고농도 투여군(SEH)에서 1시간, 3시간, 5시간 경과 후 모두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또한 고농도의 콩나물 추출 음료 분말은 시판중인 숙취해소 음료 분말 양성대조군(PC)보다 더 뛰어난 알코올 분해능을 보였으며 ALT, AST 및 ALP 측정 결과에서도 콩나물 추출 음료 분말 고농도 투여군(SEH)의 ALT 농도가 알코올투여군(AC) 및 시판숙취해소 음료 분말 양성대조군(PC)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토대로 할 때 콩나물 당침 추출물을 이용한 콩나물 추출 음료는 숙취해소에 기여하고 간세포의 손상을 보호할 수 있는 음료로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복합생약 HO-Series의 숙취개선 임상적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f Clinical Usefulness of Herbal Mixture HO-Series for Improving Hangover)

  • 장보윤;배진혜;김다은;김대성;조형권;김성연
    • 생약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278-290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hangover relieving effect of HO-series. HO-S1 is an herbal mixture, which consists of extracts from Flower of Pueraria lobata Ohwi, Glycyrrhiza glabra Linné, Fruit of Lycium chinense Miller, Poria cocos Wolf, Acanthopanax sessiliflorum Seeman,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Atractylodes lancea De Candlle and Zingiber officinale Roscoe. HO-S2 is a candidate that has been performed to ultra filtration based on HO-S1. HO-S3 is a mixture of amino acids and vitamins based on HO-S2. HO-01 is the final beverage base produced based on HO-S3. The antioxidant activity of HO-series was similar to that of vitamin C or trolox. The production of t-BHP induced reactive oxygen species(ROS) was significantly blocked in the presence of HO-series. In vivo study, AUC of alcohol and acetaldehyde concentrations in HO-S2 and HO-S3 treated groups significantly decreased. Hepatic alcohol dehydrogenase(ADH) and acetaldehyde dehydrogenase(ALDH) activ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HO-S2 and HO-S3 treated groups. And 2E1 activity and glutathione were significantly elevated, while the malondialdehyde level was not significantly in liver tissue. After alcohol exposure, the sensitivity scores of blood alcohol and acetaldehyde concentration and hangover symptom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HO-01 intake group compared with the non-intake group. ALDH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HO-01 intake group. HO-series have antioxidant activity and a protective effect from ROS. HO-S2, HO-S3 and HO-01 are potentially highly beneficial in relieving hangover, as it scavenges reactive free radicals and boosts the endogenous antioxidant system.

알코올성 간 손상을 유발한 흰쥐에 대한 고 분지아미노산 함유 옥수수 단백가수물의 간 기능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s of Branched-chain Amino Acid (BCAA)-enriched Corn Gluten Hydrolysates on Ethanol-induced Hepatic Injury in Rats)

  • 정용일;배인영;이지연;전향숙;이현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706-711
    • /
    • 2009
  •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corn gluten hydrolysates, CGH)의 알코올 대사 및 간 기능 보호효과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았다. 즉, 흰쥐에게 4주간 시료를 함유한 알코올을 경구투여함에 의해 간 손상을 유도시키고, 혈액 중 생화학적 간 기능 지표(ALP, GOT, GPT), 간세포 내 항산화 효소(SOD, GPX, catalase)와 지질과산화물(MDA) 및 알코올 대사와 관련된 효소(ADH, ALDH, MEOS)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알코올 섭취에 따른 경시적인 ethanol과 acetaldehyde 농도에 대한 시료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알코올성 간 손상을 입은 흰쥐의 체중변화 및 간 중량에 대한 에탄올 투여 및 CGH의 효과는 보이지 않았으며, 식이섭취량은 정상군에 비해 CGH 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알코올 섭취로 증가된 혈중 ALP 활성은 CGH 처치로 30% 감소한 반면, GOT 및 GPT 활성은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알코올성간 손상에 따른 체내 항산화 반응계 중 catalase 효소활성은 알코올 투여군에 비해 CGH 처리군에서 79%까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ADH 활성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ALDH 활성은 알코올 투여 대조군에 비해 CGH군에서 20% 정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CGH는 MEOS활성에 대해 농도 의존적으로 작용하여 3% CGH을 급여한 그룹에서는 알코올 투여 대조군에 비해 20%까지 활성이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알코올 단회 투여에 따른 경시적인 혈액 중 ethanol 농도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acetaldehyde 농도는 CGH 투여에 의해 급격히 감소하였고, 시간에 따른 곡선 하 면적으로 환산한 결과, 약 60% 정도 감소한 효과를 보였다. 이상과 같이, CGH는 알코올대사과정 중 ALDH 및 MEOS 활성에 작용하여 체내 알코올성 간 손상에 대한 간 기능 보호효과와 함께 ethanol 대사산물인 acetaldehyde의 체내 배출을 촉진시키는 기능성 소재로 활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Effect of Lactobacillus fermentum MG590 on Alcohol Metabolism and Liver Function in Rats

