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ificial immune system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32초

바이러스 면역시스템 분석 (Analysis of Computer Virus Immune System)

  • 전완근;이중식;이종일;김홍윤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39-47
    • /
    • 2002
  • 최근에는 러브레터 ,백오리피스와 같은 웜바이러스, 트로이목마, 리눅스바이러스 등과 같은 네트워크 상의 대규모 PC를 대상으로 막대한 피해를 줄 수 있는 악성 신종 바이러스가 출현함에 따라 국내외적으로 증가추세에 있는 신종 바이러스에 대하여 보다 신속하고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인공지능기법을 적용한 새로운 형태의 차세대 악성 컴퓨터바이러스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 미확인된 차세대 악성 바이러스에 대한 신속한 자동탐지 및 제거기능을 갖는 해외의 디지털 면역시스템을 분석한다.

  • PDF

중국 초등학생의 공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미세먼지 STEAM 프로그램 개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Development of Fine Dust STEAM Program for Enhancing Engineering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Chine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권해연;변문경
    • 공학교육연구
    • /
    • 제23권2호
    • /
    • pp.14-23
    • /
    • 2020
  • Based on the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s model and the learner-centered psychological principles, STEAM education program with the theme of eliminating smog was developed. Through the program,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ll learn and apply the convergence knowledge of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and mathematics such as the human body's respiratory system (S), immune system (S), big data (M, T), computer programming(M), and aduino sensor utilization (E) directly to solve the problem. After expert validity testing, we found that developed program meet the standards of STEAM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can develop creative thinking skills to find and solve problems in students' daily lives. In add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a reference example for the development of STEAM education programs that enhance convergence knowledge in the future.

Cadmium이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면역 반응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admium exposure on the immune response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변주영;유민호;전려진;이형호;정현도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97-102
    • /
    • 2001
  • 어류의 면역반응에 대한 cadmium (Cd)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를 각기 다른 방향으로 Cd에 노출시킨 후 특이적 면역반응의 변화와 Edrwrdsiella tarda KFE (E. tarda KFE)의 인위감염에 대한 저항성을 분석하였다. E. tarda KFE의 formalin killed cell (FKC)로 면역시키기 2주전부터 계속하여 실험 기간동안 침지법으로 Cd(20ppb)에 노출된 시험구는 노출되지 않은 시험구와 양성 대조구보다 혈청 내 특이 항체가가 빠르게 최고치에 이르렀으나, 감소속도는 노출시키지 않은 양성 대조구에 비하여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splenocytes를 ELISPOT-assay (enzyme-linked immunospot assay)를 이용하여 특이 항체 생성 세포 (specific antibody secreting cell, SASC) 수를 분석해 보았을 때에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면역 전 2주 동안만 Cd에 노출시킨 시험구에서는 혈청내 항체생성 결과와는 달리 증가된 SASC의 수를 보여 주었다. 그리고 면역 2주 전부터 실험 전기간동안 계속해서 Cd에 노출시킨 넙치를 대상으로 하여 E. tarda FKC 생균으로 인위 감염시켰을 때 100% 폐사율을 보여 주었다. 이것은 Cd에 지속적으로 노출된 어류에서의 방어 체계는 면역반응뿐만 아니라 독성효과도 함께 고려되어야 하는 복합적인 것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인공 면역계에 기반한 지문 매칭 알고리즘 (Fingerprint Matching Algorithm Based on Artificial Immune System)

