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auty-related contents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36초

중국, 태국, 인도네시아의 소셜미디어 뷰티 콘텐츠 분석 (An Analysis of Beauty-Related Contents in Social Media in China, Thailand, and Indonesia)

  • 허유선;전재훈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07-322
    • /
    • 2021
  •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social media on the beauty industry and analyzed beauty-related content on social media in China, Thailand, and Indonesia. The existing literature was reviewed and four social media platforms that display the active sharing of beauty-related content in the three stated countries were selected. Five information sources were then chosen from each social media platform and 115 top posts from these sources analyzed. Beauty-related material was shared on discrete social media platforms in the three countries.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presentation types, themes, and message strategies of the content depending on the type of product and services provided by each social media platform. The content on Xiao Hongshu in China consisted of images showcasing product specifications along with a focus on honest and detailed empirical product review messages from its general users. From Taobao Zibo, Wang Hong conveyed powerful and influential information that communicated instantly with viewers and delivered entertaining and sensory messages. In Thailand earnest reviews of beauty products were offered, along with firsthand testimonials through traditional content uploaded on YouTube. In Indonesia, beauty influencers posted creative and sensational photographs of makeup products on image-centered Instagram. This study expands the current scholarship on social media platforms and extends the scope of the extant research on beauty-related content in Asian countries.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include useful indications on how beauty brands can use social media to promote their products.

미용학(美容學) 관점의 시누아즈리(chinoiserie) 서양화 속 여성 헤어디자인에 대한 요인분석 (In the Western painting of Chinoiserie from the perspective of cosmetology Factor analysis for female hair design)

  • 고희자;박장순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139-144
    • /
    • 2021
  • 아름다움을 추구하려는 인간의 행위는 가장 자연스러운 욕구이자 본능이기 때문에 외모의 중요성과 함께 인간의 외모 관리에 대한 미용학적 관심이 날로 증대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합하는 새로운 미용 트렌드(beauty trend)의 요구가 현시점에서 매우 필요하다. 이에 미용학(美容學)과 연관이 깊은 미술(美術)에서 근원을 도출하고자 18세기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에서 유행한 '시누아즈리' 풍의 서양화 속에 등장하는 여성 헤어디자인의 형태(形態), 질감(質感), 색상(色相) 등에 대하여 그림을 통해 면밀한 연구 및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네 개의 서양화 속 등장하는 여성의 헤어디자인에는 각각의 개성 있는 형태, 질감, 색상의 특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촌각(寸刻)을 다투면서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를 사는 현대인에게 뉴 모드(new mode)의 헤어스타일 개발의 초석(楚石) 구축과 함께 다양한 미용 콘텐츠(contents) 개발을 위한 시금석(試金石)으로 작용하고자 한다.

메타버스를 이용한 뷰티 브랜드 경험 사례에 대한 고찰 (A Study of the Beauty Brand Experience Case Using Metaverse)

  • 김나영;김규리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1호
    • /
    • pp.185-190
    • /
    • 2022
  • COVID-19 이후 산업 전반에 디지털 전환이 이루어지고 언택트 서비스로 메타버스가 주목받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국내·외 뷰티 브랜드를 대상으로 메타버스를 이용한 브랜드 경험 마케팅 사례에 대해 알아보고, 그 필요성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 마케팅, 뷰티 브랜드 마케팅 관련 선행 연구 고찰을 진행하였으며 연구결과, SK-II와 크리스찬 디올은 VR기술을 이용하여 이용자들에게 브랜드 제품과 관련된 콘텐츠와 경험을 제공하고, 로레알, 세포라, 라네즈는 AR기술을 사용하여 가상 메이크업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등 오감을 자극할 수 있는 체험 마케팅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체험마케팅은 고객의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소비트렌드에서 중요한 Z세대를 겨냥하기 위해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가 뷰티 브랜드의 메타버스 및 체험 마케팅에 있어 관련 자료로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뷰티 분야에서도 메타버스 마케팅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패션 뷰티 콘텐츠의 동영상 플랫폼 활용 특성에 대한 연구 - 유튜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Video Platforms Usage of Beauty Content with YouTube at the Center)

