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ginning teacher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24초

어린이집의 교사전문성 지원환경이 초임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직무수행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a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at a Day Care Center on the Professionalism of Beginning Teachers: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Their Work Task Motivation)

  • 조아영;김수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113-138
    • /
    • 2019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a teacher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at workplace day care centers on the professionalism of beginning teachers and also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beginning teachers'work task motivation on that relationship.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29 new teachers currently employed at workplace day care centers. The Current Status for Professional Competence was used to measure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The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Inventory assesses the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of day care centers. To measure the work task motivation, the Work Tasks Motivation Scale for Teachers was used. Results: Firstly, positive relationships were identified between a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and their intrinsic motivation and identified motivation. However, there were also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and their introjected motivation and amotivation. Secondly, this study partiall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beginning teachers'work task moti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and teachers' professionalism.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professionalism of beginning teachers was mediated by the teachers'own intrinsic motivations, identified motivations, and amotivation.

학습자 이해에 관한 초임교사의 수학 수업사례 분석 (The Research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Focused on Instructional Consulting for Secondary Beginning Teachers)

  • 최승현;황혜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473-492
    • /
    • 2009
  • 이 연구는 2007년을 시발점으로 내용교수지식(PCK) 및 수업컨설팅 지원에 관하여 3개년에 걸친 중장기 연구로서, KICE-TLC 고유의 PCK 연구 방법과 PCK에 대한 관점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수학 교과의 경우, 일차년도인 2007년도 연구에서는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PCK의 의미를 탐색하여 수학과 PCK 분석틀을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유형의 PCK를 마련하였다. 이차년도인 2008년 연구에서는 중학교 수학 교과의 초임 및 경력교사 각각 3명씩을 대상으로 이들의 수업 사례를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진단 및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초임교사를 위한 수업컨설팅(안)을 '학습자 이해'에 관한 지식 측면에 초점을 두어 제시하였다.

  • PDF

내용교수지식(PCK)에 기초한 수업컨설팅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Focused on Instructional Consulting for Secondary Beginning Teachers)

  • 최승현;황혜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27-45
    • /
    • 2009
  • 이 연구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수학습개발센터(KICE-TLC)에서 2005년 이래로 수행해 온 교사 전문성 신장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계승한 과제 중의 하나이다. 이 연구는 2007년을 시발점으로 내용교수지식(PCK) 및 수업 컨설팅 지원에 관하여 3개년에 걸친 중장기 연구로서, KICE-TLC 고유의 PCK 연구 방법과 PCK 연구 방법과 PCK에 대한 관점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수학 교과의 경우, 일차년도인 2007년도 연구에서는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PCK의 의미를 탐색하여 수학과 PCK 분석들을 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유형의 PCK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차년도에 해당하는 2008년 연구에서는 수학과 PCK에 초점을 맞춘 수입건설팅을 본격적으로 실행하고 초임교사 수업 컨설팅 연수를 실시하였다. 이는 향후 이러한 실행 결과를 토대로 맞춤형 교사 전문성 발달 프로그램을 초임교사를 대상으로 본격적으로 개발하고자 함이다.

  • PDF

내용교수지식(PCK)에 기초한 수업컨설팅에 관한 연구 - 수학 초임교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The Research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Focused on Instructional Consulting for Secondary Beginning Teachers)

  • 최승현;황혜정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1권3호
    • /
    • pp.369-387
    • /
    • 2009
  • 이 연구는 2007년을 시발점으로 내용교수지식(PCK) 및 수업컨설팅 지원에 관하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주관하에 3개년에 걸쳐 시행되고 있는 중장기 연구로서, 이차년도인 2008년 연구에서는 내용교수지식(PCK)에 초점을 맞춘 수업컨설팅을 실행하고, 이러한 실행 결과를 토대로 중등 초임교사 지원을 위한 수업컨설팅 방안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학 교과의 경우, 중학교 수학 교과의 초임교사 3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수업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을 살펴보되, 내용교수지식(PCK)을 구성하는 하위 범주별, 즉 수학과 수업목표, 수학 내용 지식, 수학과 교수 방법 및 평가 지식, 수학 학습에 대한 학습자 이해 지식, 수학과 수업 상황에 대한 지식 등으로 분류하여 논의하였다. 이때, 초임 및 경력 교사의 수업관찰 및 면담 자료, 연구 참여 교사를 포함한 교과 전문가 대상의 수업컨설팅 협의회 등을 통해 초임교사 수업의 문제점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였다.

