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t error rate

검색결과 1,546건 처리시간 0.034초

레일레이 페이딩 채널에서 직교확산부호를 이용한 셀룰러 CDMA 시스팀의 성능 (Performance of cellular CDMA systems using orthogonal spreading codes in rayleigh fading channels)

  • 조현욱;조용석;박상규
    • 전자공학회논문지S
    • /
    • 제35S권2호
    • /
    • pp.22-30
    • /
    • 1998
  • In this paper, we analyze CDMA systems using M-orthogonal spreading codes. We assume that each user one set of M-orthogonal spreading codes allocated randomaly. The effect of multiple access interference from the reference and adjacent cells is considered slowly frequency selective rayleigh fading channels. and the adjacent cells interference is considered toanalyze the system performance. We calculate bit error rate and the maximum number of users whoe can communicate simulaneously within a cell by suing Rake receiver. By comparing CDMA systemwhich transmits 1 bit/spreding code, our system shows bit error rate decreases as M increases under the same bandwidth and infromation rate.

  • PDF

Generalized SCAN Bit-Flipping Decoding Algorithm for Polar Code

  • Lou Chen;Guo Rui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7권4호
    • /
    • pp.1296-1309
    • /
    • 2023
  • In this paper, based on the soft cancellation (SCAN) bit-flipping (SCAN-BF) algorithm, a generalized SCAN bit-flipping (GSCAN-BF-Ω) decoding algorithm is carried out, where Ω represents the number of bits flipped or corrected at the same time. GSCAN-BF-Ω algorithm corrects the prior information of the code bits and flips the prior information of the unreliable information bits simultaneously to improve the block error rate (BLER) performance. Then, a joint threshold scheme for the GSCAN-BF-2 decoding algorithm is proposed to reduce the average decoding complexity by considering both the bit channel quality and the reliability of the coded bits.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GSCAN-BF-Ω decoding algorithm reduces the average decoding latency while getting performance gains compared to the common multiple SCAN bit-flipping decoding algorithm. And the GSCAN-BF-2 decoding algorithm with the joint threshold reduces the average decoding latency further by approximately 50% with only a slight performance loss compared to the GSCAN-BF-2 decoding algorithm.

디지털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시스템을 위한 1차원 및 2차원 최소 평균-제곱-에러 등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1 & 2 dimensional minimum mean-squared-error equalization for digital holographic data storage system)

  • 최안식;전영식;정종래;백운식
    • 한국광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486-492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서 2차원 데이터의 저장과 복원 동안에 발생되는 상호 픽셀에 의한 간섭(intersymbol interference:ISI)을 완화하고 bit-error-rate(BER) 성능개선을 위해 1차원 및 2차원 최소 평균-제곱-에러 (minimum mean-squared-error:MMSE) 등화(equalization)를 적용하였다. 홀로그래픽 저장 시스템으로부터 복원된 10개의 페이지에 대해서 등화 수행전보다 1차원 및 2차원 MMSE등화 적용 후, BER과 signal-to-noise ratio(SNR)이 향상됨을 보였다.

길쌈부호의 부등 오류 특성 및 그 응용 (Unequal Bit - Error - Probability of Convolutional codes and its Application)

  • 이수인;이상곤;문상재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88년도 전기.전자공학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4-197
    • /
    • 1988
  • The unequal bit-error-probability of rate r=b/n binary convolutional code is analyzed. The error protection affored each digit of the b-tuple information word can be different from that afforded other digit. The property of the unequal protection can be applied to transmitting sampled data in PCM system.

  • PDF

Parallel Writing and Detection for Two Dimensional Magnetic Recording Channel

  • 장용;이재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A권10호
    • /
    • pp.821-826
    • /
    • 2012
  • Two-dimensional magnetic recording (TDMR) is treated as the next generation magnetic recording method, but because of its high channel bit error rate, it is difficult to use in practices.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new writing method that can decrease the nonlinear media error effectively, and it can also achieve 10 Tb/$in^2$ of user bit density on a magnetic recording medium with 20 Teragrains/$in^2$.

레일레이 페이딩 채널을 고려한 듀얼 홉 디코딩 후 전달 중계 시스템에서 부분 중계 노드 선택 기법의 정확한 비트 오차율 분석 (Exact Bit Error Rate Analysis of Partial Relay Selection in Dual-Hop Decode-and-Forward Relaying Systems over Rayleigh Fading Channels)

  • 이상준;이인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42-49
    • /
    • 2014
  • 듀얼 홉 시스템에서 기존의 두 홉에 대한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가장 좋은 성능을 나타내는 중계 노드 선택 기법은 채널 피드백을 위한 자원의 소모가 크다. 본 논문에서는 듀얼 홉 디코딩 후 전달 중계 시스템에서 첫 번째 홉에 대한 채널 정보만을 필요로 하는 부분 중계 노드 선택 기법을 이용하여 정확한 평균 비트 오차율을 분석한다. 이 때, 독립적인 레일레이 페이딩 채널을 가정하여 M-ary QAM에 대한 정확한 비트 오차율의 표현식을 유도한다. 또한, 수치적 결과를 통해 두 홉에 대한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가장 좋은 성능을 나타내는 중계 노드 선택 기법과 부분 중계 노드 선택 기법에 대한 성능을 비교한다. 여기서, 중계 노드의 수와 첫 번째 홉과 두 번째 홉 간 평균 채널 전력비를 다양하게 가정하여 평균 비트 오차율을 분석한다.

