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mboo

검색결과 829건 처리시간 0.025초

Vegetation Type Effects on Nutrient Status and Stoichiometry of the Forest Floor in Southern Korea

  • Choonsig Kim;Nam Jin Noh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40권1호
    • /
    • pp.9-14
    • /
    • 2024
  • Quantitative evaluation of nutrient status and stoichiometry on the forest floor is a good indicator of litter quality in various vegetation typ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vegetation type on the nutrient concentration and stoichiometry of forest floors at a regional scale. Forest floo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four vegetation types of evergreen coniferous forests including Cryptomeria japonica, Chamaecyparis obtusa, evergreen broadleaf, and bamboo spp. forests in southern Korea. The dry weight of the forest floor was higher in the C. japonica and C. obtusa forests than in the evergreen broadleaf and bamboo forests. The mean carbon (C) concentrations of the forest floor were highest in the broadleaf forest, followed by the bamboo forest, C. japonica and C. obtusa forests. Mean nitrogen (N) and phosphorous (P) concentrations in the the coniferous forests were lower than those in the broadleaf and bamboo forests. The mean C:N ratio was the highest in C. obtusa forest (118±25), followed by C. japonica (66±6), evergreen broadleaf (41±1), and bamboo (30±1) forests. However, C:P and N:P ratios were lower in the coniferous forests than in the broadleaf forest indicating that the stoichiometry of the forest floor varies across vegetation types. The C, N, and P stocks on the forest floor were higher in the C. obtusa forest than in the broadleaf or bamboo forests. These results highlight that vegetation type-dependent stoichiometric ratio is an useful indicator for understanding interspecific difference in quality and quantity of the forest floor.

파쇄 대나무 급여수준이 젖소 거세우의 성장과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Levels of Crushed Bamboo Chip on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Holstein Steers)

  • 안병홍;강춘성;추교문;조희웅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3호
    • /
    • pp.401-414
    • /
    • 2006
  • 젖소 거세우의 육질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조사료원으로서 대나무(잎과 가지포함)를 암모니아 처리 볏짚 급여수준에 대하여 4 수준(0, 30, 40, 50%)으로 나누어 체중 300kg 부터 700kg 까지 급여하면서, 증체량, 사료섭취량, 사료효율, 경제성, 소화율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일당증체량은 대나무 30% 급여수준은 암모니아 볏짚 급여구와 차이가 없었으나 대나무 40%와 50% 급여구는 일당증체량이 감소하였다. 농후사료섭취량은 조사료중의 대나무 급여수준에 의하여 처리구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조사료 섭취량은 대나무 급여수준이 높아질수록 약간씩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총 사료섭취량은 대나무 급여수준 간에 차이가 없었다. 사료효율은 대나무 30% 급여수준은 암모니아 처리 볏짚 급여구와 차이가 없었으나 대나무 40% 및 50% 수준에서는 나빠졌다.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조수익에서는 대나무 30% 급여구가 암모나아 볏짚 급여구에 비하여 약 13% 높았으나, 대나무 40%와 50% 급여구는 조수익이 낮았다. 건물, 조지방, 조단백질, 가용무질소물 및 조회분 소화율은 대나무 30% 급여구와 암모니아 처리 볏짚 급여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조섬유 소화율은 암모니아 처리 볏짚 급여구가 대나무 급여구 보다 높았고, 대나무 급여수준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도체율과 등지방두께는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배 최장근 단면적은 대나무의 급여수준이 증가할수록 점차적으로 좁혀졌다. 육량등급은 처리구간에 같은 B 등급이었다. 육색, 지방색, 조직감, 성숙도 및 근내지방도도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고, 육질등급은 처리구간에 2 등급이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 의하면 젖소 수소는 거세를 시키고 조사료로서 암모니아 볏짚을 급여하면서 대나무(잎과 줄기포함)를 파쇄하여 30% 정도 대체 급여하면 젖소 거세우의 소득 향상을 위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대나무 쏘일네일링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on Application of Bamboo Soil Nailing System)

