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liefs about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3초

맞다 틀리다의 단순한 심판을 넘어: 예비교사들은 수업관찰을 통하여 무엇을 어떻게 배울 수 있었는가? (Beyond the Certifier of Right or Wrong Answer: What and How Could Pre-Service Teachers Learn from a Lesson Observation Course?)

  • 이지현;이기돈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5권4호
    • /
    • pp.549-569
    • /
    • 2015
  • 관찰의 도제경험으로 형성한 교수 학습신념의 반성은 예비교사기간의 중요한 과제이다. 이 연구는 교사가 정답과 오답의 여부를 판단해주어야만 한다는 예비교사들의 교실대화에 대한 통상적인 교수관을 표면화하고 도전했으며, 결과적으로 교수 학습신념의 반성과 변화를 유도했던 수업관찰강의의 구체적인 과정과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 사례연구는 예비교사교육에서 새로운 교수관행을 육성하기 위하여, 교사교육자가 예비교사의 구체적인 교수신념을 표면화하고 이를 수업관찰과 텍스트 등을 이용하여 동요시키고 논박하는 것이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중등 수학 예비교사의 교수-학습 개념 연구 (Conceptions in Teaching and Learning of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 권나영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321-335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수학 예비교사의 신념을 조사하기 위하여 특별히 예비교사의 교수-학습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학년 및 성별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를 통해 확인한 Chan & Elliot(2004)의 설문도구를 이용하여 인천 지역의 중등 수학 예비교사 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예비교사들은 교수-학습 개념에 있어 구성주의적인 개념에 매우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 비교 결과에서는 전통적인 개념관련 문항들에서 4학년이 3학년에 비해 약간 더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별 비교 결과로는 남자가 여자에 비해 전통적인 개념에 약간 더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연구 대상과 범위에 있어 제한점을 지니지만, 교사 교육자들에게 예비교사교육의 변화를 위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 PDF

Enhancing Student Beliefs about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Effects of a Problem-Solving based Intervention

  • Deng, Feng;Tay, Eng Guan;Toh, Tin Lam;Leong, Yew Hoong;Quek, Khiok Seng;Toh, Pee Choon;Dindyal, Jaguthsing;Ho, Foo Him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9권1호
    • /
    • pp.19-41
    • /
    • 2015
  • Previous studies indicated that students tended to hold less satisfactory beliefs about the discipline of mathematics, beliefs about themselves as learners of mathematics, and beliefs about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However, only a few studies had developed curricular interventions to change students' belief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a problem-solving curriculum (i.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for Everyone, MProSE) on Singaporean Grade 7 students' beliefs about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MPS). Four classes (n =142) were engaged in ten lessons with each comprising four stages: understand the problem, devise a plan, carry out the plan, and look back. Heuristics and metacognitive control were emphasized during students' problem solving activities. Results indicated that the MProSE curriculum enabled some students to develop more satisfactory beliefs about MPS. Further path analysis showed that students' attitudes towards the MProSE curriculum are important predictors for their beliefs.

A Perspective on Teaching Mathematics in the School Classroom

  • BECKER, Jerry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0권1호
    • /
    • pp.31-38
    • /
    • 2016
  • WHAT we teach, and HOW students experience it, are the primary factors that shape students' understanding and beliefs of what mathematics is all about. Further, students pick up their sense of mathematics from their experience with it. We have seen the results of the approach to "break the subject into pieces and make students master it bit by bit. As an alternative, we strive to create a teaching environment in which students are DOING mathematics and thereby engender selected aspects of "mathematical culture" in the classroom. The vehicle for doing this is the so-called Japanese Open-ended approach to teaching mathematics. We will discuss three aspects of the open-ended approach - process open, end product open, formulating problems open - and the associated approach to assessing learning.

수학 교실의 이원론적 신념과 그 극복을 위한 교수방안 고찰 (Dualism in mathematics classroom and some teaching strategies for overcoming students' dualistic beliefs)

  • 이지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261-275
    • /
    • 2016
  • 많은 학생들이 수학에는 하나의 정답이 존재하며, 수학 수업은 교사로부터 문제를 푸는 방법을 전달받는 수동적 과정이라는 이원론적 신념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는 인식론적 신념의 개념화와 발달에 대한 교육심리학의 여러 연구를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학적 사실 및 절차를 절대적이고 확실한 것으로 제시하며 학생의 오류도 절대적인 방식으로 다루는 통상적인 수학 교수 관행의 인식론적 한계를 살펴보고 그에 대한 대안을 탐색하였다. Langer와 Piper(1987)의 실험 및 Oliveira 외(2012) 등의 교실 관찰 연구는 교사가 지식을 불확실성을 허용하는 조건부적 언어로 제시하고 논의하는 것이 학생들의 인식론적 신념을 생산적인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학생의 오류에 대한 교실 의사소통의 초점과 패턴의 변화는 수학 교실을 지배하는 이원론적 신념의 극복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상의 논의는 수학 수업이 암묵적으로 전달하는 인식론적 메시지의 분석 및 학생들의 인식론적 신념 발달을 자극하는 교수 전략을 탐색하는 데 토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수학 교수 학습에 대한 예비초등교사의 신념 연구 (A Study o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Mathematical Beliefs about the Nature of Mathematics and the Mathematics Learning)

