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lief of school mathematics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6초

Logo 프로그래밍을 통한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의 변수개념 이해 (A Case Study On the 6th Graders' Understanding of Variables Using LOGO Programming)

  • 류희찬;신혜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0권1호
    • /
    • pp.85-102
    • /
    • 2000
  • The concept of variables is central to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in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Understanding the concept provides the basis for the transition from arithmetic to algebra and necessary for the meaningful use of all advanced mathematics.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 concept, however, much has been written in the last decade concerning students' difficulties with the concept. This Thesis is based on research to investigate the hypothesis that LOGO programming will contribute to 6th grader' learning of variables. The aim of the research were to; .investigate practice on pupils' understanding of variables before the activity with a computer; .identify functions of LOGO programming in pupils' using and understanding of variable symbols, variable domai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 dependent expressions during the activity using a computer;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upils' mathematical belief on understanding and using variables. The research consisted predominantly of a case study of 6 pupils' discourse and activities concerning variable during their abnormal lessons and interviews with researcher. The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included video recordings of the pupils'work with their spoken language.

  • PDF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Students' Mathematical Comprehension through CGI and DMI

  • Lee, Kwang-Ho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1권2호
    • /
    • pp.127-141
    • /
    • 2007
  •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students' mathematical comprehension after experiences with the Cognitively Guided Instruction (CGI) or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Ideas (DMI) teaching strategies. This report sheds light on current issues confronted by the educational system in the context of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In particular, the declining rate of mathematical literacy among adolescents is discussed. Moreover, examples of CGI and DMI teaching strategies are presented to focus on the impact of these teaching styles on student-centered instruction, teachers' belief, and students' mathematical achievement,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word problem solving skills. Hence, with a gradual enhancement of reformed ways of teaching mathematics in schools and the reported increase in student achievement as a result of professional development with new teaching strategies,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that emphasize teachers' understanding of students' mathematical comprehension is needed rather than the currently dominant traditional pedagogy of direct instruction with a focus on teaching problem solving strategies.

  • PDF

영아 수학적 탐색활동 지원을 위한 구성주의 교사교육프로그램이 영아교사의 수학지도 관련 변인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onstructivism-Based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Supporting Infant's Mathematical Inquiry Activity on Variables Related to Infant Teacher's Mathematics Teaching)

  • 고은지;김지현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8권1호
    • /
    • pp.105-120
    • /
    • 2020
  • This study helps infant teachers practice a constructivism-based teacher education program that supports infant mathematical inquiry activities and examines improvements in mathematical teaching knowledge, mathematical teaching initiatives, mathematical interaction, constructivism belief and mathematical teaching efficacy. Twenty two experiment group infant teachers and twenty two comparison group infant teachers were chosen at two workforce educare centers. The experiment group infant teachers participated in 18 sessions of a constructivism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8 weeks, but the comparison group infant teachers did not take part in the program. Pretest and post-tests were implemented for the mathematical teaching knowledge, mathematical teaching initiatives, mathematical interactions, constructivism belief and mathematical teaching efficacy in the experiment group.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NCOVA were tested using Windows SPSS statistics 21.0. The homogeneity test for the experiment and comparison group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ANCOVA was carried out after the pretest score was controlled as a co-varianc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indicated in mathematical teaching knowledge, mathematical teaching initiative, mathematical interaction, constructivism belief and mathematical teaching efficacy. The results indicated that a constructivism-based teacher education program to support infant mathematical inquiry activities influenced improvements in mathematical teaching knowledge, mathematical teaching initiative, mathematical interaction, constructivism belief and mathematical teaching efficacy. This study proved the effects of the program based on constructivism theory content for th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about infant teaching of mathematical initiatives and practiced a program of exploration, investigation, application and assessment for infant teachers. The results can help infant teachers teach mathematical exploration activities and help activate infant mathematical exploration activities.