  • 방윤경;김홍택;유시동;유찬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31-4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남부지방에서 자라나는 풍부한 자연재료인 대나무를 쏘일네일링공법의 보강재로 활용하는, 이른바 대나무 쏘일네일링공법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쏘일네일링의 보강재로서 기존의 재료인 철근, 강봉, FRP(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등을 대체하여 대나무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 및 해석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연구로는 대나무 재료에 대한 강도특성을 분석하였으며, 현장인발시험을 수행하여 대나무 쏘일네일링의 인발저항특성 및 그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한계평형해석 및 변위해석을 통하여 대나무 쏘일네일 링공법의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대나무는 비교적 우수한 강도특성과 인발저항특성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계인장력을 만족하는 직경의 대나무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거나 혹은 대나무스트립의 개수를 조절하여 소요의 인장력을 만족하는 보강재로서의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따라서, 추후 대나무재료는 굴착벽체 및 사면보강 등 지반보강용 쏘일네일링의 보강재로서 적용이 가능한 대체 재료로 판단되었으며, 향후 적극적인 적용을 위한 시험시공 등의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현행(現行) 죽재결속법(竹材結束法)의 적정분석(適正分析)과 그의 개선(改善) - 결속구성인자(結束構成因子)의 분석(分析)을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the Validity of Bamboo-Bundle System and its Improvement - Analysis of the Component Factors of Bamboo-Bundle System -)

  • 이광남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9-71
    • /
    • 1975
  • The importance of bamboo as raw material for bamboo wares and several kinds of industrial products is highly appreciated at home and abroad. But different kinds of bamboo-bundle systems have been traditionally used in the local areas. There being no reasonable bamboo-bundle system, we have a lot of difficulty in trading bamboo products and executing adrinistmative works. Therefore, a reasonable bamboo-bundle system based on scientific proofs needs to be tested and established for fair trade and administration.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solve the above difficulty with statistical investigation and analysis.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larger the circles at eye-height become, the more the possibility of the largest internode covering the span between eye-height and 1/4 height increases. 2. The longest internodes are distributed according to a rule without relation to circles at eye-height. 3. The tapering grade of bamboo culms is very high and its form is almost the same without relation to its size. (Form exponent; 0.71-1.05, eye-height form factor; 0.60-0.66, 1/4 becomes, seeing that the circle grade and the percentage of actual volume height form factor; 0.61-0.69). 4. The larger the circles at eye-height are, the lower the percentage of actual volume have negative curve relation to each other. 5. It is considered that the numbers of bamboos bundled in a "Sok" is not decided according to the usefulness of bamboos, judging from the fact that the outputs of bamboo wares per "Sok" in every circle grade are not the same. 6. As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the empirical formulae of several amounts to circles at eye-height and culm length are as follows; Volume, $${\hat{y}}_i=\bar{3}.821874+2.013181log\;C_i+0.839128log\;H_i$$ $$V=0.0066355\;C^{2.013181}\;H^{0.839128}$$ Actual volume, $${\hat{y}}_{ai}=3.915338+0.776549log\;C_i+1.857000log\;H_i$$ $$V_a=0.0082288\;C^{0.776549}\;H^{1.857000}$$ Weight, $$w_i=3.869148+1.936410log\;C_i+0.566904log\;H_i$$ $$W=0.0073986\;G^{1.936410}\;H^{0.565904}$$ 7. Korean Phyllostachys bambusoides Sieb. et Zucc. is almost the same as that of Japan in several amounts, just the same especially in the weight. 8. It is found that the bamboo-bundle systems of Korea and Japan have much closer relation to the weight than other amounts. So It is, therefore, considered that the weight is important factor in deciding bamboo-bundle system. 9. According to the item 8, I should like to propose the appropriate numbers per "Sok" adjusted on the basis of the weight in the Table 18.

  • PDF

대나무 활성탄을 흡착제로 활용한 오염지하수 내 우라늄 제거 (The Uranium Removal in Groundwater by Using the Bamboo Charcoal as the Adsorbent)

