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sidiomycota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8초

Report of two unrecorded yeast species in the class Tremellomycetes

  • Seonjae Kim;Sathiyaraj Srinivasan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3권2호
    • /
    • pp.136-141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solate and identify wild yeasts from the soil samples collected in Daegu and Daejeon City, Republic of Korea. Among 15 strains isolated in this study, 13 strains were previously reported and two strains had not been reported in Republic of Korea. To identify wild yeast strains, pairwise sequence comparisons of D1/D2 region of the 26S rRNA gene sequence were done using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 (BLAST). The cell morphologies were observed by phase contrast microscope and assimilation tests were done using API 20C AUX kit. All strains were assigned to the phylum Basidiomycota. The two unrecorded yeast strains, PG2-2-10C and DJ2-14-10C, belong to the genus Holtermanniella (family Holtermanniaceae, order Holtermanniales, class Tremellomycetes) and Goffeauzyma (family Filobasidiaceae, order Filobasidiales, class Tremellomycetes), respectively. The two unrecorded yeast strains had oval shape and polar budding cells. This research describers the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properties of the two unreported yeast species that had not officially reported in Korea.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wo unrecorded yeast species in the order Filobasidiales

  • Inyoung Choi;Sathiyaraj Srinivasan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100-104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solate and identify wild yeasts from soil samples collected in Daegu and Cheongju city, Republic of Korea. To identify the wild yeast strains, pairwise sequence comparisons of D1/D2 region of the 26S rRNA gene sequence were done using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 (BLAST). The cell morphologies were observed by phase contrast microscope and assimilation test are done using API 20C AUX kit. All strains were assigned to the phylum Basidiomycota. Among 13 strains, 11 strains were previously reported, but two strains were unreported from the Republic of Korea. The two unrecorded yeast strains, GW1-3 and PG1-1-10C, belong to the genus Solicoccozyma (family Piskurozymaceae, order Filobasidiales, class Tremellomycetes). The two strains had oval-shaped and polar budding cells. This research showed the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properties of the two unreported yeast species that had not officially reported in Korea.

월출산 국립공원의 고등균류 분포 (Distribution of Higher Fungi in Wolchulsan National Park)

  • 장석기
    • 한국균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9-20
    • /
    • 2014
  • 2009년 4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월출산국립공원 고등균류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기간 동안 고등균류는 총 1계 2문 5강 18목 56과 133속 298종이었으며, 담자균문은 12목 47과 120속 278종이, 자낭균문은 6목 9과 13속 20종이 조사되었다. 대부분의 고등균류는 담자균문중 담자균강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름버섯목이 20과 54속 134종이, 그물버섯목은 7과 20속 43종, 무당버섯목 3과 5속 44종 및 구멍장이버섯목 5과 21속 30종으로 4목의 종수가 총 251종으로 전체 발생 종수의 84. 2%로 대부분을 차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장 많이 발생된 균류는 무당버섯과로 37종이었으며, 그물버섯과(33종), 광대버섯과(29종), 주름버섯과(21종) 및 구멍장이버섯과(20종) 순으로 나타났다. 월별 분포에서는 7월(46과 94속 196종)이 가장 많았고 8월(43과 92속 171종), 9월(38과 74속 120종)의 순이었다. 고도별에서는 100~199 m(54과 127속 267종)에서 가장 많았고 200~299 m(42과 85속 160종), 300~399 m(18과 31속 46종) 순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고등균류는 평균온도 $26.0{\sim}27.9^{\circ}C$, 최고온도 $32.0{\sim}34.9^{\circ}C$, 최저온도 $24.0{\sim}25.9^{\circ}C$ 및 강수량은 100 mm 이상인 시기에 다양한 종들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담자균류를 이용한 폐기물연용 밭토양의 건전성 간이평가 (Soil healthy assesment of organic wastes-treated lysimeter by Basidiomycota)

  • 장갑열;원항연;최선규;권순익;김규현;공원식;유영복;성재모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3-49
    • /
    • 2007
  •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평가대상 토양을 증류수로 20배 희석하여 200rpm 으로 30분간 진탕한 후 PDA (감자추출배지)와 혼합하여 $121^{\circ}C$에서 20분간 살균한 후 Coriolus hirsutus (MKACC 50560) 균을 접종한다. 접종완료 후 $25^{\circ}C$에서 5일간 배양한 후 균사 생장을 측정하여 담자균의 균사 생장률 (목적토양에서의 균사생장/PDA 에서의 균사생장${\times}100$)을 계산한다. 이 기준에 따라 균사생장률이 60%이상이 되면 대상 토양은 작물 생육에 적합한 토양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토양의 건전성 평가를 위한 신속한 간이검사를 통하여 소량의 시료를 가지고 단기간 내 대량 분석을 가능하게 하여 토양 건정성 평가의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석회유황합제가 배나무 낙엽의 진균 다양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me Sulfur on Changes of Fungal Diversity in Pear Fallen Leaves)

