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pesticide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25초

비산 챔버를 활용한 차단 식물의 비산 저감 효과 분석 (Analysis of Effect on Pesticide Drift Reduction of Prevention Plants Using Spray Drift Tunnel)

  • 박진선;이세연;최락영;홍세운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06-114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항공살포에 의한 약액의 비산 저감을 위한 방법으로 차단 식물의 효과를 정량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식물의 엽면적지수(LAI)에 따른 잎의 약액 부착 효율 및 공기 투과 저항성을 비산 챔버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LAI는 엽면적 밀도를 세 수준으로 구분하여 측정하였으며, 각 수준별 평균 LAI는 1.723±0.130, 2.810±0.412, 4.875±0.701로 산정되었다. 풍속 1m·s-1에서 LAI가 'Low' 수준일 때 부착 효율 16.13%로 측정되었고, 동일 LAI 수준에서 풍속이 2m·s-1로 증가할 때 식물의 부착 효율은 29.06%로 측정되어 1.80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Medium' 수준에서는 풍속 조건에 따라 24.42%에서 43.06%로 1.76배 증가하였다. 또한 LAI가 'High' 수준일 때 풍속의 변화에 따른 식물의 부착 효율은 1.24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풍속의 증가에 따라 식물의 약액 부착 효율도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풍속 및 LAI에 따른 식물의 공기 투과 저항성 실험에서 LAI가 증가할수록 공기 투과 저항성 또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2차 함수 및 거듭제곱 함수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결정계수가 0.96-0.99 수준으로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농경지에 인접하게 식재된 식물이 항공살포 된 약액이 비산될 때 잎에 부착 및 지면 퇴적을 유도하여 비산 저감에 효과를 나타냄을 정량 평가하였다. 또한 LAI가 증가할수록 내부 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실험적으로 규명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향후 잎의 형상 및 캐노피 등 식물 특성 변수를 추가 반영하여 비산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적정 작물을 선정하는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생분해성 광활성 물질 5-aminolevulinic acid의 제초활성 (Herbicidal Effect of 5-Aminolevulinic Acid, a Biodegradable Photodynamic Substance)

  • 천상욱;김영민
    • 농약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8-45
    • /
    • 2007
  • 미생물학적으로 생산된 것과 합성된 2종류의 ${\delta}$-aminolevulinic acid(ALA)가 배추의 생장과 엽록소 함량에 미치는 제초활성을 탐색하기 위해 실험실 및 온실시험을 수행하였다. 초기 유묘의 생장에 미치는 ALA의 효과는 농도에 비례하여 반응을 보이며 높은 농도에서 유의적인 억제효과를 보였다. 발생 전 및 발생 후 처리된 ALA는 유의적인 정도의 광활성을 나타냈다. 많은 잎을 가진 엽령의 유묘는 적은 엽령의 유묘보다 ALA에 대해 더 내성을 보였다. 미생물학적으로 생산된 것과 합성된 ALA간의 제초효과에 있어서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합성된 ALA의 잔류성과 물리화학적 특성은 미생물학적으로 생산된 ALA의 그것 보다 더 안정적이었다. 따라서 잡초발생 전후 처리한 ALA의 제초활성이 인정되었으며 그 화합물은 천연 미생물 제제로 가치 있는 친환경 잡초방제 수단이 될 것으로 사료되었다.

Modelling the capture of spray droplets by barley

  • Cox, S.J.;Salt, D.W.;Lee, B.E.;Ford, M.G.
    • Wind and Structures
    • /
    • 제5권2_3_4호
    • /
    • pp.127-140
    • /
    • 2002
  • This paper presents some of the results of a project whose aim has been to produce a full simulation model which would determine the efficacy of pesticides for use by both farmers and the bio-chemical industry. The work presented here describes how crop architecture can be mathematically modelled and how the mechanics of pesticide droplet capture can be simulated so that if a wind assisted droplet-trajectory model is assumed then droplet deposition patterns on crop surfaces can be predicted. This achievement, when combined with biological response models, will then enable the efficacy of pesticide use to be predicted.

