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achievement in Korea through linking NAEA and PISA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와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의 연계를 통한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성취 특성 분석

  • Received : 2011.11.04
  • Accepted : 2012.02.20
  • Published : 2012.02.29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Korea students' characteristics as well as to give important information of improving our education using comparative analysis of framework, test booklets, test results between PISA 2009 and NAEA 2009. PISA 2009 was administered on May of 2009 and NAEA was administered on October of same year.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comparing two assessment is as follows First, cut score of NAEA Advance level is bigger than the cut score of level 5, which is considered as high achievement level. The cut score of Basic level of NAEA is also higher than the level 2 of PISA, which is considered as basic achievement level. This phenomenon can show that NAEA achievement level is set little bit higher than the achievement level of PISA in mathematics domain. Second, the percentage of female students on higher level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In suburban area, the percentage of high level was small and the percentage of low level was big. Third, students of Advanced level are distributed concentrating in PISA levels 4~6, Proficient achievement level concentrating in PISA levels 3~5, Basic achievement level concentrating in PISA levels 2~4, and below basic achievement levels concentrating in below level 1 and level 3 of PISA. Fourth, the correlation between NAEA 2009 and PISA 2009 achievement scores are significantly positive. However, the correlation of subscales were low. Fifth, analysis of non-equivalent group, 11 items located in 'change and relationship', 'uncertainty', 'connection cluster' domains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The percent correct showed very big difference. The analysis results presents the implication of mathematics curriculum,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s well as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본 연구에서는 2009년 5월 시행된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인 PISA 2009와 같은 해 10월 시행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NAEA 2009의 평가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성취 특성을 파악하고 교육 개선을 위한 정보를 산출하고자 한다. 두 평가에서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성취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NAEA 2009 우수학력의 분할점수는 PISA에서 상위 성취수준으로 정의하고 있는 5수준의 분할점수를 넘어서고 있으며, 기초학력의 분할점수도 PISA에서 기초학력 수준으로 정의하고 있는 2수준을 넘어서고 있다. 둘째, NAEA 2009와 PISA 2009 모두에서 여학생의 상위수준 비율이 남학생보다 낮았으며, 읍면 지역에서는 상위 수준의 비율이 낮고 하위 수준의 비율이 높은 특성이 나타났다. 셋째, NAEA2009에서 우수학력 학생들은 PISA 4~6수준, 보통학력 학생들은 PISA 3~5수준, 기초학력 학생들은 PISA 2~4수준, 기초학력미달 학생들은 PISA 3수준 이하를 중심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NAEA 2009와 PISA 2009 수학 점수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69)이 나타났지만, 하위 영역별로는 약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다섯째, 비동일 집단에 대한 분석 결과, 유의수준 .001에서 11문항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해당 문항을 중심으로 두 그룹의 차이를 비교해본 결과, 두 그룹은 실제적인 맥락의 문제의 해결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변화와 관계, 불확실성 영역, 그리고 연결 영역에 속하는 문항에서 큰 정답률 차이를 나타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