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sociation mapping

검색결과 721건 처리시간 0.027초

Evaluation of Cofactor Markers for Controlling Genetic Background Noise in QTL Mapping

  • Lee, Chaeyoung;Wu, Xiaoli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4호
    • /
    • pp.473-480
    • /
    • 2003
  • In order to control the genetic background noise in QTL mapping, cofactor markers were incorporated in single marker analysis (SMACO) and interval mapping (CIM). A simulation was performed to see how effective the cofactors were by the number of QTL, the number and the type of markers, and the marker spacing. The results of QTL mapping for the simulated data showed that the use of cofactors was slightly effective when detecting a single QTL. On the other hand, a considerable improvement was observed when dealing with more than one QTL. Genetic background noise was efficiently absorbed with linked markers rather than unlinked markers. Furthermore, the efficiency was different in QTL mapping depending on the type of linked markers. Well-chosen markers in both SMACO and CIM made the range of linkage position for a significant QTL narrow and the estimates of QTL effects accurate. Generally, 3 to 5 cofactors offered accurate results. Over-fitting was a problem with many regressor variables when the heritability was small. Various marker spacing from 4 to 20 cM did not change greatly the detection of multiple QTLs, but they were less efficient when the marker spacing exceeded 30 cM. Likelihood ratio increased with a large heritability, and the threshold heritability for QTL detection was between 0.30 and 0.05.

건강증진 기획모형의 중재기획 단계 비교: PRECEDE-PROCEED와 Intervention Mapping (Intervention Development Stages in Health Promotion Planning Models: PRECEDE-PROCEED and Intervention Mapping)

  • 유승현;김혜경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41-149
    • /
    • 2010
  • Objectives: This paper aims to compare the intervention development steps of the revised PRECEDE-PROCEED model and the Intervention Mapping model. Methods: Concepts and structure of the intervention development step of each model are reviewed with examples. Results: The revised PRECEDE-PROCEED model and the Intervention Mapping model share characteristics in intervention development in employing PRECEDE assessments, applying a social ecological framework and behavior theories for intervention building, emphasizing multi-interventions at multiple levels, and involving stakeholders and existing resources in intervention development.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intervention alignment and matrix building is provided with illustration of examples. Conclusion: Intervention development should not be done compartmentally but in line with other steps in a planning model to sustain the program logic. For successful application of planning models for intervention development, solid understanding of the models and behavior theories are required. Multisectoral collaboration is also critical for the successful application.

방사선안전관리를 위한 Process Mapping 개발 (Development of the Process Mapping for the Radiation Safety Management)

  • 이용식;이진우;이윤종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8권3호
    • /
    • pp.149-156
    • /
    • 2013
  • 최근 국내 방사선이용기관 수의 증가와 시설의 다양한 투자로 운영 및 안전관리가 복잡해지고 있다. 그러나 작업종사자 수와 방사선 시설증가에도 불구하고 방사선안전관리자 인력은 증가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며, 소수의 방사선안전관리자에 의해 방사선작업종사자 등록 및 관리, 선원관리, 방사선량 감시, 배기 및 배수 등의 많은 업무가 관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방사선 사고발생의 직 간접적인 사고의 원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을 이용하는 시설의 효율적인 안전관리와 사고예방을 위한 방사선안전관리 업무절차를 도식화(Process Mapping)하였다. Process Mapping 개발을 위해 방사선안전관리 현안요건을 분석하고, 개별 절차상의 업무분석을 통해 방사선안전관리 체계를 정비하였다. 개발한 Process Mapping을 바탕으로 각 기관에 적합한 업무절차의 흐름을 명확히 구성함으로써 방사선을 이용하는 시설의 안전 위해 요인을 줄이고 방사선안전관리 체계를 개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Process Mapping을 수정보완하여 방사선안전관리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공간의 근대적 규율과 영국 제국의 아일랜드 영토 경영 (Modern Control of Space and the British Empire's Management of Irish Territory)

