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variate normal distribution model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8초

Test for Independence in Bivariate Pareto Model with Bivariate Random Censored Data

  • Cho, Jang-Sik;Kwon, Yong-Man;Choi, Seung-Bae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5권1호
    • /
    • pp.31-39
    • /
    • 2004
  • In this paper, we consider two components system which the lifetimes follow bivariate pareto model with bivariate random censored data. We assume that the censoring times are independent of the lifetimes of the two components. We develop large sample test for testing independence between two components. Also we present a simulation study which is the test based on asymptotic normal distribution in testing independence.

  • PDF

Large Sample Test for Independence in the Bivariate Pareto Model with Censored Data

  • Cho, Jang-Sik;Lee, Jea-Man;Lee, Woo-Dong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4권2호
    • /
    • pp.377-383
    • /
    • 2003
  • In this paper, we consider two components system in which the lifetimes follow the bivariate Pareto model with random censored data. We assume that the censoring time is independent of the lifetimes of the two components. We develop large sample tests for testing independence between two components. Also we present simulated study which is the test based on asymptotic normal distribution in testing independence.

  • PDF

Large Sample Tests for Independence in Bivariate Pareto Model with Censored Data

  • 조장식;이재만;이우동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21-126
    • /
    • 2003
  • In this paper, we consider two-components system which the lifetimes follow bivariate pareto model with censored data. We develop large sample tests for testing independence between two-components. Also we present simulated study which is the test based on asymptotic normal distribution in testing independence.

  • PDF

이변량 지수모형에서 병렬시스템의 신뢰도 추정 : 이변량 1종 중단 자료이용 (The Reliability Estimation of Parallel System in Bivariate Exponential Model : Using Bivariate Type 1 Censored Data)

  • 조장식;김희재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79-87
    • /
    • 1997
  • In this paper, we obtain maximum likelihood estimator(MLE) of a parallel system reliability for the Marshall and Olkin's bivariate exponential model with birariate type 1 consored data. The asymptotic normal distribution of the estimator is obtained. Also we construct an a, pp.oximate confidence interval for the reliability based on MLE. We present a numerical study for obtaining MLE and a, pp.oximate confidence interval of the reliability.

  • PDF

진행성 파괴에 대한 사면안정의 확률론적 해석 (Probabilistic Analyrgis of Slope Stactility for Progressive Failure)

  • 김영수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4권2호
    • /
    • pp.5-14
    • /
    • 1988
  • 균질토 사면에서 진행성 파괴에 대한 확를론적 모델이 제시되었다. 파괴면 위의 어떤 절편에 대한 국부적인 Safety Margin은 정규분포차 가정하였다. 파괴면을 따라 존재하는 전단강도의 불확실성은 1차원 Random Field Models로 표현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파괴가 Toe에서 시작되어 사면 정상까지 진행되는 경우만을 고려하였다. 파괴면위의 어느 두 인접 절편의 Safety Margin의 Joint Distribution은 Bivariate Normal로 가정하였다. 활동파괴의 전체적인 파괴확률은 일련의 Conditional events의 급으로 표현되었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절차가 절취사면의 신뢰도를 얻기 위하여 한 예에 적용되었다.

  • PDF

비정규분포를 이용한 표본선택 모형 추정: 자동차 보유와 유지비용에 관한 실증분석 (An Alternative Parametric Estimation of Sample Selection Model: An Application to Car Ownership and Car Expense)

