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rely

검색결과 475건 처리시간 0.037초

농업부산물 사료화 이용 연구 (Studies on Feed Resources of Non-Conventional Agriculture Roughage)

  • 김원호;서성;신동은;박근제;최기준;김기용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69-174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eed resources and collection system of nonconventional agricultural roughages, and reduction of environment pollution by turning non-conventional agricultural roughages to feed resources and diversification of feed supply. And a series of experiment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moisture control material on quality of sweet potato stalk, peanut stalk, barley straw,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at Grassland and Forage Crops Division,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Suwon in 1999 and 2000.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se experim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Acid detergent fiber(ADF), neutral detergent fiber(NDF)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TDN) of sweet potato were 38.8, 50.7 and 58.2% in the control silage, but that of rice straw added silage for moisture control were decreased to 41.5, 50.8 and 56.1%. ADF, NDF, CP(crude protein) and TDN of peanut stalk were 42.2, 49.6, 10.5 and 55.6% on the rice straw added silage for moisture control, and there were not affected by barely straw added silage for moisture control. And ADF, NDF and TDN content of barely straw increased 42.8, 65.8 and 55.1% on the water+inoculants treated sil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non-conventional agricultural roughages to feed resources should be make for silage at silo after dry matter percentage(ab0ut 35%) control. Also, rice straw added silage for moisture control will improve the silage fermentation and conservation. (Key words : Feed resources, Non-conventional agriculture, Fermentation, Inoculant, Rice straw)

  • PDF

제주 토양환경을 알면 제주의 사회.문화를 안다 (Soil Environment, a Key to Open up Jeju Society and Culture)

  • 현해남
    • 한국환경농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농학회 2011년도 30주년 정기총회 및 국제심포지엄
    • /
    • pp.3-20
    • /
    • 2011
  • 토양은 직 간접적으로 인간의 삶과 질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일반적으로 비옥한 토양을 가진 지역은 척박한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풍요한 삶을 누리게 되며 풍습, 관습, 문화 등이 달라진다. 제주지역은 육지부와 기후가 다르지만 토양은 더욱 다르다. 특히 좁은 제주도 내에서도 지역마다 자연비옥도와 토지생산성이 달라서 화학비료가 없었던 과거에는 토양의 성질이 마을의 형성, 풍습, 제사습관 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제주해역은 대만에서부터 폭 60km의 구로시오(黑潮) 해류가 3노트의 속도로 흐르다가 나뉘어 지는 기점이다. 이 해류는 옛사람들이 육지에서 제주로 해류를 거슬러 오는 것을 매우 힘들게 하였으며, 제주만의 독자적인 문화와 풍습을 낳게 하는 원인이 되었다. 제주에서 고고학, 민속학을 연구하는 인문 사회학자들이 갖고 있는 의문은 동서 73km, 남부 31km, 면적 $1,825\;km^2$의 작은 섬에서 고인돌과 유적이 발견되는 지역이 한정되어 있고, 지역마다 풍습과 민요가 다르다는 것이다. 심지어 1 km 이내의 짧은 거리의 마을도 다른 것이 매우 많다. 필자는 우연히 '90년대 말 인문 사회학자와 유적, 풍습 등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제주를 설명하는 데 토양학적인 접근이 인문 사회분야의 여러 가지 의문점을 풀어내는데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 내용의 일부를 강의에 이용하였으며, 원고 작성방식도 인문학 방식을 많이 따랐다.

  • PDF

Enhancement of Health Functional Compounds in the Sprouts of Barley (Hordeum vulgare L.) Cultivars by UV-B and Salicylic Acid Treatments

  • Kim, Yong-Hyun;Kim, Seong-Min;Cheng, Hyo-Cheng;Lee, Young-Woo;Shim, Ie-Sung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1호
    • /
    • pp.61-67
    • /
    • 2011
  • Barley (Hordeum vulgare L.) sprouts are a vegetable commonly used as a functional food material due to its high vitamin C concentr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In this experiment, we measured the changes i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everal barley cultivars as well as in the concentrations of related compounds such as ascorbate and glutathione upon treatment with UV-B or salicylic acid (SA). The six barely cultivars were grown in a plant growth chamber (25/$18^{\circ}C$, 14/10 h, 200 ${\mu}mol{\cdot}m^{-1}{\cdot}s^{-1}$, 70% relative humidity) for 10 days. All barely cultivars showed different 1, 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scavenging activities, which were increased by UV-B treatment and not by SA treatment. The changes in ascorbate concentrations were correlated with DPPH scavenging activity in both the treatments, suggesting that the antioxidant activity in barley sprouts was mainly dependent on ascorbate concentration. Furthermore, changes in ascorbate concentration showed similar tendencies to changes in free sugar concentration, especially glucose and sucrose, in both treatments. On the other hand, the concentrations of glutathione and cysteine highly increased by SA treatment, representing different tendencies compared to the DPPH scavenging activity and ascorbate concentration. 'Donghanchal' cultivar showed comparatively higher antioxidant activity, both constitutively and inducingly by UV-B treatment, with its higher concentrations of ascorbate and glutathio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barley sprouts could be used as a health-functional vegetable, contributing to the overall supply of antioxidant and sulfur-containing organic compounds.