몇 가지 식물 추출물의 밀 녹병 방제 특성 (Antifungal activities of Several Plant Extracts against Wheat Leaf Rust)

  • 최경자;김진철;장경수;이선우;김진석;조광연
    • 농약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87-95
    • /
    • 2002
  • 야외에서 채집한 27종 식물의 메탄올 추출물의 벼 도열병, 벼 잎집무늬마름병, 토마토 잿빛곰팡이병, 토마토 역병, 밀 녹병 및 보리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실험하였다. 벼 도열병에 대하여는 환삼덩굴, 비비추, 맥문동, 황기 추출물이, 잿빛곰팡이병에 대해서는 닭의장풀 추출물이, 보리 흰가루병에 대하여는 황기 추출물이 그리고 밀 녹병에 대하여는 비비추, 맥문동, 까마중 그리고 황기 추출물이 우수한 방제효과를 보였다. 이들 중 밀 녹병에 대하여 방제효과가 우수한 4종 시료를 선발하여 이들의 방제 특성을 조사하였나. 맥문동과 까마중 추출물은 밀 녹병에 대한 예방효과가 다른 추출물에 비하여 우수하였으며, 치료효과는 황기 추출물은 우수하였으나 까마중 추출물은 다소 미약한 치료활성이 있었다. 식물 추출물의 침투이행성은 엽육이행과 엽간이행으로 실험하였는데, 4종 추출물 모두 엽간이행은 거의 없었으나, 엽육이행은 우수하였다. 식물추출물의 약효지속성은 대부분 좋았으며 특히 비비추와 까마중 추출물은 약제처리 7일 후에도 95% 이상의 방제가를 보였다. 이들 결과를 종합해 보면 4종 식물 추출물 특히 까마중 추출물은 포장에서 밀 녹병에 대하여 우수한 방제효과를 보이리라 생각된다.

N-Dialkylaminosulfenyl 치환체를 갖는 새로운 불소 함유 Phenylformamidine 유도체의 합성과 살충활성 (A Synthesis of New Fluorine-containing Phenylformamidines Possessing N-Dialkylaminosulfenyl Group and Their Insecticidal Activities)

  • 이동국;정근회;고영관;류재욱;우재춘;구동완;최용호;박노중;김태준;최인영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99-208
    • /
    • 2010
  • Phenylformamidine계 유도체들은 곤충의 신경전달 물질인 octopamine과 경쟁적으로 octopamine receptor에 작용하여 생육 전 단계에 걸쳐 살충 활성을 나타내는 젓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활성 화합물을 발견하기 위해 과거에 합성되지 않은 불소를 함유한 phenylformamidine 유도체에 N-dialkylaminosulfenyl 치환체를 도입하여 새로운 화합물을 합성하고 살충활성 시험을 한 결과 N-(dialkylamino)sulfenyl-N-methyl-N'-(4-fluoro-2-methyl-phenyl)formamidines 유도체들이 높은 살충 활성 나타내었으며 특히, 이들 중 가장 우수한 살충 활성을 갖는 화합물 29와 대조약제인 Amitraz의 점박이응애에 대한 $LD_{90}$는 각각 32.0 ppm, 150.4 ppm으로 화합물 29는 점박이응애에 대하여 Amitraz보다 5배 우수한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제초제 picolinafen의 제초활성 특성 (Herbicidal properties of picolinafen)

  • 이종남;구석진;김도순;황기환;김대황;고영관;정근회;류재욱;우재춘;구동완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51-358
    • /
    • 2006
  • 본 연구에서 Phytoene desaturase를 저해하여 식물체내의 카르티노이드의 생합성을 저해하는 picolinafen(N-(4-fluorophenyl)-6-[3-(trifluoromethyl)phenoxy]-2-pyridinecarboxamide)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밀(Triticum aestivum L.), 보리(Hordeum vulgare L.)에 대한 약해와 제초 Spectrum, 처리적기, 잔효력, 저항성 잡초 방제효과 등을 평가하였다. Picolinafen은 밀, 보리에 대한 약해는 파종 동시 처리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처리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였다. 제초활성은 발아 전, 후 처리 모두에서 나타나며, 화본과 잡초보다는 광엽 잡초에 높았다. 처리적기는 감수성의 차이에 따라 초종별로 다양하였으나 파종 후 $5{\sim}15$일 사이의 초기 경엽처리시 방제효과가 가장 높아 적기로 판단되었다. 잔효력은 60 g ai $ha^{-1}$ 처리시 바랭이(Digitaria ciliaris)와 유채(Brassica napus)에 대한 $LT_{50}$값(생체중을 50% 저해하는 잔효기간)이 각각 9.3일, 6.5일로 나타나 비교적 짧은 편이었다. Triazine계 제초제에 저항성인 털비름(Amaranthus retroflexus)에 대해서는 감수성 털비름과 제초활성에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본 실험 결과 picolinafen은 광엽잡초를 주요 대상잡초로 생육초기 경엽처리시 방제효과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저항성 잡초 방제에 사용 가능한 특성을 보여주었다.