  • 최필선;민인식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9권3호
    • /
    • pp.345-358
    • /
    • 2012
  • 표본선택 모형을 최우추정법으로 추정할 때 오차항의 분포를 제대로 가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표본선택 모형의 선택 방정식과 본 방정식의 오차항 분포를 일반적으로 이변량 정규분포로 가정하지만, 이 가정이 오차항의 실제 분포를 과도하게 제약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표본선택 모형의 오차항 분포로 $S_U$-정규분포를 도입한다. $S_U$-정규분포는 분포의 비대칭성과 초과첨도를 허용한다는 측면에서 정규분포보다 훨씬 유연하면서, 동시에 정규분포를 극한분포의 형태로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정규분포처럼 다변량 분포함수가 존재하기 때문에 표본선택 모형과 같은 다변량 모형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본 논문은 $S_U$-정규분포를 이용한 표본선택 모형에서 로그우도 함수와 조건부 기댓값을 도출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정규분포 모형과 추정성과를 비교한다. 또한 자동차 보유 가구들의 자동차 유지비에 관한 실제 데이터를 이용하여 $S_U$-정규분포 표본선택 모형의 추정결과를 제시한다.

이변량 변화시점모형에 대한 비모수적인 검정법 (Nonparametric test procedure for the bivariate changepoint)

  • 김경무
    • 응용통계연구
    • /
    • 제7권1호
    • /
    • pp.35-46
    • /
    • 1994
  • 이변량 변화시점 모형에서 위치모수에 대한 비모수적 방법인 순위-모양 검정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경험적인 검정력을 통하여 모수적인 검정과 비교한 결과, 귀무가설분포가 이변량 정규분포일 때를 제외하고는 순위-모양 검정이 월등히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변화시점에 대한 점추정량들을 경험적인 평균제곱오차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 PDF

Hidden truncation circular normal distribution

  • Kim, Sung-Su;Sengupta, Ashis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3권4호
    • /
    • pp.797-805
    • /
    • 2012
  • Many circular distributions are known to be not only asymmetric but also bimodal. Hidden truncation method of generating asymmetric distribution is applied to a bivariate circular distribution to generate an asymmetric circular distribution. While many other existing asymmetric circular distributions can only model an asymmetric data, this new circular model has great flexibility in terms of asymmetry and bi-modality. Some properties of the new model, such as the trigonometric moment generating function, and asymptotic inference about the truncation parameter are presented. Simulation and real data examples are provided at the end to demonstrate the utility of the novel distribution.

가상환경상의 인간공학적 제품설계를 위한 인체모델군 생성기법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Generation Method of Human Models for Ergonomic Product Design in Virtual Environment)

  • 류태범;정인준;유희천;김광재
    • 산업공학
    • /
    • 제16권spc호
    • /
    • pp.144-148
    • /
    • 2003
  • A group of digital human models with various sizes which properly represents a population under consideration is needed in the design process of an ergonomic product in virtual environment. The present study proposes a two-step method which produces a representative group of human models in terms of stature and weight. The proposed method first generates a designated number of pairs of stature and weight within an accommodation range from the bivariate normal distribution of stature and weight of the target population. Then, from each pair of stature and weight, the method determines the sizes of body segments by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s and corresponding prediction distributions of individual values. The suggested method was applied to the 1988 US Army anthropometric survey data and implemented to a web-based system which generates a representative group of human models for the following parameters: nationality, gender, accommodation percentage, and number of human models.

암반 절리 방향성 자료의 통계적 분석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tatistical Analysis of Rock Joint Directional Data)

  • 류동우;김영민;이희근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2권1호
    • /
    • pp.19-30
    • /
    • 2002
  • 절리 방향은 절리 크기 및 밀집도와 더불어 암반 사면 및 터널과 같은 암반구조물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기하학적 속성이다. 이와 같은 절리 기하학적 속성들에 대한 통계 모델링은 암반공학적 문제에 대한 확률론적 접근법을 제공할 수 있다. 암반 공학적 문제의 확률론적 모델링의 결과는 어떠한 통계 모델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 절리 방향성 자료에 대한 대표적인 통계 모델을 정의하고 각 모델에 대한 분석적 검증과 자료의 통계적 특성에 기초한 모델링 과정의 정립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회전대칭성 모델인 Fisher 분포와 회전 비대칭성 모델인 이변량 정규분포 모델에 대한 통계량 추정 및 검증에 대한 이론적 방법론에 대해 검토하고 , 암반 절리계 모사 및 위험도 분석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인공자료 발생기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