  • 위서현;정재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127-137
    • /
    • 2021
  • 다양한 주제와 형식을 활용한 유튜브 뷰티 콘텐츠 채널이 양적, 질적 확장을 진행 중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Statista를 통해 국내 및 해외 주요 뷰티 브랜드 및 패션지와 뷰티 인플루언서들을 대표하는 상위 5위의 채널을 선정하여 이들을 중심으로 사례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패션 뷰티 콘텐츠 생산자에 따른 동영상 플랫폼 활용 특성과 콘텐츠 성격 비교 및 매력적인 콘텐츠가 어떤 유형과 특성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밝힘으로써 증가하는 뷰티 관련 콘텐츠를 위한 전략으로 연결시키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영상 중심의 유튜브 플랫폼의 성장은 제품 정보의 원천을 다양화시킴으로서 기존 광고의 수동적 소비자들을 생산자 혹은 새로운 전달자의 역할로 변화시킴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생산자에 따라 다른 성격의 콘텐츠가 소비됨에 따라 객관적인 저널리즘적인 시선보다는 생산자 중심의 콘텐츠가 제작되어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차별화되는 뷰티 콘텐츠를 위해서는 밀레니얼 세대에 효과적인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요소와 더불어 소비자와 브랜드와의 관계 및 연결을 강화시킬 수 있는 '브랜드 가치'의 전달이 필수적임을 알 수 있었다.

미용업종사자의 미용기기 사용에 대한 분쟁해결과 정책적 과제 (Conflict resolution and political tasks on the usage of beauty care devices by beauty artists)

  • 김주리
    • 한국중재학회지:중재연구
    • /
    • 제27권2호
    • /
    • pp.83-105
    • /
    • 2017
  • In contemporary society interest in and consumption of beauty treatment are increasing, raising interest in health and beauty. However, beauty-related laws are becoming factors of hindrance of beauty development. Currently the Public Health Control Act plays a basic role in the beauty art business in Korea, However the contents are in discord with international laws and its definition is not clear. Therefore it is causing conflicts of different occupations and job associations which are similar to art business. Especially, because neither definitions nor policies on beauty care devices exist in the Public Health Control Act, beauty care devices using in foreign countries cannot be used in Korea due to classification as medical devices. Under this circumstance, therefore, beauty care device uses by beauty artists violate the law. The government has tried to solve these irrational regulations. Recently,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announced 'the improvement plan of small business and young founders site regulation for public economy recovery' in a ministerial meeting on December 28, 2016. Regulations on policy preparation for skincare devices were inclusive in this announcement. It is the question whether the regulations will be executed or not. Even though beauty industrial competitiveness was presented in the 18th Presidential Council on National Competitiveness in 2009, it was not practiced. The proposal bills for beauty law improvement have been put forth several times since 2000 including an improvement plan for regulating beauty care devices. However, so far there have been no improvements. The damage on the regulation classifying beauty devices as medical devices is not only restricted to skincare. This develops beauty devices and the beauty industry which imports and exports beauty devices. When beauty devices are exported, complicated procedures are unavoidable and when beauty devices are imported, irrational problems like reregistration procedures and costs occur. The reason why an improvement plan has not gone into practice is the resistance of the dermatologists' association. Dermatologists tend to stand positively against harming public health by saying that beauty devices used by beauty artists cause people to suffer side effects. In contrast, anyone who has a licence to use beauty devices is able to use them in foreign countries. It is not only infringement of one's right as a beauty artist but also people's right to receive beauty care services. With this reason, Korean's current law under which beauty devices are ruled as medical devices should be revised with accordance to domestic surroundings. Therefore in order to advance and globalize the beauty industry, the support and cooperation of the Korean government and relevant associations is needed to legislate and revise the beauty devices laws. The relevant associations abandon regional self-centeredness and cooperate to define ranges, size and management of beauty devices for safe use. If no collaboration exists, an arbitration agency should be established to solve the problem.

IPA를 이용한 미용 기능경기대회 품질의 중요도와 만족도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Beauty Contest Quality using IPA)

  • 박하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09-315
    • /
    • 2022
  • 본 연구는 미용 기능경기대회의 활성화를 위해 국내에서 개최되는 미용 기능경기대회의 품질요인을 도출하고,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를 적용하여 중요도와 만족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해 미용 기능경기대회 참여경험이 있는 참가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대응표본 t-test와 PIA 매트릭스를 사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요도와 만족도에서 중요도의 평균이 높게 나타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IPA 매트릭스의 일 사분면에는 대회 과제와 관련된 내용이 주로 나타났다. 이는 대회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 요소로 분석되었다. 셋째, 이 사분면은 대회심사와 관련된 요인이 분포되었다. 이에 심사의 전문성과 투명성을 높이는 방안이 요구된다. 넷째, 삼 사분면은, 대회운영 내용이 주로 나타났으며, 만족도가 낮은 요소이지만 보완하면 개선 효과가 있을 것이다. 다섯째, 사 사분면은, 능력향상 항목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대회 경험이 개인의 실력향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를 통해 미용대회의 활성화 전략을 위한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데 의의를 둔다.

