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lanced scorecard

검색결과 269건 처리시간 0.023초

제조업 분야에서 Product Data Management 기반의 BSC 성과평가 시스템 구축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Implementation of a BSC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in Manufacturing Industry based on Product Data Management)

  • 오정수;양정삼
    • 산업공학
    • /
    • 제23권4호
    • /
    • pp.275-285
    • /
    • 2010
  • In complex industrial world, many companies make every effort to analyze their competition capability through various performance evaluation tools to cope with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Among evaluation tools the balanced scorecard (BSC), put forward by Kaplan and Norton in 1992, is a strategic performance management tool for measuring whether the smaller-scale operational activities of a company are aligned with its larger-scale objectives in terms of vision and strategy. The BSC tool offers a comparative advantage over others to evaluate the objective achievement of a company by linking its strategic objectives with operational KPI.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case that the BSC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was implemented based on product data management and applied it to the business process. Specially, we shows a implementation procedure to derive discipline-specific topics and key performance metrics.

BSC를 이용한 지식경영 성과측정 방법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Methodology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Knowledge Management using Balanced Scorecard)

  • 노규성;윤재희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 1999년도 국제컨퍼런스 디지털컨텐츠 활용을 통한 지식경영의 확산
    • /
    • pp.289-298
    • /
    • 1999
  • 최근 조직에 지식경영을 도입해야 할 필요성이 강조되고, 이를 도입하고자 관심을 갖고, 도입 중에 있는 조직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지식경영의 도입은 지속적인 구축과정을 필요로 한다. 또한 이러한 지식경영을 도입하였을 때 과연 조직은 어떠한 성과를 얻을 수 있을까라는 점에 많은 질문을 갖게 된다. 따라서 지식경영을 도입함으로써 조직이 어떻게 변화하며, 궁극적으로 조직의 성과를 어떻게 측정해야 할 것인가는 중요한 사항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그 유용성이 강조되는 BSC 관점에서 점진적 지식경영 방법론에 토대를 둔 파일럿 영역단위의 접근에 기반한 산업별 조직의 가치활동의 가중치를 평가해 봄으로써 효과적인 지식경영의 성과측정 방법에 대한 지침 모델을 고찰해 보았다.

  • PDF

균형성과표(BSC)에 의한 건설산업의 주요성공요인과 성과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BSC Perspective of an Exploratory study of Developing CSF/KPI Pool in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 오익진;이정훈;이중정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5-46
    • /
    • 2006
  • In recent years, academic scholars and practitioners have given increasing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strategic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 including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metrics. The Balanced Scorecard (BSC) is known as integrated performance management framework that helps an enterprise to translate strategic objectives into relevant performance within an organization. While the current literatures and management articles offer BSC design and implementation. there are few reports of detailed validation of using the rationalized sets of CSF (Critical Success Factors) and KPI (Key Performance Indicators) for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This paper first propose the perceived sets of CSF/KPI using current literatures and validate with a major construction company's executives and senior managers in Korea. The paper then examines whether the perceived sets of CSF/KPI have co-relationships with the firm performance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ontribute in heightening of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construction companies in strategic and performance management.

BSC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IT 조직의 성과평가 CSF & KPI 개발과 지표 간 인과관계의 규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ing BSC framework to Develop CSF & KPI for IT Performance measure by Balanced Scorecard on IT organization and examining the relation of cause and effect in Indicators.)

  • 임종호;이정훈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71-278
    • /
    • 2006
  • IT 조직의 활동에 대한 성과 평가는 과거 재무적인 평가방법이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정보시스템 기능과 활동 주체가 다양해짐에 따라 재무적인 접근방법과 함께 새로운 평가 방법 및 기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균형 성과표 (Balanced Scorecard: BSC) 개념을 IT 활동 평가에 적용한 IT-BSC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정보시스템과 기업전략과의 관계에 대한 규명이나, 다양한 IT 성과측정지표들간의 연계성을 측정하는 연구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본 연구에서는 IT 조직의 성과평가를 위한 핵심성공요인(CSF)과 핵심성과지표(KPI)를 도출하고, 도출된 지표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된 영역과 지표들은 각 산업영역에서 IT 조직의 성과를 측정할 때 참고하고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데에 연구의 의미를 둘 수 있다.