  • 민광현;송장훈;조백호;양광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81-285
    • /
    • 2015
  • 석회유황합제의 배나무 동계방제 수단으로써 효과를 과학적으로 증명하기 위해 배 과수원에서 1차 전염원의 역할을 하는 낙엽에 석회유황합제를 처리한 후 낙엽에 존재하는 진균의 다양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물이 처리된 대조구와 석회유황합제 처리구의 낙엽에서 진균 genomic DNA를 추출한 다음 rDNA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영역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진균들을 동정한 결과, 대조구와 석회유황합제 처리구에서 자낭균문(Ascomycota)과 담자균문(Basidiomycota)에 속하는 다양한 종류의 진균들이 동정되었으나 동정되는 진균의 수와 비율은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배 과피얼룩병을 일으키는 Alternaria속과 Cladosporium속의 진균은 대조구에 비해 석회유황합제 처리구에서 동정되는 비율이 대폭 감소되었으며, Phomopsis속의 진균은 대조구에서는 동정되었으나 석회유황합제 처리구에서는 동정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석회유황합제 처리가 배 낙엽에 존재하는 진균 다양성의 변화에 영향을 미쳤으며 동계방제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중금속 오염지 및 건전지역에서 수집된 담자균류의 분포 (Population and transfer factor of basidiomycota collected in the heavy metal-contaminated and healthy soils)

  • 장갑열;최선규;이강효;석순자;정종천;정구복;김규현;성재모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145-153
    • /
    • 2005
  • 미생물을 이용한 중금속 오염지의 생물적 개량연구를 위하여 구리, 납 등 중금속 오염지인 은성 폐광과 도곡 폐광지역에서 야생버섯을 수집 동정하고 중금속 함량을 분석한 결과 Laccaria laccata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토양 내 중금속함량이 높을수록 버섯 내 중금속 농도도 높았다. 그러나, 전이계수를 이용하여 버섯 자실체의 중금속 이행률을 알아본 결과, Amanita volvata가 카드뮴과 비소의 이행률이 가장 높았으며, 구리의 이행률은 Agaricus praesquamosus가 다른 버섯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납은 Mycena pura, 아연은 Marasmius pulcherripes, 니켈은 Laccaria laccata, 크롬은 Collybia confluens로 나타났다. 중금속 오염지와 비오염지인 치악산 지역에서의 담자균의 발생 분포를 비교한 결과, Russula와 Collybia 속은 비오염지와 오염지역 모두에서 발생되었으며 Leucocoprinus, Coprinus, Suillus, Lepiost, Gyroporus. Lepista, Microstoma, Stropharia, Agrocybe 속은 오염지에서만 발생되었다. 이상의 결과, Laccaria laccata 등 일부 담자균은 중금속 오염지 저감에 이용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를 위한 많은 연구가 기대된다.

  • PDF

우리나라 비슬산군립공원 진달래나무(Rhododendron mucronulatum)와 관련된 토양 진균 군집의 pyrosequencing 분석 (Analysis of Soil Fungal Community Related to Rhododendron mucronulatum in Biseul Mountain County Park, South Korea)

  • 정민지;김동현;최두호;이인선;김종국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77-384
    • /
    • 2021
  • 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는 우리나라에서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 개화식물로 꽃이 아름다워 관상목으로 이용되고 있고 생태학적, 약리적으로 잠재력이 있는 중요한 산림자원이다. 우리나라의 대표적 진달래나무군락지인 비슬산군립공원에서 진달래나무 아래의 토양을 채집하여 그 진균 군집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위치와 계절에 따른 진균 군집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토양 샘플은 총 3개의 위치에서 2월과 8월에 각각 한번씩 채집하였다. Pyrosequencing을 통해 총 454,157개의 서열을 얻을 수 있었다. 첫번째 채집포인트에서 얻은 샘플의 진균 군집이 6개 샘플 중 가장 종 풍부도가 높았고 가장 다양한 진균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분류 단위 별 분석으로는, Basidiomycota, Ascomycota, Mortierellomycota가 대표적인 문(phylum)으로 나타났으며, Agaricales_f, Mortierellaceae, Clavariaceae가 주요한 과(family)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Mortierella 속(genus)은 모든 샘플중에서 가장 우점한 속이었다. 또한 총 진달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19개의 속이 확인되었다. 8월에 채집한 샘플에서 위치에 따라 각각 109개, 111개, 112개의 특이적인 속이 발견되었고, 2월의 샘플과 비교했을 때 2월의 샘플에는 존재하지 않는 28개의 공통된 속이 발견되었다. 이 연구는 추후 진달래나무에 특이적인 진균의 새로운 종을 규명하거나 토양 진균류와 식물의 상호작용을 규명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A Checklist of Mushrooms of Cambodia