  • 이진균;김태형;이민희
    • 자원환경지질
    • /
    • 제51권6호
    • /
    • pp.531-542
    • /
    • 2018
  • 대나무 활성탄을 흡착제로 사용하여 우라늄으로 오염된 지하수를 정화하는 흡착 배치실험을 수행하였다. 국내에서 판매되는 두 종류의 대나무 활성탄을 사용하여 다양한 우라늄 농도를 가지는 인공오염수를 대상으로 활성탄 투입량에 따른 제거효율 변화를 측정하였다. 인공오염수의 다양한 pH, 온도, 흡착 시간 조건에서 흡착실험을 반복하여, 최적의 제거효율을 나타내는 대나무 활성탄의 적용 조건을 결정하였다. 실험 결과, 인공오염수에 대한 대나무 활성탄의 우라늄 제거효율은 70 ~ 97 %를 나타내었으며, 우라늄 농도가 0.14 mg/L인 실제 우라늄 오염지하수에 대한 제거효율도 84 %로 매우 높았다. 오염수의 온도의 경우 $10{\sim}20^{\circ}C$ 범위, pH는 5 ~ 9 범위에서 우라늄 제거효율 변화가 크지 않아, 현장에서 별도의 추가 처리 없이 오염지하수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흡착실험 결과로부터 대표적인 흡착등온선을 도시한 결과, 우라늄에 대하여 대나무 활성탄은 Langmuir 흡착특성을 나타내었으며, A type과 C type 대나무 활성탄의 최대흡착농도($q_m:mg/g$)값은 각각 200.0 mg/g와 16.9 mg/g으로 높게 나타났다. 오염수 100 mL에 대나무 활성탄 2 g(2 wt%)을 첨가한 경우, 초기 우라늄 농도가 0.04 ~ 10.8 mg/L 범위에서 분리상수 값(separation factor: $R_L$)과 표면흡착률 값(surface coverage: ${\theta}$)이 1 이하로 낮게 유지되어, 다양한 우라늄 농도 범위를 가지는 오염지하수에 대하여 적은 양의 대나무 활성탄으로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담양권 대나무 이용 향토음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developing traditional foods with bamboo in Damyang)

  • 신길만;홍철희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43-261
    • /
    • 2000
  • Damyang is famous for the bamboo and various foods. It is urgently needed that native foods in this area are studied and modernized. Developing new foods and redeveloping local economy. Bamboo shoots can be raw materials for kimchi, canned goods, salted goods, Korean cookies, bread, tea, beverage, and so on. This study aims to invent new traditional foods using local product such as bamboo shoots will contribute to boost the recipe. to explore the new method of production and to modernize the traditional dishes. In the final analysis, economic and cultural consideration would be attached in this study.

  • PDF

한국산(韓國產) 맹종죽(孟宗竹) 죽순(竹筍)의 성분(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Nutritive Components of Edible Bamboo Shoots of Phyllostachys edulis Produced in Korea)

  • 정종성;박남창;이창우;원주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8권1호
    • /
    • pp.55-60
    • /
    • 1989
  • 진주시(晋州市) 가좌동(加佐洞) 산(山) 117림(林)에서 생산(生產)된 맹종죽(孟宗竹)의 죽순성분(竹筍成分)을 분석(分析)하기 위하여 생죽순(生竹筍)과 죽순(竹筍)통조림의 성분분석(成分分析) 및 생죽순(生竹筍)의 부위별(部位別) 성분함량(成分含量)을 비교분석(比較分析)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다. 1) 생죽순(生竹筍)은 죽순(竹筍)통조림에 비(比)하여 주요성분(主要成分) 단백질(蛋白質), 지방(脂肪), 조섬유(組纖維), 회분(灰分) 및 열량(熱量)에서 성분함량(成分含量)이 높은 반면 수분(水分), 당분(糖分)의 함량(含量)은 낮았다. 2) 무기물(無機物) 성분(成分)은 공(共)히 K성분함량(成分含量)이 높았으며 특(特)히 Ca함량(含量)은 일본산(日本產) 성분분석치(成分分析値)보다 월등(越等)히 높았다. 3) Vitamin A, $B_1$, $B_2$ 및 C의 함량(含量)은 생죽순(生竹筍)에서 월등(越等)히 많이 함유(含有)하고 있었다. 4) 생죽순(生竹筍)의 부위별(部位別) 성분함량(成分含量)은 단백질(蛋白質), 당분(糖分), 회분(灰分) 및 열량(熱量)은 상부(上部)에서 가장 많이 함유(含有)하고 있으며 조섬유(組纖維) 및 수분(水分)은 하부(下部)에 많이 함유(含有)하고 있었다. 5) 생죽순(生竹筍)의 부위별(部位別) Vitamin 성분중(成分中) A및 C는 중앙부(中央部)에 $B_1$은 상부(上部) $B_2$는 하부(下部)에 각각(各各) 많이 함유(含有)하고 있었다.