  • 김진호;강은경;김상미;권성룡;박만구;조수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2권1호
    • /
    • pp.49-64
    • /
    • 2019
  • 이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예비교사의 수학의 본질 및 수학 학습에 대한 수학적 신념 및 수학적 신념의 범주별 관련성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4개 교육대학교 수학교육과에 재학 중인 1, 2, 3, 4학년 초등예비교사 399명(여학생 283명, 남학생 116명)의 수학적 신념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조사에 사용된 문항은 2008년에 실시한 TEDS-M의 신념 관련 연구에 사용하였던 설문지를 국문으로 번역하여 사용하였으며 성별, 학년별, 교육대학교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또한, 수학의 본질에 대한 신념 사이의 상관 관계를 분석 하였다. 먼저 일원분산분석을 통하여 신념이 각 그룹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다른지를 살펴보았으며, 그 후 Duncan의 사후 검증 및 Tukey의 HSD 사후 검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예비교사들의 수학의 본질에 대한 신념은 수학이 이미 만들어진 결과인 지식과 절차로 보는 것보다는 탐구의 과정이 수학적 본질에 더 가깝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수학학습에 대한 신념 측면에서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은 '교사지시'에 대해서는 교수 행위로 바람직하지 않다고 보는 반면, 학생들의 주도적 학습에 대해서는 바람직한 것으로 보는 경향이 있었다. 초등 예비교사의 수학적 신념의 범주별 관련성에서 수학을 '탐구의 과정'으로 보는 신념과 수학의 학습이 '주도적 학습'이어야 한다는 신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관련되어 있고, 수학을 '규칙과 절차'로 보는 신념과 수학의 학습은 '교사 지시'여야 한다는 신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 교사의 수학 및 수학 교수-학습에 대한 신념의 변화 (The Consideration of Elementary Teachers' Beliefs on Mathematics)

  • 임해경;추신해;김정은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03-121
    • /
    • 2010
  • 초등교사의 수학과 수학 교수-학습에 대한 신념을 알아보고자 세 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고, 연구문제의 해답을 찾기 위한 방법으로 선택형과 서술형 문항을 개발하여 설문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그 외에 면담과 관찰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각각의 문항에 대한 통계처리 자료를 일목요연하게 표로 나타내었고, 문항 별로 특이한 점에 대하여 논의를 하였다. 연구 결과 중 특이한 점은 "생활과 수학"과목을 수강한 후 수학에 대한 신념의 변화가 현저하게 나타남을 볼 수 있었다.

  • PD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iefs of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Mathematical Practice

  • Colen, Jung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2권1호
    • /
    • pp.47-82
    • /
    • 2019
  • Pennsylvania is one of the states that adopted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Mathematics (CCSSM) and crafted its own standards (The PA Core State Standards). Pennsylvania teachers are required to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PA Core Standards. It is timely and appropriate to study Pennsylvania teachers' beliefs, as the standards have been adopted and implemented for several years since the revision of the PA Core Standards (2014). This study examined how eight western Pennsylvania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ief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related to the SMP. To this end, I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each participating teacher. The in-depth interviews featured the teachers' overarching mathematical instructional goals and their productive beliefs. Furthermore, I linked these beliefs with the CCSSM Standards for Mathematical Practice (SMP).

잠재집단분석(LCA)에 의한 수학교사와 학생들의 신념유형 분석 (Analysis of Belief Types in Mathematics Teachers and their Students by Latent Class Analysis)

  • 강성권;홍진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4권1호
    • /
    • pp.17-39
    • /
    • 2020
  • 본 연구는 수학과 관련된 수학교사와 학생들의 신념을 잠재집단분석(Latent Class Analysis; LC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수학의 본질', '수학의 교수', '수학적 능력'에 대한 고등학교 수학교사 60명의 설문과 '수학교과', '수학문제해결', '수학학습', '자아개념'에 대한 고등학생 1850명의 설문에 대해 유사한 응답을 한 교사와 학생을 각각 소집단으로 분류하고, 그 신념특성을 분석하며 신념프로파일을 작성하였다. 관찰결과, 수학교사들은 '수학의 본질'에 대해 3개, '수학의 교수'와 '수학적 능력'에 대해서는 각각 2개의 신념소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학생들은 '자아개념'에 대해 3개, '수학교과', '수학문제해결', '수학학습'에 대해서는 각각 2개의 신념소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잠재집단분석은 수학적 신념을 귀납적으로 범주화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교사와 학생의 신념의 상관관계 및 인과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는데 기초가 될 수 있다.

Social Construction of Mathematics Understanding among Student Peers in Small Group Settings

  • Cho, Cheong-Soo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3권2호
    • /
    • pp.89-98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review of literature is to investigate what kinds of research have been done on social construction of mathematics understanding among elementary students in small groups. Only empirical studies were reviewed, and then grouping was done in terms of 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grouping identified three categories: 1) Social and mathematical norms in mathematics classroom, 2) Teaching productive communication behaviors for active learning in small group, and 3) Participation roles and communication behaviors in different group structure. To enhance social construction of mathematics understanding in small group settings two suggestions are made: the importance of the selection of collaborative tasks or problems and teachers' beliefs about mathematics and the teaching an learning of mathematic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