초등 예비교사의 수학 교수·학습에 대한 신념 측정을 위한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Measuring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Beliefs on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 황지현;김진호;권나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5권1호
    • /
    • pp.43-55
    • /
    • 2022
  • 수학을 지도하고 배우는 방법에 관하여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서 교사들의 신념이 변화하는지 조사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런 의미에서 이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의 신념 변화를 알기 위해 이를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수학교육 전문가들과 함께 검사 문항들을 생성하고 검토한 후, 연구자들은 이 도구의 구조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해 수학과 교재연구 및 지도법 강좌를 수강한 166명의 예비교사들로부터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검사도구 개발을 위해 평행 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차례로 적용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로 개발된 도구는 초등 예비교사의 교사 중심, 학습자 중심 교육 신념을 측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개발 도구를 적용해서 얻는 점수를 적절히 해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A Study on Middle School Students' Smart Media Literacy and Learning in a Context of Online Inquiry-based Mathematics and Science Learning

  • LEE, Sunghye;CHAE, Yoojung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7권2호
    • /
    • pp.229-251
    • /
    • 2016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smart media competency and online learning outcomes. The context of this study was on online inquiry-based mathematics and science learning environment, and four-hundred and fifty-five (455) 7th to 9th grade students in Korea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To assess students' smart device competency, Smart Media Literacy Quotient (SMLQ) which consisted of 18 items regarding the operation ability of smart media and its application (14 items) and positive beliefs of smart media (4 items) was administered to each stud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showed that students' smart media literacy varied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grade, class (subject), and socio-economic status. Female students' scores were higher in overall smart media literacy operation and learning ability of smart media than male students. 7th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represented lower smart media literacy scores, compared to 8th and 9th graders. Also, minority student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smart media literacy, operation and learning ability of smart media, and positive belief of smart media than the non-minority students. Second, overall smart media literacy and operation and learning ability of smart media varied among high, medium, and low score achievers in inquiry tasks. Low scored students in inquiry task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overall smart media literacy and operation and learning ability of smart media than medium scored students. Lastly, smart media literacy also varied by students' dropout/completion. Students who dropped out report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in overall smart media literacy, operation and learning ability of smart media, and positive belief of smart media.

수학 교실의 이원론적 신념과 그 극복을 위한 교수방안 고찰 (Dualism in mathematics classroom and some teaching strategies for overcoming students' dualistic beliefs)

  • 이지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261-275
    • /
    • 2016
  • 많은 학생들이 수학에는 하나의 정답이 존재하며, 수학 수업은 교사로부터 문제를 푸는 방법을 전달받는 수동적 과정이라는 이원론적 신념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는 인식론적 신념의 개념화와 발달에 대한 교육심리학의 여러 연구를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학적 사실 및 절차를 절대적이고 확실한 것으로 제시하며 학생의 오류도 절대적인 방식으로 다루는 통상적인 수학 교수 관행의 인식론적 한계를 살펴보고 그에 대한 대안을 탐색하였다. Langer와 Piper(1987)의 실험 및 Oliveira 외(2012) 등의 교실 관찰 연구는 교사가 지식을 불확실성을 허용하는 조건부적 언어로 제시하고 논의하는 것이 학생들의 인식론적 신념을 생산적인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학생의 오류에 대한 교실 의사소통의 초점과 패턴의 변화는 수학 교실을 지배하는 이원론적 신념의 극복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상의 논의는 수학 수업이 암묵적으로 전달하는 인식론적 메시지의 분석 및 학생들의 인식론적 신념 발달을 자극하는 교수 전략을 탐색하는 데 토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Cabri3D의 교육적 활용 (Using the Cabri3D Program for Enhancing Problem Solving Ability)

  • 김남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6권4호
    • /
    • pp.345-36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3차원 공간도형의 학습에 유용한 동적 기하 소프트웨어인 Cabri3D 프로그램을 논의의 대상으로 하여 이를 공학적도구의 교육적 활용이라는 관점에서 수학 문제해결지도에 바람직하게 사용하는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예비수학교사들을 대상으로 학교수학에의 Cabri3D프로그램 활용에 관한 탐구 수업을 진행한 후, 중등수학의 지도에서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해 이 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사례들을 수집하였다. 폴리아가 제시하는 문제해결의 각 단계에 Cabri3D가 보조도구로서 유용한 역할을 할 수 있는 문제 사례와 그 활용방법을 예시하면서 현장의 수학교사들이 공학적 도구를 수학교육에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관점을 갖게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 PDF