  • PDF

영아반 초임보육교사의 전문성지원 교사교육프로그램이 전문성 및 자아존중감과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Professionalism Support for Beginning Child Care Teachers in Charge of Toddler Classes on Self-respect, Efficacy in Teaching and Professionalism)

  • 강은영;김진욱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1-74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if a teacher education program that supports professionalism for beginning child care teachers in toddler classes is effective in professionalism, self-respect, and efficacy in teaching.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40 beginning child care teachers in toddler classes teaching in day care centers in Seoul, Incheon, and Gwangmyeong Gyeonggi-do.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20 teachers) and a comparative group (20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pplied to the SPSS 22.0 program. To find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a t-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an intergroup difference, ANCOVA was conducted in the way of setting a pre-test score as a covariate.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howed more positive effects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terms of professionalism, self-respect, and efficacy in teaching.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rogram is expected to be meaningful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lay the foundation for beginning child care teachers in toddler classes to become experts in their field.

어린이집 원장의 초임보육교사 채용에 대한 인식과 선발과정에 관한 연구 (Daycare Center Director's Perception and Selection Process on the Recruitment of Beginning Teacher)

  • 오새니;이상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5-45
    • /
    • 2020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daycare-center director's perceptons of recruitment and to understand how hire beginning teachers. Methods: One hundred twenty-five directors of daycare-center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Province answered a questionnaire that was developed by researchers.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sponse analysis through SPSS 18.0. Furthermore, 17 of the directors that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given individual interviews by qualitative methods for research. Results: First, 56.8% of the directors felt difficulty to employ beginning teachers because of 'lack of information about them' and 'uncertainty of practice capability.' On the other hand, other directors of daycare-centers said that they hire them for 'high acceptance' and 'operational efficiency of the daycare-center.' Second, the main way to recruit teachers for daycare-centers is open recruitment, and through recommendations of acquaintances or through colleges in relevant fields. Professional talent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were important selection criteria for recruitment, and daycare-center directors used interviews, résumés, cover-letters, and demo classes for the hiring process. Primarily, most directors select candidates through résumés and cover-letters, and the final selection is completed by conducting interviews. Conclusion/Implications: In conclusion, this study can be useful to prepare beginning teachers for employment and for educating applicants.

담화양상과 의미형성전략에 관한 초임 교사의 중등 과학수업 사례 탐색 (An Exploratory Analysis of Discourse Types and Meaning-making Strategies Used by a Beginning Teacher in Secondary Science Class)

  • 김혜리;이선경;김찬종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647-655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과학수업에서 나타나는 담화양상과 의미형성 전략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 교사는 서울의 한 중학교에서 과학을 가르치고 있었으며,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연구진은 참여교사의 수업을 관찰하고 비디오 녹화하였고 전사하였다. 자료는 두 단계로 분석되었다. 첫 단계에서는 담화 양상을 범주화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미시적 수준에서 의미형성 전략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초임교사의 '빛의 경로와 성질' 단원의 과학 수업담화에서 나타난 담화양상과 의미형성 전략에 관하여 5개의 에피소드가 제시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론 및 후속연구와 교사전문성 발달에 관한 시사점이 탐색되었다.

