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emisia capillaris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25초

토끼의 음경해면체평활근에 대한 인진쑥 성분인 scoparone의 효과 (The Effect of Scoparone from Artemisia Capillaris on the Smooth Muscle of Rabbit Penile Corpus Cavernosum)

  • 김혜경;박종관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5
    • /
    • 2011
  • Purpose: 본 연구는 토끼의 음경해면체 조직에 대한 인진쑥의 에탄올 추출물과 그 성분 중의 하나인 scoparone의 효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Methods: 체중이 2.5-3.0 Kg의 New Zealand백색 가토를 사용하여 음경 전체를 골반골로부터 분리하여 요도를 제거한 후 백막을 보유한 음경해면체를 2 mL organ chamber 관류모형에 연결하고, $10^{-5}M$의 phenylephrine을 관류하여 음경해면체를 수축시킨 후 0.1, 0.5, 1, 2 mg/mL의 에탄올 추출물 또는 $10^{-7}$, $10^{-6}$, $10^{-5}$, $10^{-4}M$의 scoparone을 녹인 용액으로 관류시켜 음경의 장력 변화를 측정하였다. 기존의 발기부전 치료제로 사용되는 실데나필에 대한 인진쑥과의 상호작용을 검토하기 위하여$10^{-6}M$의 scoparone과 $10^{-8}M$의 실데나필을 병용 사용 시 음경해면체 조직에 대한 효과도 함께 검토하였다. Results: 인진쑥의 에탄올 추출물은 phenylephrine으로 전처리하여 수축시킨 음경해면체 평활근을 농도 의존적으로 효과적으로 이완시켰으며 scoparone도 음경해면체 조직에 대한 이완작용 또한 농도 의존적으로 강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데나필로 전처리한 음경해면체 조직에 대한 scoparone의 효과는 scoparone만을 단독으로 관류시킨 조직에서의 효과보다 강하게 나타났으며 실데나필과 scoparone의 병용사용은 실데나필의 효능을 2배 이상 증가시켰다. Conclusions: Scoparone은 실데나필의 음경해면체평활근 작용을 증가시킴으로써 실데나필에 완전히 반응하지 않는 환자들의 발기부전 치료효과 향상에 유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수종 생약재의 간염 B형 바이러스 증식 억제 활성 검색 (Screening of Some Plant Extracts for Inhibitory Activities on Hepatitis B Virus Replication)

  • 김태균;한형미;강석연;정기경;김승희
    • 생약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38-243
    • /
    • 1999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test for anti-hepatitis B virus (HBV) activity of the aqueous extracts prepared from 9 medicinal plants of Korea (Cornus officinalis, Caesalpinia sappan, Rubus coreanus, Lycium chinense, Artemisia capillaris, Isatis tinctoria, Phyllanthus urinaria, Lysimachia christinae, Lonicera japonica). Aqueous extracts were tested for cytotoxicity and assayed for inhibition of HBV replication by measurement of HBV DNA and surface antigen (HBsAg) levels in the extracellular medium f HepG2 2.2.15 cells. The extract from Rubus coreanus, Artemisia capillaris, Phyllanthus urinaria decreased the levels of extracellular HBV virion DNA at concentrations ranging from 128 to $256\;{\mu}g/ml$ and inhibited the production fo HBsAg dose-dependently without showing cytotoxicity.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se three hebal medicinal plants may have potential to develop as specific anti-HBV drugs in the future.

  • PDF

이뇨성(利尿性) 생약(生藥)의 약리학적(藥理學的) 연구(硏究) (A pharmacological Study of Diuretic Medicinal Plants)

  • 안영란;김학성;박정섭
    • 생약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99-102
    • /
    • 1978
  • Several kinds of medicinal plants are used as diuretics in folk medicines and oriental drugs. The diuretic action of water extracts of the ten kinds of crude drugs, such as Pachyma hoelen $R_{UMPHIUS}$ Zea mays L., Akebia quinata $D_{ECAISNE}$, Alisma orientale Juzepezuk, Atractylodes koreana $N_{AKAI}$, phytolacca americana L., Achyranthes japo-nica $N_{AKAI}$, Juncus decipiens $N_{AKAI}$, Prunella asiatica $N_{AKAI}$ and Artemisia capillaris $T_{HUNBERG}$ was examined in mouse and compared with aminophylline as a control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e urine volume was found to be remarkably increased by the Pachyma hoelen RUMPHIUS, Phytolacca americana L., Prunella asiatica $N_{AKAI}$ and Artemisia capillaris $T_{HUNBERG}$, moderately increased by the Akebia quinata $D_{ECAISNE}$, Achyranthes japonica $N_{AKAI}$ and Juncus decipiens $N_{AKAI}$, and slightly increased by Zea mays $L_{ENNE}$, Alisma orientale $J_{UZFPEZUK}$ and Atractylodes koreana $N_{AKAI}$.