  • 이성범
    • 영어영문학
    • /
    • 제57권4호
    • /
    • pp.553-580
    • /
    • 2011
  • This article addresses how the British Empire administered the discipline of space in nineteenth century Ireland. Space control is a part of modern disciplinary practices. I approach this issue in light of the two modern mapping of space: the geometric mapping of space and the Romantic mapping of space. The former, as seen in map-making, is characterized by imposing a standardized, stratified grid on space by eliminating local characteristics of nature.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as shown in picturesque landscaping, aims to balance a close-up observation of nature and a far-sighted view of it, with the result of creating an ironic tension of local diversity and perspectival totality. These modern disciplinary projects of space repeat themselves in the British management of the colonized Irish territory. As the British conquer other lands, they put to good use both geometric and Romantic disciplinary methods of space. Supervising the Ordnance Survey of Ireland from 1824 to 1846, Thomas Frederick Colby, British Director of Ordnance Survey, made a mathematically strict and scientific mapping of Ireland as a scale of six inches to one mile. Parallelled to this geometric colonization of space, the Romantic colonization of space is efficiently used for the Empire's management of Ireland as well. British tourists and pro-unionist Anglo-Irish landed gentries transform it into the nature of picturesque beauty; Ireland's wild boglands turn aesthetically into desolate but beautiful scenery. Picturesque landscape in England is reborn as an aesthetics of desolation in Ireland.

정신장애인을 위한 프로그램 기획에의 컨셉트 맵핑(concept mapping) 적용 : 클라이언트 참여를 통해 사회복귀시설 종사자와 정신장애인의 기대성과 합의를 이룰 수 있는가? (Application of Concept Mapping in Program Planning for the Mental Disorders: Can be Achieved Consensus Expected Outcomes of the Mental Disorders and Community Psychiatric Rehabilitation Center Employees through Client Participation?)

  • 권순애;김선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40-151
    • /
    • 2015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에 클라이언트 참여와 자기결정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하여 컨셉트 맵핑을 적용한 것이다. 컨셉트 맵핑이 적용되는 프로그램은 A광역시의 B사회복귀시설에서 시행되는 것으로, 정신장애인들이 독거노인과 함께 음식을 교류하며 소통하는 사업이였다. 컨셉트 맵핑을 통해서 정신장애인과 사회복귀시설 종사자가 기대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성과가 무엇인지 서로 확인하고, 합의해 나가게 되었다. 정신장애인과 사회복귀시설 종사자 총 24명이 참여하였으며, 총 여섯단계를 거쳤다. 42개의 서술문이 수집되었으며, 분류화 결과, 정신장애인은 6개의 군집, 사회복귀시설 종사자는 3개의 군집이 도출되었다. 사회복귀시설 종사자보다 정신장애인들이 기대성과를 더 세분화시켜 분류하였다. 서로가 기대하는 성과의 차이를 확인하고 기대성과의 중요성을 측정하여 최종적으로 합의된 3가지의 기대성과를 도출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서 정신장애인들의 프로그램 참여와 그에 따른 자기결정의 가치를 실현하는데 컨셉트 맵핑이 가지는 유용성을 경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초등학생의 학습접근양식에 따른 비유 만들기 특성, 대응 관계 이해도, 대응 오류, 비유 만들기에 대한 인식 (Characteristics, Mapping Understanding, Mapping Errors, and Perceptions of Student-Generated Analogies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pproaches to Learning)

  • 강훈식;천지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668-680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알갱이의 크기에 따른 혼합물의 분리 원리에 대해 초등학생들이 만든 비유의 특성, 대응관계 이해도, 대응 오류, 비유 만들기에 대한 인식을 학습접근양식에 따라 조사했다. 초등학교 4학년 92명을 선정하여 학습접근양식 검사, 비유 만들기 검사, 비유 만들기에 대한 인식 검사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기계적 학습접근양식을 지닌 학생들보다 유의미학습접근양식을 지닌 학생들이 더 많은 수의 비유를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든 비유 유형의 경우, 기계적 학습접근양식보다 유의미 학습접근양식을 지닌 학생들이 구조적/기능적 비유, 부연 비유, 고체계성 비유를 더 많이 만드는 경향이 있었으나 표현 방식(글, 그림, 글/그림)과 상황의 작위성(작위적, 일상적), 추상도(추상적, 구체적) 항목에서는 학습접근양식에따른 차이가 거의 없었다. 기계적 학습접근양식보다 유의미 학습접근양식을 지닌 학생들이 비유에 대한 이해도가 더 높았고, 비유물에 포함된 공유 속성의 수와 대응 관계 이해도 점수도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대응 오류를 범하는 경우도 더 적었다. 학습접근양식에 관계없이 많은 학생들이 비유 만들기 활동에 대해 다양한 인지적 동기적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유 만들기 활동에서의 다양한 어려움 등과 같은 단점을 지적하기도 했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했다.