320 Gbps WDM 전송 시스템에서 광 위상 공액기의 위치에 따른 비트 에러율 특성 (Characteristics of Bit Error Rate dependence on the Position of Optical Phase Conjugator in 320 Gbps WDM System)

  • 이성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123-1131
    • /
    • 2005
  • 장거리 $8{\times}40$ Gbps 파장 분할 다중 시스템에서 색 분산과 자기 위상 변조에 의해 왜곡된 광 펄스를 최상으로 보상할 수 있는 최적의 광 위상 공액기 (OPC ; Optical Phase Conjugator)의 위치를 수치적 방법으로 살펴보았고, 이 위치에서의 전체 채널의 눈 열림 패널티 (EOP ; Eye Opening Penalty)와 비트 에러율 (BER ; Bit Error Rate) 특성을 OPC가 전체 전송 거리의 중간에 위치한 경우 (MSSI ; Mis-Span Spectral Inversion)와 비교해 살펴보았다. 먼저 OPC를 이용해 왜곡된 광 신호를 보상하는 WDM 시스템에서 모든 채널의 최상의 보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송하고자 하는 변조 파형의 형식과 광섬유 분산 계수와 관련하여 OPC의 위치가 전체 전송 거리의 중간이 아닌 다른 곳으로 이동되어야만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최적 OPC 위치를 갖는 WDM 시스템을 이용한 경우 수신측에서의 광 신호의 EOP 특성은 채널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BER 특성은 거의 동일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중음향통신을 위한 훈련 신호 구간의 비트 오차율에 기반한 레이크 수신기 (Rake Receiver Based on Bit Error Rate of Training Sequence Duration for Underwater Acoustic Communication)

  • 손지홍;김기만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887-894
    • /
    • 2016
  • 수중음향통신 채널은 다중 경로 전달이 주요 장애 요인이 되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레이크 수신기를 이용하여 이를 통해 시간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수중음향통신 채널은 시변동성이 높은 채널로써 적합하지 못한 경로의 신호를 복조에 이용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훈련 신호의 오차율에 기반을 두어 경로 선택 및 가중치 할당하는 레이크 수신기를 제안한다. 호수 실험을 통해 제안된 레이크 수신기와 기존의 레이크 수신기, 레이크 방법을 사용하지 않은 일반 수신기를 이용하여 성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송비트 512개 중에서 제안된 레이크 수신기는 8개, 기존의 레이크 수신기는 45개, 그리고 레이크 수신기를 사용하지 않은 일반 수신기는 72개의 비트오류가 발생하였다.

Multi-Rate and Multi-BEP Transmission Scheme Using Adaptive Overlapping Pulse-Position Modulator and Power Controller in Optical CDMA Systems

  • Miyazawa Takaya;Sasase Iwao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7권4호
    • /
    • pp.462-470
    • /
    • 2005
  • We propose a multi-rate and multi-BEP transmission scheme using adaptive overlapping pulse-position modulator (OPPM) and optical power controller in optical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networks. The proposed system achieves the multi-rate and multi-BEP transmission by accommodating users with different values of OPPM parameter and transmitted power in the same network. The proposed scheme has advantages that the system is not required to change the code length and number of weight depending on the required bit rate of a user and the difference of bit rates does not have so much effect on the bit error probabilities (BEPs). Moreover, the difference of transmitted powers does not cause the change of bit rate. We analyze the BEPs of the four multimedia service classes corresponding to the com­binations of high/low-rates and low/high-BEPs and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can easily achieve distinct differentiation of the service classes with the simple system configuration.

화면 간 차이 신호에 대한 화소 영역 위너-지브 비디오 코덱의 비트 에러 내성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Bit Error Resilience for Pixel-domain Wyner-Ziv Video Codec with Frame Difference Residual Signal)

  • 김진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20-28
    • /
    • 2012
  • DVC(분산 비디오 부호화) 기술은 새로운 패러다임의 기술로서 Slepian-Wolf와 Wyner-Ziv 이론에 기초하고 있다. DVC 기술은 부호화기와 복호화기 사이의 복잡도를 융통성 있게 분할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본질적으로 정보원-채널 통합 부호화를 지원함으로 인해 채널 에러에 대한 강인함을 제공한다. 기존의 많은 연구들은 주로 부호화기의 경량화와 부호화기의 비트율-왜곡 성능 개선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전송 중에 비트 에러가 발생되는 환경에 적합한 DVC 코덱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된 코덱은 데드존이 없는 양자화기와 영을 중심으로 대칭적인 그레이 코드를 사용한다.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된 구조에 대해 채널의 연집 비트 에러의 수뿐만 아니라 비트 발생 위치에 따른 성능을 분석한다. 또한, 주어진 응용에 대해 실제 발생되는 채널의 비트 에러에 따라 최대 및 최소 전송율의 크기가 선형적으로 결정될 수 있음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