공학 사용의 경험에 근거한 수학교사의 신념 연구 : 포커스그룹 인터뷰 (A Study on Mathematics Teachers' Beliefs about Their Use Technology Experiences: Focused Group Interviews)

  • 이은숙;조정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4권2호
    • /
    • pp.99-117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qualitatively conducted for getting the answer of this problem by searching the beliefs of mathematics teachers with experience in technology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s these belief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sist of eight teachers and one university professor having technological experiences from three years to ten years with a higher degree than M.A.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focused group interviews for twice and individual interview as well. Data analysis was completed through several readings of transcripts and then main themes were derived by classifying, comparing, and contrasting coding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eachers with the experiences of technological tools have the concrete belief that technology helps both students and teachers understand mathematical concepts and enhance various representational activities and motivations. The result also identified the impeding factors of three beliefs of mathematics teachers. From these beliefs and factors, this study would suggest how to help teachers hold their beliefs about using technologies to improve their teachings and students' learning.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TIMSS 8학년 수학 기하 영역의 성차 분석 (Gender Differences in Geometry of the TIMSS 8th Grade Mathematics Based on a Cognitive Diagnostic Modeling Approach)

  • 이현숙;고호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2호
    • /
    • pp.387-407
    • /
    • 2014
  • 수학에서의 성차는 교수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에 대한 공평성을 추구하는 맥락에서 연구자들의 지속적인 관심을 받아 왔다. 수학의 여러 영역 중 특히 기하 영역은 전통적으로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높은 성취를 보이는 영역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성차가 완화되거나 점차 사라지고 있다는 경험적 증거들이 종종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3년부터 2011년까지 3개 주기 동안 실시된 TIMSS 8학년 수학과 데이터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중학생들이 기하 영역의 각 하위 인지요소에서 나타내는 성차를 인지진단모형을 활용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인지진단모형 중 교육 전문가에게 유용하고 해석 가능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Fusion 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기하 영역의 세부 인지요소 중 '입체도형의 모양'에 있어서는 2003년과 2007년 각각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높은 숙달 확률을 나타내었으나, 2011년에는 전체 인지요소에서 남녀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성차가 완화되고 있다는 최근 연구들을 지지하는 하나의 경험적 증거를 제공하였다. 이밖에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하여 성차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학생들의 인지요소 숙달 프로파일이 남녀 간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그리고 특정 문항을 푸는데 있어서 반드시 필요하다고 정의된 인지요소들이 성별에 따라 상대적으로 더 혹은 덜 중요하게 기능하는지 등에 대해 고찰하고 이에 근거하여 기하 영역의 교수 학습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PDF

초등학교 6학년 한국어학습자의 수학 학습에 대한 인식의 특성 분석 (An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the perception for mathematics learning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n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 도주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0권4호
    • /
    • pp.529-54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학습자의 수학 학습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수학적 신념을 비한국어학습자에 비추어 그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동일한 수학 교실에서 학습하는 문화적, 언어적 배경이 다른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학 학습에 대한 인식 조사 설문을 통한 분석적 비교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어학습자와 비한국어학습자는 수학 학습에 대해서 서로 다른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으며, 수학에서 성공하는 것의 의미에 대해 다양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비한국어학습자의 수학 학습 능력을 한국어학습자에 비해 높게 평가하고 있었으며, 문제해결 결과가 다른 갈등 상황을 해결하는 방법을 학생 자신 또는 친구가 수학에서 성공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신념을 기반으로 결정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어학습자와 비한국어학습자 사이에 야기되는 학습 격차를 줄일 수 있는 방안 모색을 위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 인식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