  • Kim, Ji-Hyun;Kim, Hyun-Jin;Son, Jeong-Hwa;Chun, Ho-Nam;Yang, Jin-Oh;Choi, Sung-Jin;Paek, Nam-Soo;Choi, Gyoung-Hoon;Kim, Sung-K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6호
    • /
    • pp.919-925
    • /
    • 2003
  • Alcohol consumption has numerous health consequences for the human body. For example, heavy drinking on a daily basis causes liver diseases, and certain products such as acetaldehyde produced from alcohol metabolism are more toxic than alcohol itself. Accordingly, the current study evaluated the role of Lactobacillus fermentum MG590 to enhance the removal of the toxic effect of alcohol in alcohol metabolism. The maximum activities of the alcohol dehydrogenase (ADH) and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by L. fermentum MG590 were observed after 6 h of culture. The production of ADH and ALDH by L. fermentum MG590 was also confirmed by SDS-PAGE. Six hours after the addition of alcohol to a culture broth of L. fermentum MG590, the alcohol concentration decreased from 7.5 to 2.7%. From an in vitro evaluation based on hepatocytes, the viability of hepatocytes in a medium containing alcohol and the cytosol of L. fermentum MG590 was higher than that in a medium containing only alcohol. From an in vivo test using SD rats fed a 22% alcoholic drink, th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BAC), glutamic-oxaloacetic transaminase (GOT), and glutamic-pyruvic transaminase (GPT) in the rats fed a medium containing L. fermentum MG590 were lower than those in the rats fed a medium containing only the alcohol drink.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ADH and ALDH produced by L. fermentum MG590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oxicating alcohol in vivo. Therefore, a fermentation broth of L. fermentum MG590 could be used as an effective alcohol detoxification drink.

Aspartate함유 복합성분과 Ethanol의 약물동태학적 거동 (Pharmacokinetics of Ethanol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Aspartate-Containing Compositions)

  • 김태완;이범진;최한곤;김종국;신희종;김정우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7권3호
    • /
    • pp.181-187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work was to investigate pharmacokinetics of alcohol as a function of dose and time of administration of ethanol. The pharmacokinetics of alcohol 15 min after and before oral administration of aspartate-containing compositions to rats were also evaluated. The retention time of acetaldehyde, alcohol and isopropyl alcohol an internal standard in gas chromatogram was 3.6, 6.0 and 10.5 min, respectively. The maximum concentration of alcohol $(C_{max})$ and area under the blood concentration (AUC) were significanly increased as a function of ethanol dose in a nonlinear fashion. The significant diurnal variation of alcohol pharmacokinetics was also noted, showing fast metabolism and elimination when given orally in the night time. When APAP was given after administration alcohol (1g/kg) to rats, AUC and $C_{max}$ were increased when compared to alcohol only. However, AUC and $C_{max}$ were decreased when aspartate or standard complex compositions containing aceaminophen (APAP, 250mg). sodium L-aspartate(25 mg), dl-methionine (125 mg) and anhydrous caffeine (25 mg) was orally given by coupling malate/asparate shuttle in hepatocyte. Th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profiles between aspartate and standard complex compositions were similar when given before or after administration alcohol (1g/kg) to rat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administration sequence was observed. However, it was noted that AUC and $C_{max}$ of standard complex compositions given before alcohol administration were significantly lower when compared with alcohol only. Based on these findings, dose, time of administration and composition of drugs to improve alcohol metabolism and elimination we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in the pharmacokinetics of alcohol. The administration sequence of drug compositions and alcohol might be also considerd.

  • PDF

헛개나무 열매를 주성분으로 제조한 새로운 처방이 알코올 분해 및 간 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ew Remedies Mainly Comprised of Hovenia dulcis Thunb on Alcohol Degradation and Liver Protection in Sprague Dawley Male Rats)

  • 고병섭;장진선;홍상미;김동화;성소라;박혜려;이지은;전원경;박선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7호
    • /
    • pp.828-83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헛개나무열매를 주성분으로 제조한 두 종류의 혼합물들(NHDT-1과 NHDT-2)이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의 분해를 촉진시켜 숙취의 발생을 저하시킬 수 있는지 여부와 만성적으로 알코올을 복용시켰을 때 간손상 및 지방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NHDT-1은 헛개나무열매에 진피, 창출 및 감초를 첨가하여 제조하였고, NHDT-2는 NHDT-1에 홍삼을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NHDT-1과 NHDT-2의 조성 차이는 홍삼임에도 불구하고 백서에게 투여하였을 때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의 분해와 간손상을 억제하는 작용에는 차이가 있었다. 홍삼이 함유되어있지 않은 NHDT-1은 급성 알코올 실험에서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분해를 촉진시켜 혈청농도를 저하시켰으나, 홍삼이 함유된 NHDT-2는 혈청 알코올과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저하시키지 못했다. 급성실험과는 반대로 장기간 알코올을 투여한 실험에서는 NHDT-1은 NHDT-2에 비해 알코올로 인한 간의 손상과 지방간 발생을 억제하지 못했다. 결론적으로 간기능이 좋은 상태에서 일시적으로 복용하는 경우에는 NHDT-1이 알코올과 아세트알데히드의 분해를 촉진하여 숙취해소에 효과적이지만, 간이 좋지 않은 상태에서는 장기간동안 NHDT-2를 복용하여 간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음주 후 숙취제거에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