건조 대파의 잔류농약 가공 및 감소계수 연구 (On the Processing and Reduction Factors of Several Pesticides with Welsh Onion)

  • 박소연;강혜림;고광용;길근환;임무혁;이규승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49-255
    • /
    • 2009
  • 본 실험은 우리나라에서 파에 등록되어 사용중인 농약 중 pyridalyl, kresoxim-methyl, spinosad, flufenoxuron, difenoconazole, metconazole, tebufenozide를 시험농약으로 하여 건조계수와 가공계수를 구하기 위해 파에 대한 2군데 포장시험을 수행하여 $60^{\circ}C$에서 건조한 후 건조 전후 차의 수분함량을 측정하고 잔류농약을 분석하였다. 파의 평균 수분 함량은 건조 전은 89.3%, 건조 후는 10.2%이였으며, 2포장의 평균 가공계수는 pyridalyl은 7.24, kresoxim- methyl은 2.85, spinosad은 7.43, flufenoxuron은 3.17, difenoconazole은 4.38, metconazole은 2.40, tebufenozide은 8.13으로 나타났고, 2포장의 평균 감소계수는 pyridalyl은 0.87, kresoxim-methyl은 0.35, spinosad은 0.88, flufenoxuron은 0.38, difenoconazole은 0.52, metconazole은 0.29, tebufenozide 0.98로 나타나 전반적인 농약잔류량은 건조하는 과정에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농약 검출을 위한 바이오센서 시스템 연구 및 그 응용 (Biosensor System for the Detection of Agrichemicals and Its Applications)

  • 박태정;양민호;이상엽;김수현
    • KSBB Journal
    • /
    • 제24권3호
    • /
    • pp.227-238
    • /
    • 2009
  • 현재까지의 농약 검출용 바이오센서는 화학 센서, immunoassay, 화학 테스트 킷과 같은 다른 잘 알려진 분석 방법들과 경쟁적으로 연구되어 지고 있다. 바이오센서가 농약을 증명하는 간단하고 저렴한 방법으로 chromatography 방법들을 대체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정량적 분석 방법이 아직도 미비하다. 안정하고 강력한 바이오센서의 발전을 위해서 유전자 조작을 이용한 효소 개량을 통해 좀 더 민감하고 반응속도가 빠른 생촉매와 특이성이 높은 항체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바이오센서의 안정성 개선과 transducer 표면으로부터의 빠른 신호 전달을 위해 새로운 고정화 방법이 탐구되어져야 한다. 비록 약간의 방법들이 시료의 전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을 지라도 센서의 안정성은 또 다른 개념으로 접근해야 한다. 그래서 현장 적용을 위해, 보다 간편한 시료의 전처리과정 혹은 직접적인 분석 방식이 동일시되어 개선되어야 한다. 향상된 fabrication 기술을 이용한 소형화 센서 혹은 일회용 킷의 개발은 개인용 및 산업용, 의약용 등의 여러 분야에서 실시간으로 분석이 가능하게 할 것이다. 실제 샘플의 빠르고 자동화 및 소형화된 분석 시스템의 구축을 위해 장차 매우 선택적인 다중 검출 바이오센서의 설계에 더 많은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 앞으로 잔류농약 검출을 위한 휴대형 바이오센서의 개발과 상용화를 위해서, 무엇보다 현재의 GC, LC (혹은 GC/MS, LC/MS) 분석을 위해 이루어지고 있는 샘플 전처리 방법의 경우, 다량의 샘플로부터 유기용매 등을 이용한 추출방법으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샘플 전처리를 간소화하고 간단한 측정방법으로 전체의 측정결과를 대변할 수 있는 방안을 구축하고 잔류농약의 법적 허용기준과 적용이 가능한 방법을 찾아내는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다.