Anti-melanogenic effects of Hordeum vulgare L. barely sprout extract in murine B16F10 melanoma cells

  • Choi, Jeong-Hwa;Jung, Jong-Gi;Kim, Jung-Eun;Bang, Mi-Ae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2권2호
    • /
    • pp.168-175
    • /
    • 2019
  • Purpose: Barely sprout is a well-known oriental herbal medicine with a wide range of health benefits. Recent studies have provided scientific evidence of its therapeutic effects with expanded appli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anti-melanogenic effect of barley sprout water extract (BSE) in murine melanocyte B16F10. Methods: Various concentrations (0, 50, 125, and $250{\mu}g/mL$) of BSE and arbutin (150 ppm) were applied to B16F10 stimulated with or without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100 nM) for 72 hours. The whitening potency of BSE was determined altered cellular melanin contents. Activity and expression of tyrosinase and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were also assayed. Results: Experimental results revealed that treatment with BSE reduced cellular melanin production by approximately 40% compared to the control. Molecular findings supported that suppressed activity and expression of tyrosinase and MITF proteins by BSE were associated with declined cellular melanogenesis. Furthermore, anti-melanogenic effect of BSE ($250{\mu}g/mL$) was similar to that of arbutin, a commonly used whitening agent. Lastly, polyphenols including p-coumaric, ferulic, and vanillic acids were identified in BSE using HPLC analyses. They might be potential active ingredients showing such melanogenesis-reducing effect. Conclusion: BSE was evident to possess favorable anti-melanogenic potency in an in vitro model. As a natural food sourced material, BSE could be an effective depigmentation agent with potential application in pharmaceutical and cosmetic industries.

원공이 있는 복합재 적층판의 압축강도 예측 (Compressive Strength Prediction of Composite Laminates Containing Circular Holes)

  • 김성준;박세훈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9권7호
    • /
    • pp.549-555
    • /
    • 2021
  • 원공이 있는 복합재 적층판의 강도는 복합재 항공기기 설계 시 충격하중이 가해지는 부위의 설계 허용치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BVID (Barely Visible Impact Damage)에 의한 강도저하는 24.0 mm 폭의 시편에 6.0 mm 지름의 원공이 있는 시편의 강도로 가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원공이 있는 복합재 적층판의 강도에 적층각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잔류강도 시험을 수행하였다. 원공이 있는 적층판의 강도를 예측하기 위해 특성길이를 이용한 점응력 파손기준을 사용하였고, 이론해를 검증하기 위하여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로부터 특성길이는 0°, ±45°와 90°층의 비율과 관련이 있음을 보였다. 또한 회귀분석을 통하여 임의의 적층 패턴에 대한 특성길이와 원공이 없는 시편의 강도를 결정하였다.

Effects of surrounding and underlying shades on the color adjustment potential of a single-shade composite used in a thin layer

  • Mariana Silva Barros;Paula Fernanda Damasceno Silva;Marcia Luciana Carregosa Santana;Rafaella Mariana Fontes Braganca;Andre Luis Faria-e-Silva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8권1호
    • /
    • pp.7.1-7.10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surrounding and underlying shades' effect on the color adjustment potential (CAP) of a single-shade composite used in a thin layer. Materials and Methods: Cylinder specimens (1.0 mm thick) were built with the Vittra APS Unique composite, surrounded (dual specimens) or not (simple specimens) by a control composite (shade A1, A2, or A3). Simple specimens were also built only with the control composites. Each specimen's color was measured against white and black backgrounds or the simple control specimens with a spectrophotometer (CIELAB system). The whiteness index for dentistry (WID) and translucency parameters (TP00) were calculated for simple specimens. Differences (ΔE00) in color between the simple/dual specimens and the controls were calculated. The CAP was calculated based on the ratios between data from simple and dual specimens. Results: The Vittra APS Unique composite showed higher WID and TP00 values than the controls. The highest values of ΔE00 were observed among simple specimens. The color measurements of Vittra APS Unique (simple or dual) against the control specimens presented the lowest color differences. Only surrounding the single-shade composite with a shaded composite barely impacted the ΔE00. The highest CAP values were obtained using a shaded composite under simple or dual specimens. Conclusions: The CAP of Vittra APS Unique was strongly affected by the underlying shade, while surrounding this composite with a shaded one barely affected its color adjustment.