  • 정재원;양재원;이동욱;심귀보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 /
    • pp.173-176
    • /
    • 2003
  • 지문은 종생불변성, 만인부동성, 그리고 사용상의 편리함 때문에 신원인증을 위한 생체인식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기하학구조에 기반한 특이점 매칭방식이 제안되어 인식성능이 매우 높고 잡음에 강한 특성이 있으나 매칭 회수가 많아 인식속도가 느린 단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방식은 소수의 지문에 대한 1:다 매칭이나 1:1매칭에 주로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생체 면역계의 자기-비자기 인식 능력에 주목하였다. 생체 면역계는 자기-비자기의 구별 능력을 바탕으로 바이러스나병원균 등의 낮선 외부침입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침입자를 식별, 제거하는 시스템이다. 본 논문에서는 생체 면역계를 이루는 면역세포 중의 하나인 세포독성 T세포의 생성과정에서 자기, 비자기를 구별하기 위한 MHC 인식부를 형성하는 과정에 착안한 빠르고 신뢰성 있는 지문 인식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식은 지문에 존재하는 특이점(minutiae)인식을 통해 1단계로 global 패턴을 생성하고 2단계로 기하학적인 구조를 만들며, 인식시 global 패턴을 인식한 MHC 인식부에 대해서만 2차 local 매칭을 수행함으로써 매칭 속도가 매우 빠르며 지문의 비틀림이나 회전 등에 대하여 강인하게 인식된다.

  • PDF

적응형 변형 인식부를 이용한 침입 탐지 학습알고리즘 (Intrusion Detection Learning Algorithm using Adaptive Anomaly Detector)

  • 심귀보;양재원;김용수;이세열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451-456
    • /
    • 2004
  • 징후 기반의 침입 탐지 시스템은 일정한 침입 탐지 규칙을 구성하여 라이브러리에 저장한 후 새로운 입력에 대해 규칙과 패턴 매칭을 하여 침입 여부를 판정한다. 그러나 징후(규칙)를 기반으로 하는 침입 탐지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크게 2가지의 제약을 갖는다. 첫 번째는 침입에 대한 규칙을 구성하지 못할 경우 그에 따른 FN 오류(false negative error)가 발생할 수 있으며, 두 번째는 규칙의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많은 규칙을 구성하게 되었을 경우 그에 소요되는 자원의 규모가 커진다는 점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생체 면역 세포의 생성 과정인 부정 선택을 공학적으로 모델링하여 변형 인식부를 구성하고 이를 후보 개체군으로 하여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해 진화시킴으로서 변이적인 침입에 대해 탐지 가능한 변형 인식부의 학습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그 유효성을 입증한다.

학습 알고리즘 기반의 적응형 침입 탐지 알고리즘 (Adaptive Intrusion Detection Algorithm based on Learning Algorithm)

  • 심귀보;양재원;이동욱;서동일;최양서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75-81
    • /
    • 2004
  • 징후 기반의 침입 탐지 시스템은 일정한 침입 탐지 규칙을 구성하여 라이브러리에 저장한 후 새로운 입력에 대해 규칙과 패턴 매칭을 하여 침입 여부를 판정한다. 그러나 징후(규칙)를 기반으로 하는 침입 탐지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크게 2가지의 제약을 갖는다. 첫 번째는 침입에 대한 규칙을 구성하지 못할 경우 그에 따른 FN 오류(false negative error)가 발생할 수 있으며, 두 번째는 규칙의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많은 규칙을 구성하게 되었을 경우 그에 소요되는 자원의 규모가 커진다는 점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생체 면역 세포의 생성 과정인 부정 선택을 공학적으로 모델링하여 변형 인식부를 구성하고 이를 후보 개체군으로 하여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해 진화시킴으로서 변이적인 침입에 대해 탐지 가능한 변형 인식부의 학습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그 유효성을 입증한다.

상황버섯의 기술개발 동향과 시장분석 (Phellinus linteus; Market and Technology Trends Analysis)