에밀놀데의 종교화에 구현된 기독교 사상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Christian religion that is embodied to Emil Nolde's holy picture)

  • 이일청
    • 한국패션뷰티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78-87
    • /
    • 2005
  • The Purposes of this article are to find Christian religion and Germany expressionism which were background of Nolde's art and analyze formation and special quality, expression mode of holy picture. If synthesize contents of these analysis, we could know that faith is giving religious inspiration continuously during his lift to Protestant experience through the Bible. Though there is some difference by time but we could foretell that he accomplished modern holy picture of new sensitivity by doing individual expression with equal Bible subject traditionally in 20th century that change unlike existent holy picture with these motive power. That is, with new trend which religious inspiration as imagination which spring up in experience that is not experience of artificial Christian religion is then expressionism various that historically, he accomplished unique holy picture to related each other with the historic event.

  • PDF

Z세대의 특성을 고려한 대학의 미용교육 (Beauty Education of Universit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 Z)

  • 오서현;나건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153-159
    • /
    • 2019
  • 관련 산업의 발전으로 미용 전문 인력 양성 수요가 점차 커지고 있다. 미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는 시점에서, 기능위주의 미용 교육에 대해 검토할 필요가 있다. 1995년 이후 태어난 Z세대는 '디지털 원주민(Digital Native)'의 특성을 지녔으며, 향후 소비의 주된 주체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학령인구가 감소하는 시대에 디지털 세대인 Z세대의 특성을 고려한 대학 미용 교육의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와 문헌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Z세대가 바라보는 미용은 자아실현을 위한 즐거운 도구라고 할 수 있다. 둘째, 대학 미용 교육은 전문적인 기술 습득은 물론이고 심리학, 철학, 미학 등과 결합된 창의적인 교과과정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셋째, 모바일 동영상 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자 중심의 주도적 미용 교육방법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Z세대에 대한 특성을 고려한 미용교육에 대한 논의는 아직 초기 단계이므로, 향후 보다 구체적인 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네일 유튜브 콘텐츠 분석 - 조회 수 상위권(1~10위) 영상물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Nail-related YouTube Content -Focusing on Most-Viewed Videos -)

  • 김수지;김은실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79-288
    • /
    • 2024
  • Fingernail-related content on YouTube is gaining popularity. This study aimed to present a new direction for nail content marketing and video production by identifying the current status of nail-related content on YouTube and factors affecting views.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study used the YouTube website, and the elements under analysis were classified into YouTuber characteristics (verbal characteristics, age group, gender, professional status, and celebrity status) and content characteristics (nail field, editing elements, and content). The results showed that standard language and terminology were generally used, and the proportion of YouTubers in their 30s was high. All nail-related content creators on YouTube were women, and they were found to be experts who worked as nail artists and nail content creators. As for the content characteristics, the proportion of art videos was high, and the video length was found mostly to be between 10 and 20 minutes. The editing elements included images, videos, and subtitles, and sound effects and background music were used frequently.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proportion of videos providing nail tips and know-how, product information, and procedures was high. This study identified factors that influence the number of views for nail videos. As a result, the study was able to present video production ideas for newcomers starting a nail-content YouTube channel, and this will be helpful in the development of nail content.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헤어 미용 교과서 분석 (A Study on the Hair Beauty Textbook Based on the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 심상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200-22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기준으로 고등학교 헤어 미용 교과서의 수록 범위와 내용을 분석하였다. NCS 기준에 의하면, 헤어 미용의 모든 직무능력 수준은 1~5수준에 속하며, 고등학교 과정 동안 헤어 미용 분야 40개 능력단위 중에서 습득 가능한 능력단위는 30개 항목이다. 고등학교 헤어 미용 교과서는 NCS 직무능력 중 75%에 해당하는 19개 능력단위를 중심으로 발간되었으며, 서술된 교과서 내용은 요구되는 직무 능력의 약 85% 정도를 포함하고 있다. 분석내용을 바탕으로 교과서의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수준에서 습득 가능한 NCS 능력단위 11개에 관한 교과서가 발간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추가되는 내용을 학습할 수 있는 전문교과 수업 과정이 동시에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헤어 미용 분야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의 정립이 필요하다. 셋째, 교과서에 실린 사진 자료와 삽화 자료의 질적 개선작업이 필요하다. 넷째, 교과서의 오타 수정과 함께 사진 및 삽화 자료의 일관된 편집 형식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고등학교 졸업생들이 취업과 동시에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제작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