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low basic level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26초

현행 한국의 한약재 중금속기준개정 필요성 고찰 (Problems of Legal Permissible Limit in Metal Level of Herbal Drugs Using Current Korea)

  • 이선동;박경식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1-40
    • /
    • 2001
  • Legal permissible limit of herbal drugs metal level in Korea is define 'less 30.0ppm in total(except mineral drugs)' including Pb Hg Cd As Cr Ni etc. This limit has a lot of problems in several factors, that is, not divide hazard and essential elements, not consider high and low toxic effect in each metal, not calculate dose-response relationship and average health behavior in Korean etc. As a that result, It has strong limits and weakness in the basic toxicology and Oriental medicine. To improve and correct these factors, We need to several new approach as like below. It must be radical study following problems in short and middle-long period in the future, toxic metal and essential element must be divide to basic toxicology and also be diverse toxic effect. But mineral drugs that included a amount of severe toxic metals is being used as active prescription drug until now. If toxic, safety and side-effect of metals will be considered, mineral drugs must prohibit instantly or use at least after examined toxic effect. But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s about herbal drugs contamination, all people and department (government, farmer and trader, oriental medicine doctors and association) will be participate cooperative and collection for preventive or the least contamination in herbal drugs.

  • PDF

수학 학업성취도의 변산도에서 성차 추이 분석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 (The Trend of Gender Differences in Variability i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on Mathematics)

  • 이봉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9권2호
    • /
    • pp.273-288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수학 성취도에서 나타나는 성차를 설명하기 위하여 국내 성차 분석 연구에서 시도하지 않은 변산도 측면에서의 성차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시행된 2003년부터 2006년까지의 수학과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서 각 학교급 성취도의 변산도에서 성차를 분석하였다. 먼저, 변산도 지수 중의 하나인 분산에서 성차를 분석한 결과, 세 학교급에서 모두 남학생 점수의 분산이 여학생 점수의 분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동일한 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한 표본을 통한 상급학교 진학에 따른 학업성취도 변산도 추이 변화로부터 대체적으로 남학생 집단과 여학생 집단 모두에서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수학 점수의 변산도가 더 커지는 현상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모든 학교급의 우수학력 수준과 기초학력미달 수준에서 남학생 비율이 대체적으로 여학생 비율보다 더 높았다.

  • PDF

여성농업인의 농작업 스트레스와 대처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ess and Coping with Farm Work of Rural Women)

  • 조현숙;김경미;최규련
    • 한국농촌생활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37-51
    • /
    • 1999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understand the working stress of rural women and their coping strategies, and to provide basic data related with rural welfare policy. The data were obtained through 318 samples of rural women under sixty years old who work full-time at their farms with their husbands. The questionnaire employed Likert-type scale with four-point, and then the data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methods of frequency, percentage, mean score, analysis of variance, t-test and Duncan test through SAS program. The significance level was p < .0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average stress level of rural women was over 2.9 points out of 4. 2) The stress level showed meaningful correlation with such variables as age, education, perception on economic status, and recognition by their husbands and other family members. The rural women who are over forty years old, below high school, disregarded from their family members were marked high stress level. 3) The level of rural women's stress coping strategies was quite as low as 1.95 out of 4. 4) The level of coping strategies showed meaningful correlation with such socio-demographic variables as age, perception on economic status and job satisfaction level. Those who aged over 40, perceives low economic staus, lives together with husbands'parents, and shows “average” job satisfaction scored significantly lower coping strategy levels. 5) The level of stress didn't indicate significant relation with the type of coping strategy.