  • PDF

칼륨죽염의 in vitro 항암 기능성 증진 효과 (Increased in vitro Anticancer Effects of Potassium Bamboo Salt)

  • 조흔;정지강;김소영;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9호
    • /
    • pp.1248-1252
    • /
    • 2012
  • 칼륨을 첨가하여 제조한 죽염의 항암효과를 일반죽염 및 천일염, 정제염과 비교하여 칼륨 첨가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칼륨죽염과 죽염의 radical 소거능이 높았고, 칼륨죽염의 소거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정제염과 천일염의 소거능은 상대적으로 낮았고 칼륨죽염과 20배 이상의 차이가 있었다. MNNG를 사용한 Salmonella Typhimurium TA100 돌연변이 실험결과 소금은 모두 보돌연변이 효과가 있었지만, 칼륨죽염의 보돌연변이 효과가 다른 소금보다 3~46% 낮게 나타났다. HCT-116 암세포에 성장 억제 효과에 있어서도 위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칼륨죽염과 일반죽염의 암세포 성장억제효과와 암세포의 apoptosis 유도 효과가 천일염 및 정제염에 비해 높았고 그중 칼륨죽염의 in vitro 항암 기능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죽염의 항암효과는 천일염이 정제염보다 좋으며, 이러한 죽염의 항암효과를 칼륨을 첨가함으로써 더욱 증진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죽염의 항암 기능성이 증가한 주요 원인은 칼륨이라고 생각되어지며, 이것이 죽염으로 제조될 때 그 효과가 더 증진되는 것으로 보인다.

3D 프린터 필라멘트 제작용 대나무/PLA 바이오복합재료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Bamboo/PLA Bio-composites for 3D Printer Filament)

  • 신윤정;윤현주;이은주;정우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1호
    • /
    • pp.107-11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친환경 소재인 바이오복합재료(bio-composite)를 이용한 3D 프린터 필라멘트를 제작하였다. 바이오복합재료의 제조를 위해 매트릭스로는 생분해성 고분자인 poly lactic acid (PLA)를 그리고 충전제로는 대나무 분말(Bamboo flour)을 사용하였다. 대나무는 담양에서 생산되는 왕대, 솜대, 죽순대를 이용하였으며, 대나무 분말과 PLA의 혼합비율은 중량기준 10/90, 20/80, 30/70으로 설정하였다. 3개 죽종으로 제조한 대나무/PLA 바이오복합재료의 기본물성 평가를 위해 인장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왕대 분말/PLA의 비율이 10/90일 때의 인장강도가 7.12 MPa로 가장 높게 나타남으로써 3D 프린터 필라멘트 제작용 대나무/PLA 바이오복합재료로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현미경 관찰 결과, 죽분의 함량을 더욱 낮춘 필라멘트를 제작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죽염의 알칼리성 및 항산화 효과 (Alkaline and Antioxidant Effects of Bamboo Salt)

  • 조흔;정옥상;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9호
    • /
    • pp.1301-1304
    • /
    • 2012
  • 국내산 정제염, 천일염과 죽염(9회)의 pH, 무기질 성분, OH기 함량, 환원력과 DPPH 활성산소 소거 효과를 측정하였다. pH 측정에서 정제염은 약간 산성이고 천일염은 알칼리성을 나타내었고 죽염은 천일염보다 더 높은 알칼리성을 나타내었다. 미네랄 함량은 죽염의 Ca, Fe, Mn, P, S, K 함량이 정제염과 천일염보다 더 많았다. 특히 Fe은 죽염만 함유하고 K의 함량도 다른 소금보다 많이 함유하였다. FT-IR을 이용한 실험에서 OH기 함량도 죽염은 정제염과 천일염보다더 많았고 peak에 따라 정제염은 6.5배, 천일염과는 2.3배의차이가 있었다. Bioanalytical system을 이용한 소금 수용액에서 죽염의 전위 환원력은 정제염과 천일염보다 더 크게 높았다. 1~25% 농도에서 소금의 DPPH 항산화실험에서 죽염의 활성산소 소거 능력이 가장 강하게 나타났고 정제염과 천일염은 농도 증가에 따라 항산화 효과가 큰 차이가 없었다. 25% 고농도에서 정제염과 천일염의 산소 소거 기능이죽염과 16배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죽염은 알칼리성을 띄는 소금이고 OH기 함량과 전위 환원력도 일반소금보다 현저히 높았다. 또한 이들의 화학적인 특성을 가진 죽염은 항산화 효능도 일반소금보다 크게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