  • Kim, Nam Kyu;Lee, Jin Heung;Jo, Jong Won;Lee, Jong Kyu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3권1호
    • /
    • pp.49-65
    • /
    • 2017
  • Overall, 3,950 mushroom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the Central Cardamom Protected Forest (CCPF) in Koh Kong province, the Kirirom National Park (KNP) in Kampong Speu province, the Seima Biodiversity Conservation Area (SBCA) in Kratie province, the Mondulkiri Protected Forest (MPF) in Mondulkiri province, the Phnom Bokor National Park (PBNP) in Kampot province, the Western Siem Pang Protected Forest (SPPF) in Stung Treng province, the Ream National Park (RNP) in Sihanoukville province of Cambodia from 2009 to 2014, and then they were identified and classified into 302 species, 165 genera, and 64 families by morphological and genetical characteristics. The mushrooms belongs to Ascomycota were classified into 26 species, 14 genera, and 10 families, while those belongs to Basidiomycota were classified into 276 species, 151 genera, and 54 families, respectively. Among these mushrooms, the most species-rich families are Polyporaceae (26.2%), Marasmiaceae (9.1%), Ganodermataceae (7.7%), Hymenochaetaceae (7.5%), and Mycenaceae (7.1%), and comprised 57.5% of the total specimens identified.

Culture Conditions Affecting the Optimal Mycelial Growth of Cystoderma amianthinum

  • Shim, Sung-Mi;Oh, Yun-Hee;Lee, Kyung-Rim;Kim, Seong-Hwan;Im, Kyung-Hoan;Kim, Jung-Wan;Lee, U-Youn;Shim, Jae-Ouk;Shim, Mi-Ja;Lee, Min-Woong;Ro, Hyeon-Su;Lee, Hyun-Sook;Lee, Tae-Soo
    • Mycobiology
    • /
    • 제33권1호
    • /
    • pp.65-67
    • /
    • 2005
  • Cystoderma amianthinum, one of edible fungi belongs to Agaricaceae of Basidiomycota, has a good taste and flavo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s for the optimum mycelial growth of C. amianthinum. The optimal conditions for the mycelial growth were $25^{\circ}C$ and pH 5 in potato dextrose agar (PDA). C. amianthinum showed the favorable growth in the PDA and yeast malt extract agar (YMA). The favorable carbon and nitrogen sources promoting mycelial growth were fructose and histidine, respectively. The optimum C/N ratio was about 30 : 1 in case that 1 % glucose was supplemented to the basal medium as a carbon source.

Note of Five Unrecorded Mushrooms Including Three Rare Species on Mount Juwang in Korea

  • Kwon, Sun Lul;Jang, Seokyoon;Kim, Changmu;Lim, Young Woon;Kim, Jae-Jin
    • Mycobiology
    • /
    • 제48권3호
    • /
    • pp.157-168
    • /
    • 2020
  • The Mount Juwang was designated as a national park in 1976 because of its unique bedrock geology. Although Juwang National Park has maintained its natural ecosystem well, few macrofungal surveys have been carried out. As a part of a project suppor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NIBR) for the discovery of indigenous fungal species, we surveyed the mushrooms in Juwang National Park from 2018 to 2019. The macrofungi were identified based on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nalyses. Among these fungi, five specimens were identified as species previously unrecorded in Korea: Calocybe decolorata, Crepidotus brunnescens, Mycena pearsoniana, Psathyrella phegophila, and P. sulcatotuberculosa. Three of these species are known to be rare in the world: Crepidotus brunnescens, P. phegophila, and P. sulcatotuberculosa. In this study, we provide detailed morphological descriptions of the five unrecorded species from Mt. Juwang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