  • PDF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와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의 연계를 통한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성취 특성 분석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achievement in Korea through linking NAEA and PISA)

  • 임해미;김수진;김경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2권1호
    • /
    • pp.1-2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2009년 5월 시행된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인 PISA 2009와 같은 해 10월 시행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NAEA 2009의 평가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성취 특성을 파악하고 교육 개선을 위한 정보를 산출하고자 한다. 두 평가에서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성취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NAEA 2009 우수학력의 분할점수는 PISA에서 상위 성취수준으로 정의하고 있는 5수준의 분할점수를 넘어서고 있으며, 기초학력의 분할점수도 PISA에서 기초학력 수준으로 정의하고 있는 2수준을 넘어서고 있다. 둘째, NAEA 2009와 PISA 2009 모두에서 여학생의 상위수준 비율이 남학생보다 낮았으며, 읍면 지역에서는 상위 수준의 비율이 낮고 하위 수준의 비율이 높은 특성이 나타났다. 셋째, NAEA2009에서 우수학력 학생들은 PISA 4~6수준, 보통학력 학생들은 PISA 3~5수준, 기초학력 학생들은 PISA 2~4수준, 기초학력미달 학생들은 PISA 3수준 이하를 중심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NAEA 2009와 PISA 2009 수학 점수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69)이 나타났지만, 하위 영역별로는 약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다섯째, 비동일 집단에 대한 분석 결과, 유의수준 .001에서 11문항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해당 문항을 중심으로 두 그룹의 차이를 비교해본 결과, 두 그룹은 실제적인 맥락의 문제의 해결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변화와 관계, 불확실성 영역, 그리고 연결 영역에 속하는 문항에서 큰 정답률 차이를 나타냈다.

  • PDF

$2003{\sim}2006$년 국가수준 과학과 학업성취도 변화 추이 분석 (Trend Analysis of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i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from 2003 to 2006)

  • 정은영;최원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438-452
    • /
    • 2008
  • 우리나라 학생들의 학력 수준을 파악하고 연도별로 학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교육과정, 교수 학습, 교육 정책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3년부터 2006년까지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행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과학과 학업성취도 평균 점수와 성취수준별 비율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다. $2003{\sim}2006$년 연도별 과학과 성취도 점수를 비교한 결과, 학교급에 상관없이 학생들의 성취도는 증가 또는 감소의 특별한 경향이 보이지 않았다. 연도별 과학과 성취도 점수의 평균과 우수학력에 속하는 성취수준 비율을 성별로 비교한 결과, 초등학교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더 높았지만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더 높아졌다. 한편 기초학력미달에 속하는 학생의 비율은 모든 학교급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았다. 그리고 연도별 과학과 성취도 점수의 평균을 지역별로 비교한 결과, 초 중 고등학교 모두 읍 면지역 학생들의 성취수준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고려할 때 성별, 지역별 점수 차를 줄이기 위하여 교육적 환경을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결과가 교육과정 및 교육 정책 입안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도록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수학 성취수준별 특징 탐색 - 200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분석 - (Investigations into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Grade 6 According to Achievement Levels - The Result Analysis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2003 -)

  • 조영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7권1호
    • /
    • pp.33-54
    • /
    • 2005
  • 200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는 결과 분석의 하나로, 각 문항별로 우수학력, 보통학력, 기초학력 수준 각각에 속한 학생들의 정답률을 산출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특별히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한 결과 분석 내용을 활용하여, 먼저 문항별 성취수준의 특징을 분석하고, 다음으로 성취수준별 학생들의 특징을 추출하였다. 이 결과는 최근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수준별 교육과정이나 수준별 수업의 운영에 필요한 기본적인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Morphology and Charge Transport Properties of Chemically Synthesized Polyaniline-poly(ε-caprolactone) Polymer Films

  • Basavaraja, C.;Kim, Dae-Gun;Kim, Won-Jeong;Kim, Ji-Hyun;Huh, Do-Su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2권3호
    • /
    • pp.927-933
    • /
    • 2011
  • Conducting polyaniline-poly($\varepsilon$-caprolactone) polymer composites were synthesized via in situ deposition techniques. By dissolving different weight percentages of poly($\varepsilon$-caprolactone) (PCL) (10%, 20%, 30%, 40%, and 50%), the oxidative polymerization of aniline was achieved using ammonium persulfate as an oxidant. FTIR, UV-vis spectra, and X-ray diffraction studies support a strong interaction between polyaniline (PANI) and PCL. Structural morphology of the PANI-PCL polymer composites was studied using scanned electron microscopy (SEM) and transmittance electron microscopy (TEM), and thermal stability was analyzed by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technique. The temperature-dependent DC conductivity of PANI-PCL polymer composite films was studied in the range of 305-475 K, which revealed a semiconducting behavior in the transport properties of the polymer films. Conductivity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PCL in below critical level, however conductivity of the polymer film was decreased with increase of PCL concentration higher than the critical value.