대학생 절주교육 프로그램(과음없는 캠퍼스 만들기) 개발: Intervention Mapping과 Transtheoretical Model의 적용 (Development of "Drink Smart" Alcohol Education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Application of the Intervention Mapping and Transtheoretical Model)

  • 김혜경;김명;이은희;권은주;조한익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145-160
    • /
    • 2011
  •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apply the Intervention mapping and Transtheoretical models to develop a program to promote moderate alcohol drinking in university students. Methods: Surveyed data from 1,137 university students were analyzed to identify personal and environmental determinants for alcohol drinking. Based on these determinants, program objectives were established. Crossing the objectives with related important determinants resulted in matrices of learning objectives for which educational strategies were developed. Subsequently, an intervention program were designed to achieve those objectives. Results: Identified personal determinants included awareness, attitudes, self-efficacy and behavioral skills. Environmental determinants were binge drinking behaviors of family members and peers, and social pressure for drinking. Program, impact and learning objectives were developed to change the identified determinants. Program activities included provision of information on positive and negative consequences of binge drinking, opportunities for assessing one's drinking pattern, increasing outcome expectancies of and skill building for monitoring drinking, resisting peer pressure and managing stress. To facilitate adoption and maintenance of the program, an intervention diffusion plan was suggested. An evaluation plan was developed by utilizing RE-AIM framework. Conclusions: In order to expand evidence bases for effective theory-based programs, the developed program should be tested in diverse university settings.

인공신경망 기법과 굴진면 관찰자료를 활용한 터널 역해석 연구 (A tunnel back analysi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technique and face mapping data)

  • 유광호;김경석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357-374
    • /
    • 2012
  • 터널 설계 시 사용되는 지반물성치는 한정적인 조사 및 시험을 통해 산정되기 때문에 불확실성을 내포한다. 본 연구에서는 최적의 지반물성치를 찾기 위해 터널의 굴진면 관찰자료와 계측자료를 활용하여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역해석을 수행하였다. 우선 굴진면 관찰자료를 이용하여 연구대상 터널의 암반등급이 선정되었다. 기존연구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서 암반등급별로 지반물성치의 가능한 범위를 지정하여 보다 정확한 학습자료 구축을 위해 활용되었다. 또한 최적의 학습모델을 찾기 위해 은닉층 수와 각 은닉층의 노드 수를 기존연구보다 세분하여 변화시켜가며 매개변수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기존 연구와 비교했을 때, 보다 정확한 지반물성치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계측자료 뿐만 아니라 굴진면 관찰자료를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역해석에 활용하면 결과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론을 사용하여 지반물성치를 보다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WAT HRU 단위 지하수 함양량 및 질산성 질소의 정확한 산정을 위한 SWAT HRU Mapping module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WAT HRU Mapping Module for Accurate Estim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and $NO_3$-N of Each HRU in the SWAT Model)

  • 류지철;문유리;김익재;임경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회
    • /
    • pp.2011-2015
    • /
    • 2010
  • 비점오염원에 의한 수질오염은 지표수 오염과 지하수 오염으로 분리될 수 있는데 보통 지하수는 지표수에 비하여 수질이 양호 하다고 여겨지만 오염된 하천 주위의 지하수 오염이 심각할 수 있다. 이러한 지하수에 의한 오염원을 산정하고 분석하기 위해 여러 가지 수문관련 공식이나, HSPF, MODFLOW, SWAT 모형 등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 중, SWAT 모형은 다양한 작물 및 재배방법이 지표수 및 지하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유역단위로 평가가 가능하여 국내 외 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SWAT 모형은 소유역별 수문학적 반응단위인 HRU를 이용하여 유역 내 수문 및 수질을 평가하는데 소유역내 HRU의 공간적인 정보를 고려하지 않는 준 분포형 모형으로 다양한 영농방법이 지표수 및 지하수에 미치는 영향을 공간적으로 분석 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SWAT 모형의 단점을 개선하여 공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SWAT HRU Mapping module을 개발하였고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 횡계2리 지역에 적용하여 지하수 함양량 및 대수층 유입 $NO_3$-N 부하량 및 농도를 분석하였다. 적용결과, 횡계2리 유역의 2006년 대수층 유입 $NO_3$-N 부하량 및 농도를 비교하면 일반적으로 농경지에서의 대수층 유입 $NO_3$-N 부하량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 대부분 농경지에서 대수층으로 유입되는 $NO_3$-N의 농도가 산림에 비해서 상당히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2007년의 결과도 비슷한 경향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와 같이 같은 밭이라 하더라도 재배되는 작물의 종류 및 시비량 등에 따라 대수층으로 유입되는 오염부하에는 상당한 영향이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재배 작물과 토양 특성에 따라 $NO_3$-N이 대수층으로 유입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HRU Mapping Module은 유역에서의 수질 개선시기저유출을 통한 오염원의 시공간적 분석을 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