제조방식을 달리한 chlomethoxyfen과 butachlor 혼합입제의 물리성, 수중용출도와 생물효과 비교 (Physical properties, released patterns and bio-efficacy of granular mixtures with chlomethoxyfen and butachlor formulated by different methods)

  • 정봉진;연재흠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36-44
    • /
    • 1998
  • 각기 다른 종류의 입상담체(extruded pellets, sands, zeolites)를 이용하여 보조제의 종류와 조성을 달리하고 주성분을 피복 또는 흡착시켜 제제한 제제품과 조립흡착식으로 제조된 butachlor + chlometholefen(3.5 + 7.0%, 부로트 입제) 혼합입제의 부유성, 수중확산 또는 붕괴성, 수중용출도 및 생물효과를 비교하여 우수한 물성 및 효과를 갖는 용출제어형 입제 제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물성이 다른 원제를 이용하여 입제를 제조하기 위해서 여러 제조방식을 이용하는데 원제 2개 이상 혼합된 입제를 제조하기 위해서 고상인 원제와 증량제 및 보조제를 첨가시켜 조립한 뒤 여기에 액상 원제를 흡착시켜 제조한 입제는 우수한 부유성과 수중붕괴성, 안정된 수중용출도를 나타내었으며, 생물효과도 안정적으로 발휘시킬 수 있었다. 기립입자를 담체로 이용하여 피복 또는 흡착시킨 기립피복식 입제들은 부유성, 수중붕괴성 및 생물효과면에서 기존 입제와 대등하거나 우수하였지만 불안정한 수중용출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모래피복형의 경우 기립피복식이나 지오라이트피복식과 달리 액상의 binder가 비교적 안정적으로 주성분들의 수중용출에 도움을 주었고 분상의 dispersing agent보다 액상이 부유성, 수중붕괴성 및 생물효과 면에서 기존과 비슷했거나 좋았던 결과로 볼 때 적절한 binder와 액상의 dispersing agent를 선택하여 제조한다면 기존 조립흡착식 입제와 대등하거나 우수한 물성 및 생물효과를 발현하는 입제를 개발할 수 있는 제조방식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서울지역 학교급식 식재료의 잔류농약 위해성 평가 (Monitoring and risk assessment of pesticide in school foodservice products in seoul, Korea)

  • 서영호;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9-74
    • /
    • 2014
  • 학교 급식 식재료로 사용되는 농산물 중 잔류농약의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서울시내 초, 중, 고등학교 110곳에서 316건의 시료를 수거하여 잔류농약을 분석하였다. 185종의 농약에 대해 GC-ECD, GC-NPD, GC-MSD 및 HPLC-UVD를 이용한 다종농약 다성분 분석법으로 잔류농약을 분석하였고, 분석결과 26건의 시료에서 농약이 검출되었고, 취나물과 들깻잎에서 각각 57.1, 55.6%의 높은 검출율을 나타내었다. 농약 성분별 검출빈도는 프로시미돈, 엔도설판, 아족시스트로빈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2종 이상의 농약이 동시에 검출된 것은 3건이었다. 그리고 검출된 시료 중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시료는 6건이었으며 시금치, 취나물, 양배추에서 엔도설판, 깻잎에서는 디니코나졸과 카보후란, 고추에서는 에토프로포스가 잔류허용기준치를 초과하여 검출되었다. 위해성 평가결과 들깻잎에서 검출된 카보후란의 hazard index가 3.8%로 가장 높았으며, 다른 농산물들은 모두 2% 미만을 나타내어 위해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서울지역 학교급식 식재료로 사용되는 농산물은 비교적 안전한 수준으로 농약관리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며, 지속적으로 농약의 안전한 사용을 위한 홍보와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