  • PDF

6시그마 프로젝트 평가시스템 현황과 대안연구 (A Study of Status and Alternative System on Six Sigma Project Evaluation System)

  • 양종곤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24-132
    • /
    • 2008
  • 본 연구는 균형성과지표와 6시그마 추진기업의 6시그마 프로젝트 평가시스템을 통합한 프로젝트 평가시스템의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균형성과지표 차원의 재무, 고객, 내부 프로세스, 학습과 성장 4개의 관점에서 목표와 평가지표를 토대로 재무관점의 4개, 고객관점의 6개, 내부 프로세스 관점의 5개, 학습과 성장관점의 6개의 평가지표가 연구결과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무적으로 적용가능한 지표이며 향후 연구과제로는 특정기업에서 본 지표를 바탕으로 검증연구 및 전략적 체계도와 연계한 통합 시스템에 관한 연구이다.

  • PDF

BSC 지표의 정규화된 Total Score 산출 방법 (A method for producing normalized total score of BSC measures)

  • 김수연;황현석;홍종의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163-172
    • /
    • 2007
  • BSC(Balanced Scorecard)는 기업의 성과를 총체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 이용되어 왔다. BSC를 이용해 도출된 지표는 서로 다른 단위를 가지므로 측정값을 통해 개별적 지표의 달성도를 파악할 수는 있지만, 전체적인 기업의 전략 달성도를 측정하기는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BSC의 서로 다른 지표값에 대한 정규화된 Total Score산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AHP(Analytical Hierarchy Process)를 이용하여 BSC 지표들의 가중치를 결정한 후 만족도 함수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측정단위를 가진 BSC지표 측정값을 정규화하여 Total Score를 산출하고자 한다. 산출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CRM의 효과성 측정에 본 방법을 적용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균형성과표(BSC) 각 관점간의 복합된 관련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중국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Analysis on the Composite Relationships among Perspectives in the Balanced Scorecard -Focused on Small and Midium-Sized Manufacturing Firms in China-)

  • 이찬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8호
    • /
    • pp.145-151
    • /
    • 2015
  • 본 연구는 중국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균형성과표의 각 관점(학습과 성장, 내부프로세스, 고객, 재무)들이 전체적 차원에서 그 복합된 연관관계가 목적달성에 적합하게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대한 실태 분석을 목적으로 구조 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분석결과 학습과 성장은 내부프로세스를 매개로 그리고 직접적으로 재무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기업에서 재무적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과 성장 그리고 내부프로세스를 잘 관리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고객의 만족과 충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종업원에 대한 학습과 성장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태분석 결과는 중국의 중소기업들이 재무적인 경영성과를 높이기 위해서 경영자가 경영관리의 초점을 어디에 맞추어야 하는가에 대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균형성과표와 품질기능전개도의 결합 방법론을 이용한 컨테이너 터미널의 성과요인결정에 관한 연구 (Evaluating Performance Factors of Container Terminals using Balanced Scorecard(BSC) and Quality Function Deployment(QFD))

  • 신창훈;임병학;강정식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675-683
    • /
    • 2008
  • 본 연구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종합적인 성과 향상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균형성과표(BSC)를 설계한 후 분석계층프로세스 모형(AHP)과 분석네트워크프로세스 모형(ANP)을 활용하여 품질기능전개도(QFD)와 결합 모형을 사용하였다. 이는 재무적 성과, 고객 만족 및 컨테이너 터미널의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질적 향상을 가져 올 수 있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종합적이고 다차원적인 성과 요인 제시 및 중요도 분석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수정된 품질기능전개도는 상관종속성과 관계행렬을 표현하므로 인해, 기존의 품질기능전개도와 비해 더욱 현실적이며 정확성과 정교성이 부가된 품질기능전개도를 구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