고령 소비자를 위한 식이섬유 강화식단 개발 및 관능적 이화학적 특성 분석 (Development of Dietary Fiber Enriched Menu for the Aged and Analysis of Sensor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 박지현;김혜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16-523
    • /
    • 2006
  • Four dietary fiber enriched menus for the aged were developed and physicochemical were analyzed. Major foods enriching the dietary fiber were as following; kimchi & bean sprouts soup and sweet potato for menu 1, chamcheunamul and grape for menu 2, mushroom and kimchi for menu 3, dried radish leaves and green pepper for menu 4. One portion of calorie, carbohydrate, protein and fats for the aged were calculated as 567 kcal, 92.8 g, 21.3 g and 12.6 g, respectively based on recommended daily allowances for adults. Dietary fiber content increased in the menus 1, 2, 3 and 4 were 17.27%, 20.84%, 16.91%, and 23.64%, respectively. The menu 1 had significantly the highest acceptance scores among the rice, soups, side dishes and overall desirability with the acceptance sores of 4.77, 4.58, 4.62 and 4.69, respectively(p<0.05). Female showed significantly the higher acceptance scores of all of the enriched fiber menu than those of male. Moisture contents of the boiled rice with barely in menu 3 had significantly the highest value of all(p<0.05) and the side dishes of all menu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t p<0.05. The pH value of boiled rice with barely in menu 3 was significantly the highest and menu 1 of kimchi & bean sprouts soup had significantly the lowest pH values(p<0.05). Hunter L value was significantly the highest in boiled rice with barley. The dietary fiber enriched menus were successfully developed for application and standardization in the meal service planning for the aged as one of trials of basic data collection.

보리의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 산정 및 전과정평가 적용 (Estimation of Carbon Emission and Application of LCA (Life Cycle Assessment) from Barely (Hordeum vulgare L.) Production System)

  • 소규호;박정아;이길재;유종희;심교문;노기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722-727
    • /
    • 2010
  • 보리생산체계의 탄소성적을 평가하기 위하여 쌀보리, 겉보리, 맥주보리로 구분하여 LCI database 구축하고 전과정 영향평가를 통한 잠재적 환경영향을 평가하였다. LCI 구축을 위한 영농 투입물과 산출물에 대한 데이터 수집결과 맥주보리의 경우 전반적인 투입량이 맥종 중 가장 높았으며, 특히 비료투입량이 9.52E-01 kg $kg^{-1}$ two-rowed braley로 다른 품종에 비해 월등히 높았으며, 이에 따른 포장에서의 직접대기배출량 ($CO_2$, $CH_4$, $N_2O$)도 9.74E-02 kg $kg^{-1}$ two-rowed braley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LCI 분석 결과 쌀보리, 겉보리, 맥주보리의 탄소성적 값은 각각 1.25E+00 kg $CO_2$-eq. $kg^{-1}$ naked braley, 1.09E+00 kg $CO_2$-eq. $kg^{-1}$ hulled braley, 1.71E+00 $CO_2$-eq. $kg^{-1}$ two-rowed barley였다. 영농투입량이 가장 많은 맥주보리의 탄소성적이 가장 높았다. $CO_2$는 주로 비료생산공정과 보리생산에서 발생하며, 품종 중에서 맥주보리의 $CO_2$ 발생이 1.09E+00 kg $CO_2$ $kg^{-1}$ barley으로 가장 높았다. $N_2O$는 질소시비에 의한 재배 포장의 배출량이 가장 많았고, 특히 질소시비량이 가장 많은 겉보리가 재배 중 직접배출량이 가장 많았고 값은 7.55E-04 kg $N_2O\;kg^{-1}$ barley였다. 전과정 영향평가 수행결과 GWP의 특성화 값은 쌀보리, 겉보리, 맥주보리가 각각 1.25E+00, 1.09E+00, 1.71E+00 kg $CO_2$-eq. $kg^{-1}$이었고, GWP 값에 영향을 주는 보리생산체계의 주요 요인는 비료생산과 보리재배 작업이었다.