서울시내 탁아기관 급식의 영양적 균형 및 미생물적 품질 평가 (Assessment of Nutritional Adequacy and Microbiological Quality of Foods served in Day-care Centers)

  • 곽동경;이혜상;양일선;김성희;문혜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11-118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nutritional adequacy and microbiological quality of foods served in day-care centers,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nd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computerized standardized recipes and microbiological quality control program. Assessment was conducted for four day-care certers selected from each of the four groups categorized in the basic survey. Nutritional balance and amount of consumption of the food was calculated and microbiological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e followings: the nutritional assessment of food served in day-care centers indicated that energy and nutrients contents of foods were below the recommended level (RDA/3), except the case of a university day-care center; the percentage of leftovers for soups and vegetables was high, but that for a la carte was low; fecal coliform was not found in any of samples, however, the number of coliform in the salted Korean radish and salad was higher than guideline for microbial acceptability; the number of coliform checked from the surface of the cutting board was higher than acceptable level in most day-care centers.

  • PDF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화학 문항에서 나타난 초.중학교 학생의 성취수준별 특징 비교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ducational Achievement Level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Shown in the Chemistry Item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 최원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1186-1201
    • /
    • 2013
  • 우리나라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2009, 2010, 201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성취수준별 특징을 조사하였고, 초 중학교 학생들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초 중학생의 성취수준별 대표 문항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알았다. 초 중학교 공통적으로 우수학력 학생들은 모두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었지만 보통학력 학생들은 용어를 단순히 기억하는 수준과 같이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피상적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그래서 보통학력 학생들은 교육과정 목표 달성을 위해 수업 및 평가에서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도록 돕는 방안을 늘릴 필요가 있다. 예를들어 선다형 평가 대신 서술형 평가를 요구하는 교육환경은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는 습관을 길러줄 수 있을 것이다. 기초학력 학생들은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거의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에 단순한 상황에서 성취기준을 다루는 보정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과학 개념은 학교급별로 위계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초학력 미달 수준을 위한 보정 교육만으로는 과학교육에서 학습 결손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이를 위해서는 과학에서 수준별 수업을 대폭 확대할 필요가 있다.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기초한 2009 개정 교육과정 시기의 중학생의 과학 학업성취 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NAEA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 이재봉;구자옥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29-436
    • /
    • 2020
  •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 2015~2018년 4년간의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과학 학업성취 특성을 분석하였다. 우선 인지적 영역에 학생들의 학업성취 특성을 살펴보고자 성취도 평균 점수와 성취수준별 비율의 추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정의적 영역에 대한 학업성취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학생들의 설문 중 교과태도에 대한 자신감, 흥미, 가치, 학습의욕 등에 문항에 관한 결과와 추이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첫째, 전체적인 과학과 학업성취도가 하락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성취수준별 차이를 보면 우수학력 집단에서 하락의 폭이 큼을 알 수 있으며, 기초학력 미달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셋째 성별로 보면, 성취도 점수에서는 남녀 간 점수 차이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우수학력에서 여학생에 대한 지원, 기초학력에서 남학생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넷째, 지역규모에서 있어서는 우수학력에서 지역규모간의 격차가 발생하고 있다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교과태도에 대한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교과태도에 대한 자신감, 흥미, 가치, 학습의욕 등 4개 구인 모두 성취도 평균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교과태도에서 '높음'일수록 성취도 평균도 높았다. 공통 문항을 통해 최근의 교과태도에 대한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 2018년을 제외하고 자신감, 흥미, 가치 구인이 점차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보통학력 이상 집단에서는 자신감, 흥미, 가치 등에서 지속해서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나 기초학력 이하 집단에서는 2018년에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교육과정이나 교수·학습 개선, 교육 정책 수립의 근거나 자료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