  • 손은화;노현숙;박영서;손은수;강세찬;강남성;표석능
    • KSBB Journal
    • /
    • 제23권2호
    • /
    • pp.109-117
    • /
    • 2008
  • 담자균류의 버섯은 대부분 영양생장단계의 균사체와 포자를 형성하는 생식생장단계인 자실체로 나누어진다. 그러나 자연산 상황버섯은 자연계에서의 분포수가 극히 적어 그 자실체를 얻기 어려우며, 이러한 희귀성으로 인해 매우 고가로 거래되고 있다. 1990년대 중반 상황버섯은 균사체 배양기술과 인공재배법이 확립된 후 농가에서 대량생산되기 시작하였으며, 이에 따라 상황버섯의 유효성분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의 개발이 활발하였다. 그러나 인공재배법에 의한 상황버섯 추출물은 자연산 추출물의 항암 및 효능면에서 차이를 나타내고 있어, 자연산 자실체와 같은 수준에서의 약효를 나타내기 위한 인공배양기술과 고농도 유효성분을 획득하기 위한 추출법이 핵심기술로 대두되었고, 인공배양된 상황버섯과 자연산의 다각도적인 약효 비교에 관한 연구가 아직까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상황버섯의 유효성분이 높게 함유된 저렴한 추출물이 생산될 수 있는 기반 기술들이 기능성 음료용수, 식품 및 의약품으로 개발에 중요한 핵심기술로 떠오르고 있다. 국내 상황버섯 기능성 식품의 시장은 상황버섯의 효능에 대한 인지 증대, 웰빙열풍을 의한 건강 음료에 대한 선호도 증대 등으로 인해 향후에도 10%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는 중소기업들이 주로 활동하고 있어 마케팅 및 유통의 한계로 인해 시장이 크게 확대되고 있지 않으나, 사업매력도가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어 대기업에서도 상황버섯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시장에의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Probiotics를 양식넙치에 투여시 Streptococcus iniae에 대한 면역반응 및 병저항성 (Dietary Administration of Probiotics, Bacillus sp. IS-2, Enhance the Innate Immune Response and Disease Resistance of Paralichthys olivaceus against Streptococcus iniae)

  • 장익수;김동휘;허문수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72-178
    • /
    • 2013
  • 본 연구는 양식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사료 내 생균제 첨가가 넙치의 성장, 면역반응 및 병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실험사료는 넙치용 배합사료(조단백질 52%, 조지방 11%, 조섬유 3%, 조회분 14%, 인 2.7%, 칼슘 1.5%, Suhyup Co., Korea)에 Bacillus sp. IS-2를 첨가하여 $10^3$, $10^5$, $10^7$ CFU/kg의 실험사료를 제작하였다. 2주간의 예비사육 후, 평균무게 $210{\pm}13g$인 실험어를 1,000 L 원형수조에 실험구 당 70마리씩 무작위로 배치하여 실험사료를 1일 2회 어체 중의 2%씩 12주 동안 공급하였다. 성장도 조사 결과 모든 실험구에서는 일반사료를 투여한 대조구에 비해 높은 성장률을 나타내었으며 $10^5$ CFU/kg 실험구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약 13% 정도 높은 성장률을 나타내었다. 혈액분석 결과에는 glucose를 제외한 GOT, GPT, 단백질, 총콜레스테롤 등에서 실험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생균제로 인한 간독성이나 어체 내 문제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Glucose인 경우 실험 종료 시점에서 증가되는 변화를 확인 할 수 있었는데 이는 수온, 수질에 의한 일시적인 현상이라 사료된다. Respiratory burst activity (NBT assay)에 있어서는 실험사료를 공급한 실험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값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10^5$ CFU/kg 실험구와 $10^7$ CFU/kg 실험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확인하였다. 혈청의 lysozyme 및 백혈구 활성에 있어서도 실험사료를 투여한 실험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높은 활성을 확인 하였다. 공격실험 결과, Streptococcus inae를 접종한지 5일째부터 폐사가 시작되어 7일째 일반사료를 투여한 대조구에서는 100% 폐사율을 보인 반면, $10^3$ CFU/kg 실험구에서는 73%의 폐사율을 $10^5$ CFU/kg 실험구에서는 53%의 폐사율을 나타냈으며, $10^7$ CFU/kg 실험구에서는 45%의 폐사율을 보여 대조구에 비해 많게는 55% 이상의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사료 내 첨가한 Bacillus sp. IS-2의 장내 생존 확인을 위해 실험이 종료 된 후 모든 실험구와 대조구 실험어의 장을 분리하여 배양 된 균체를 DNA를 분리 한 후에 제작 된 ditection primer를 이용한 PCR 결과 일반사료를 투여한 대조구를 제외한 모든 실험구에서 1,465 bp의 PCR product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를 토대로 양식넙치 사료 내 Bacillus sp. IS-2의 첨가는 양식넙치의 성장 및 면역증강, S. iniae에 대한 병정항성에 좋은 효과를 나타내어 사료첨가제로써의 이용 가능성이 클 것이라 사료된다.