제주지역에서 동계사료작물의 사초생산성 및 사료가치 비교 (Comparison of Forage Production and Feed Value of Winter Forage Crops in Jeju)

  • 박형수;황경준;박남건;최기준;이종경;천동원;고문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15-220
    • /
    • 2008
  • 본 시험은 제주지역에서 동계사료작물의 사초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하여 청보리를 대체할 수 있는 사료작물을 탐색하고 제주지역에 적합한 동계사료작물 선발을 목적으로 제주시 난지농업연구소 시험포장에서 2007년 10월부터 2008년 6월까지 수행되었다. 제주지역에서 동계사료작물의 내한성은 모두 우수하였다. 출수 기는 밀('금강' 및 '우리')이 4월 5일로 가장 빨랐으며 '삼한' 귀리가 4월 28일로 가장 늦은 것으로 나타났다. 호숙기는 '금강'과 '우리' 밀 (5월 9일) > '유연' 보리(5월 12일) > 'Swan' 귀리(5월 16일) 순으로 나타났으며 초장은 '신영' 트리티케일이 129cm로 가장 크고 '금강' 밀이 82cm로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초 생산성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화산 101호')의 생초수량이 128,667 kg/ha, 건물수량이 25,951 kg/ha로 가장 생산성이 높았으며, 곡류 사료작물 중 귀리('삼한')의 건물수량이 22,556 kg/ha로 가장 높았다. 사료가치에서 조단백질 함량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화산 101호')가 11.2%로 높았고 밀이 10.8%로 곡류 사료작물 중 가장 높았다. TDN 함량은 밀('금강' 및 '우리')이 69.1과 68.8%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초종 간 차이가 5% 내외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제주지역에서 동계사료작물은 수량적인 측면에서는 이탈리안 라이그라스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료비 절감 등을 고려하면 제주지역에서는 귀리나 밀도 곡실효과를 얻을 수 있어 청보리 대체사료작물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토양 종류별 보릿짚 및 가축분 바이오차 투입이 토양 탄소 무기화에 미치는 영향 (Carbon Mineralization in different Soils Cooperated with Barley Straw and Livestock Manure Compost Biochars)

  • 박도균;이종문;최은정;권효숙;이형석;박혜란;오택근;이선일
    • 유기물자원화
    • /
    • 제30권4호
    • /
    • pp.67-83
    • /
    • 2022
  • 바이오차는 바이오매스를 산소가 제한된 환경에서 고온(300~700℃)으로 열분해하여 얻어지는 탄소 함량이 높은 생성물이다. 최근 바이오차는 농업 부산물을 최소화하고 순환 경제의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적인 도구로 농업 및 환경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바이오차를 만드는 재료로 왕겨, 가축분, 보릿짚 등 여러종류의 유기성 부산물이 사용되고 있으며, 약 10% 바이오차 적용(wt/wt)은 작물의 수확량, 토양 탄소 격리량을 높여준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우리나라 농경지의 경우 논에서 밭으로 토지 이용이 전환되거나 간척으로 인한 갯벌이 논으로 개간되고, 산림에서 밭이나 시설재배지로 개간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농경지 전환으로 인한 농경지별 바이오차 적용 효과가 상이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국내에서 농경지 유형별 바이오차 종류와 투입 수준에 따른 토양 탄소저장 연구는 여전히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농경지 토양별 바이오차 종류와 투입 수준에 따른 토양 탄소저장과 무기화되어 배출되는 이산화탄소(CO2) 배출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재료는 보릿짚, 가축분을 수거, 건조 등 전처리 과정을 거친 후 충남 예산에 있는 바이오차 제조공장 탄화로를 이용하여 TLUD (Top Lit Up Draft) 상향 통풍형 열분해 방식으로 약 500℃에서 제조하였다. Kinetic 모델 적용 결과 토양에 투입된 탄소 무기화는 바이오차를 투입하지 않으면 토양 종류별 8.2~16.5% 비율로 탄소원이 무기화 되어 이산화탄소로 배출되었다. 노지 밭 토양에서 15.5~16.5%로 가장 높았고, 간척지 토양에서 8.2~8.7%로 가장 낮았다. 이는 토양 내 탄소 함량이 높은 토양에서 유기물의 분해가 상대적으로 높아 배출되는 이산화탄소(CO2)는 탄소 함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바이오차를 투입한 토양에서 탄소 함량이 증가함에도 상대적으로 무기화되는 비율은 낮아졌다. 국제 바이오차협 회에서는 H:C 비율이 0.7 이하면 100년 이상 토양 내 탄소 격리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바이오차의 원료물질이 상이한 보릿짚, 가축분 바이오차 간 탄소 무기화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할 것으로 판단했지만, 각각의 바이오차 H:C 비율이 0.30~0.39로 0.7 이하임으로 토양에 혼합하였을 때 탄소 무기화의 비율이 낮고 탄소 격리의 효과가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