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ducational Achievement Level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Shown in the Chemistry Item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화학 문항에서 나타난 초.중학교 학생의 성취수준별 특징 비교

  • Received : 2013.08.03
  • Accepted : 2013.09.10
  • Published : 2013.10.31

Abstract

We investigated student's characteristics in each educational achievement level using the results of the NAEA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2009, 2010, and 2011 for Grade 6 students, and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e analysis of representative items for each educational achievement level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revealed that (a) advanced level students from bo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ould exactly understand the achievement criteria of the curriculum, (b) proficient level students from bo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were understanding the achievement criteria of the curriculum superficially, for example, they could not understand concepts exactly but could memorize terms, and so should have compensational education under situations that ask for short answer or essay type items instead of multiple choice items, and (c) basic level students from bo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lmost could not understand the achievement criteria of curriculum, and so should have compensational education under situations that only deal with a simple situation. Science concepts treated in science curriculum are hierarchically organized by level of school, and simple compensational education for the students of below basic level will not solve learning deficits in science education. Differentiated education by educational achievement should be largely expanded instead.

우리나라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2009, 2010, 201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성취수준별 특징을 조사하였고, 초 중학교 학생들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초 중학생의 성취수준별 대표 문항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알았다. 초 중학교 공통적으로 우수학력 학생들은 모두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었지만 보통학력 학생들은 용어를 단순히 기억하는 수준과 같이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피상적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그래서 보통학력 학생들은 교육과정 목표 달성을 위해 수업 및 평가에서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도록 돕는 방안을 늘릴 필요가 있다. 예를들어 선다형 평가 대신 서술형 평가를 요구하는 교육환경은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는 습관을 길러줄 수 있을 것이다. 기초학력 학생들은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거의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에 단순한 상황에서 성취기준을 다루는 보정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과학 개념은 학교급별로 위계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초학력 미달 수준을 위한 보정 교육만으로는 과학교육에서 학습 결손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이를 위해서는 과학에서 수준별 수업을 대폭 확대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1997).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2. 교육인적자원부 (2007). 2007년 개정 교육과정-과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3. 교육과학기술부 (2009a).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
  4. 교육과학기술부 (2009b). 2009 개정 교육과정-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41호.
  5. 권점례 (2012). 우수학력과 기초학력 미달 학생들의 수학과 학업성취도 특성 분석. 수학교육, 26(1), 29-50.
  6. 김대석, 조호제 (2013). 수준별 수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수학교과 수준별 이동수업을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 26(2), 1-24.
  7. 김동영, 이인호, 김미경, 정은영, 강훈식, 최요한 (2012). 201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분석-과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2-2-5.
  8. 김석우, 김정섭, 정성아 (2004). 수준별 교육과정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학생평가 방안 연구. 교육과정연구, 22(1), 45-74.
  9. 김성열, 남명호, 정은영, 김성숙 (2009).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발전 방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포지션페이퍼 ORM 2009-5-1.
  10. 김현경, 이인호, 김미경, 정진수, 신명경 (2011). 2010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분석-과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1-3-5.
  11. 김혜숙, 박가나, 최준채, 백길남, 정은영, 최인봉, 김희경, 김소영, 유진은 (2009). 2008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사회.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9-9-2.
  12. 도종훈, 고정화 (2008). 성취수준별 대표문항의 개념 및 수준별 수업에의 활용 방안. 수학교육, 22(2), 109-124.
  13. 이미경, 신일용, 백승용, 이기영, 김나현, 정구향, 김경희, 김재철, 반재천, 민경석 (2004). 200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과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 보고 RRE 2004-1-5.
  14. 이범홍, 김주훈, 이양락, 홍미영, 이미경, 이창훈, 신일용, 심재호, 곽영순, 정은영, 전영석, 김동영, 장재현 (2005). 과학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5-7.
  15. 장종득 (2000). 수준별 이동수업을 통한 영어수업의 효율성 고찰. 언어과학연구, 51, 277-300.
  16. 정영숙, 강미광 (2008). 수월성 교육을 위한 수준별 이동 수업. 한국수학교육학회, 제41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프로시딩, 3-13.
  17. 정은영, 김재우, 이기영, 최선영 (2002). 2002년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I) -과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2-1-5.
  18. 정은영, 김명화, 상경아 (2008). 국가수준 학업성취 평가 체제 개선 연구(I).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8-2.
  19. 정은영, 남민우, 김도남, 김혜숙, 박가나, 이봉주, 권점례, 최원호, 이인호, 조보경, 송민영, 최인봉, 김희경, 김소영 (2010).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교과별 평가틀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E 2010-7.
  20. 조영미 (2005). 우리나라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수학 성취수준별 특징 탐색-200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분석. 학교수학, 7(1), 33-54.
  21. 진경애, 송미영, 김화경, 고성희 (2009). 수준별 수업에 따른 학생평가방안: 수학, 영어 교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9-5.
  22. 최승현, 이대현 (2005). 수학과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수학교육, 44(3), 325-336.
  23. 최원호, 이인호, 이창훈, 정은영, 박재근, 신명경, 김진국 (2010). 200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과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0-6-5.
  24. 최원호, 이인호, 김진국, 정은영 (2011). 과학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틀 개발. 교육과정평가연구, 14(2), 217-240.
  25. 최원호 (2013).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중학생의 성취수준별 특징 분석: 화학 영역을 중심으로. 대한화학회지, 57(1), 127-137.
  26. 홍후조, 김대석, 조호제, 민부자, 조형정, 김정일, 류호섭 (2012). 학교 맞춤형 교과교실제 운영 모형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CR2012-41.
  27. Huynh, H. (1994). Some technical aspects of standard setting. Paper presented at the Joint Conference on Standard Setting for Large-Scale Assessments. Washington, D.C.

Cited by

  1.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Items for Science Subject through the use of Option Response Rate Distribution Curve vol.35, pp.1, 2015,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1.0121
  2.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Items for Science Subject: With a Focus on Optics vol.35, pp.3, 2015,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3.0465
  3.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기초한 2009 개정 교육과정 시기의 중학생의 과학 학업성취 특성 분석 vol.40, pp.4,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20.40.4.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