영아 수유 방법에 관한 실태 조사 연구 - 경기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fant feeding methods)

  • 조윤경;이수원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3권2호
    • /
    • pp.169-181
    • /
    • 1997
  • In this study, I made researches of 510 mothers who breed their infants in total (256 boys & 254 girls), among which 410 in urban area and 100 in the rural area, as an object of the investigation so as to make an intensive examination and analysis of the actual state of feeding nutritive method, grasp several related factors, and finally suggest the elementary data for both campaign encouraging breast feeding and the infant feeding education. 1. Mothers showed the meaningful local differences as in an education and income level at 1% and as in a delivery type at 5%. 2. To have decided the feeding conditions according to the residences by the Kaup index distribution (P<0.05) resulted in a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regions and also made us be more thoughtful of the overnutrition in the urban area than in the rural area, and it didn't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the nutritive state according to the infant feeding method thought desirable (P<0.01). 3. The feeding methods consist of breast feeding at 21.8%, artificial feeding at 48.8%, and the mixed one at 29.4%. As for the feeding method thought desirable, breast feeding was 52%. Even though they were thinking that breast feeding is better, the breast feeding case didn't go beyond 32.5% only and as for the actual feeding methods it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feeding method thought desirable (P<0.01). 4. Regarding the reasons why they chose breast milk, it was 64%, the most because mother's milk contains the immune system, 63.1% for the baby's health, 52.3% because of its most because breast milk is of little quantity, 37.8% because of the mother's occupation, 14.1% because they have fed the baby artificially from the beginning and so on. Considering the reasons why they chose the mixed feeding, it was 70.7%, the most because the amount of breast milk a little, 27.3%, the next one, because of the mother's occupation and so on. 5. The respondents who answered that how to increase the number of breast feeding population depends on the reinforcement of breast feeding education for the women were 190 (37.3%), the most among all 150 persons and those who had the opinion that they should spread and actualize the temporary childcare rest (from office) system for the women who have jobs were the secondly most, 107 (21%).

  • PDF

Osmotic pump를 이용한 암컷 뱀장어(Anguilla japonica)의 성성숙 유도 (Induction of Sexual Maturation in Female Eels (Anguilla japonica) Using an Osmotic Pump)

  • 김정현;김대근;김효원;이배익;김신권;전제천;명정인;김대중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0호
    • /
    • pp.1097-1103
    • /
    • 2017
  • 뱀장어(Anguilla japonica)의 인공종묘생산은 연어뇌하수체추출물(SPE, salmon pituitary extract)을 암컷 뱀장어에게 지속적인 투여를 하고 인위적으로 성성숙을 유도로 얻은 난과 정자를 인공수정을 하고 부화 시켜 생산한다. 하지만 SPE를 반복적으로 복강에 주사하는 방법은 암컷 뱀장어에게 많은 스트레스를 주며, 결국 스트레스로 인하여 완전한 성성숙을 하지 못하고 폐사에 이르게 되거나 배란한 난의 질이 좋지 않아 부화율과 자어의 생존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뱀장어의 성성숙 유도에 유효하다고 알려진 호르몬이 주입된 osmotic pump를 복강에 삽입 후 암컷 뱀장어의 성성숙 유도를 하였다. 본 연구결과 SPE를 투여한 실험어의 GSI가 hCG, GnRHa, MT를 각각 또는 함께 투여한 실험구 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조직학적 분석결과에서도 난소의 난모세포가 핵이동기 단계로 발달되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결과를 통해 osmotic pump를 이용한 암컷 뱀장어 인위적 성성숙 유도 방법으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