멘토링이 초임 중등과학교사의 교수실행에서 나타나는 인식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entoring on Beginning Science Teacher's Perception Change in Their Teaching Performance)

  • 정민경;이순덕;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7권6호
    • /
    • pp.778-788
    • /
    • 2013
  • 이 연구는 초임 중등과학교사를 대상으로 멘토링 과정을 통해 교수실행에서 나타나는 인식 변화와 교수실행의 변화를 통해 멘토링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대학교수 1명, 박사 2명, 박사과정 1명, 석사과정 1명, 4명의 멘티교사와 4명의 멘토교사 등 총 13명이 참여하였다. 2011년 9월부터 2012년 9월까지 1년간 다섯 차례에 걸쳐 멘토링이 진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사전 중간 사후 인터뷰 녹음 전사자료, 멘티 저널, 일대일 멘토링 대화 녹음 전사자료, 교수관찰지(RTOP)를 수집하였다. 멘토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멘티교사의 교수실행에서 인식의 변화가 나타났고, 이러한 인식 변화는 교수실행에 영향을 주었다.

교실 수업에서 초임 과학교사의 교과내용지식이 내용교수지식에 주는 영향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the effects of Subject Matter Knowledge(SMK)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of secondary beginning science teachers in classroom teaching)

  • 곽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11-625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수업에서 드러난 초임교사의 과학내용지식 측면의 특징을 탐구하는 것이다. 수업동영상 분석을 위한 컨설팅 협의회, 초임교사와의 면담 자료 등을 활용하여 초임교사들이 지닌 과학교과에 대한 인식 및 과학내용 지식의 특징을 추출하였다. 분석대상으로 한 수업은 중학교 3학년 일과 에너지 단원의 9차시 수업이며, 6명의 초임교사와 선배교사로 구성된 6명의 컨설팅 협의진이 차시별 수업을 교차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초임과학교사들은 실증주의적 인식론을 지니고 있으며, 교사의 권위는 내용지식을 많이 아는 데서 나온다고 생각하며, 과학 엘리트 의식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과내용지식 측면에서 초임교사의 수업의 특징을 살펴보면, 때로는 교사 자신의 오개념으로 인해 수업 중에 표현 오류가 발견되고, 교사가 내용을 많이 아는 것이 오히려 독이 되는 경우가 발견되고, 생각나는 것을 모두 언급하는 산발적 내용 전개가 발견되며, 초임이나 비전공자가 진행할 경우 수업시간이 남아도는 등의 특징을 나타내었다. 아울러 초임교사의 과학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경력교사들이 제안하는 대안을 탐색하였다. 결론에서는 과학교사의 교과내용지식(SMK)은 과학 교수활동에 영향을 주지만, 다른 교사지식에 의해 매개되므로, 초임 과학교사들의 과학내용지식(SMK)을 과학 내용교수지식(PCK)으로 전환할 수 있는 지원 방안을 제안하였다.

수업에 대한 멘토링이 초임화학교사의 교수실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entoring on Beginning Chemistry Teacher's Teaching Practice)

  • 박현주;성숙경;정대홍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8호
    • /
    • pp.1055-1076
    • /
    • 2011
  • 이 연구는 같은 내용이 반복되는 수업에서 이루어진 멘토링에 의한 초임화학교사의 교수실행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첫째 주에는 멘토링 없이 수업녹화만 하였고, 둘째 주에는 수업촬영 후, 멘토 교사들과 수업에 관한 멘토링을 진행하였다. 연구에는 경력 1년 미만의 초임화학교사 2명이 참여하였으며 멘토링 과정에는 3명의 화학교사가 참여하였다. 자료로는 수업 녹화본, 면담 자료, 멘토링 내용 등을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멘토링을 진행하지 않았을 때에는 교수 내용과 진행, 설명 방식에서 약간의 변화가 나타났으나 멘토링에 의해서는 교실 환경, 교수 내용 및 진행, 교수학습 방법 및 전략과 설명 방식, 질문기법과 피드백 제공 등에서의 많은 변화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수업 전개 방식이나 학생 이해, 상호작용 등은 쉽게 변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초임 교사의 교수실행에 대한 경험적인 사례 연구로서, 수업에 대한 멘토링을 통하여 초임화학 교사의 수업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초임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멘토링 제도의 필요성을 시사한 다. 특히, 초임 교사의 개별적인 필요를 반영한 개별 맞춤형 멘토링 프로그램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