  • PDF

가시상추의 한국 적응 유형 (Adaptation Patterns of Prickly Lettuce in Korea)

  • 이종운;신상천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31-136
    • /
    • 1998
  • 외근에 귀화한 가시상추(Lactuca serriola)의 분산과 적응을 연구하였다. 가시ㅛ 추의 분포는 한반도 중부지방의 남부에 제한되었다. 그 분포지역은 인간에 의한 이동으로 점차 확산되고 잇었다. 10개의 조사지역의 관측결과 천이의 초기단뎨에 있는 노변식생으로 나타났다. 즉 측수의 90%의 초본층과 5%의 관목층으로 구성되었으나 교목층은 없었다. 우점종군은 Kummeroverowia stipulacea, Ixeris chimensis, Ambrosia artemisiifolia., Lactuca indica, Tiungia sonchifolia, Cephalonoplos segetum, Rubus parvifolius, Ixeris polycephala, Hemistepta Lyrata, Cercis chinensis Artemisia capillaris 이었다. 조사지역은 식생의 높은 상이도로 4개유형으로 구분되지만 많은 우형이 나타나는 것은 아직 가시상추의 특유한 군락은 형성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였다.

  • PDF

수집 쑥속 자원의 생육특성 모형 (Growth Characteristic Models of Collected Artemisia Resources)

  • 유주한;조흥원;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67-373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쑥속 자원에 대한 생육인자간 상관성 구명과 생육인자 모형 개발을 위해 수행하였다. 생육인자의 특성에서 초장 초폭, 엽병장, 엽록소량은 더위지기, 엽장은 넓은잎외잎쑥, 엽폭은 쑥, 줄기직경은 뺑쑥, 엾두께는 더위지기, 쑥, 산쑥, 넓은 잎외잎쑥, 그늘쑥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생육인자 간 상관분석 결과 사철쑥은 엽폭과 줄기직경, 산쑥은 초장과 초폭, 넓은잎외잎쑥은 초장과 엽폭, 나머지 종들은 엽장과 엽폭이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생육인자 모형 분석 결과 사철쑥은 약 $79.4\%$, 쑥은 약 $91.7\%$, 산쑥은 약 $70.3\%$, 더위지기는 약 $49.0\%$, 넓은잎외잎쑥은 약 $72.5\%$, 그늘쑥은 약 $75.0\%$, 뺑쑥은 약 $60.4\%$, 덤불쑥은 약 $54.4\%$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Scoparone from Artemisia capillaris Inhibits the Release of Inflammatory Mediators in RAW 264.7 Cells upon Stimulation Cells by Interferon-${\gamma}$ Plus LPS

  • Jang Seon Il;Kim Young-Jun;Lee Woo-Yiel;Kwak Kyung Chell;Baek Seung Hwa;Kwak Gyu Beum;Yun Young-Gab;Kwon Tae-Oh;Chung Hun Taeg;Chai Kyu-Yu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8권2호
    • /
    • pp.203-208
    • /
    • 2005
  • Scoparone is a major component of the shoot of Artemisia capillaris (Compositae), which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hepatitis and biliary tract infection in oriental countries. In the present study we observed that, scorparone exhibited no cytotoxic effect in unstimulated macrophages, but reduced the release of nitric oxide (NO) and prostaglandin $E_2\;(PGE_2)$ upon stimulation by IFN-${\gamma}$/LPS or LPS. The inhibitory effects were found to be in conjuction with the sup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in IFN-${\gamma}$/LPS stimulated RAW 264.7 cells. Moreover, scoparone also attenuated the production of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leukin (IL)-$1{\beta}$ and IL-6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coparone decreases the production of the 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NO and $PGE_2$ in macrophages by inhibiting iNOS and COX-2 expression.

장내 미생물 개선효과가 있는 약용식물소재 탐색 (Search for Medicinal Plants on Improvable Effect of Intestinal Microflora)

  • 조인숙;한영희;이지영;박경열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6-29
    • /
    • 2007
  • 장내미생물 개선에 효과가 있는 약용식물소재들을 탐색하여 정장제품 개발하고자 13종의 식물을 물과 에탄올로 각각 추출하여 농도별로 유해균인 C. perfringens, E. coli와 유익균인 B. longum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in vitro실험으로 시험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가. C. perfringens은 민들레와 인진쑥 물 추출물에, 돌나물, 오미자, 민들레, 부추, 생강, 쑥, 인진쑥, 질경이 에탄올추출물에 강하게 생육억제 되었다. 나. E. coli은 돌나물, 오미자 물과 에탄올 추출물에서 강하게 생육억제 되었다. 다. B. longum은 추출용매에 관계없이 생육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았다. 라. 돌나물과 오미자 에탄올추출물이 유익균에 생육억제 없이, 두 유해균을 억제됨으로서 이들 소재가 정장제품으로의 개발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되었다.

사철쑥의 재배년수에 따른 생육과 약리성분 변화 (Changes of Pharmacological Components and Growth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ultivation Years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

  • 최소라;유동현;주인옥;장익;김종엽;박춘봉;류정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7-61
    • /
    • 2008
  • 사철쑥 (Artemisia capillaris Thunb.) 재배년수별 생육과 약리성분 함량을 조사한 결과 월동률은 1년생은 95.3%이었으나 2년생은 64.2%로 매우 저조하였다. 초장의 경우 2년생은 123.8 cm로 가장 높았다. 그러나 경수와 분지수는 재배년수에 따른 차이가 크게 나타나 3년생에서 높았다. 3년생은 2년생에 비해 분지수는 많은 반면 초장은 낮았는데 이는 분지의 발달에 따라 영양분이 분산되어 사용되었기 때문으로 추측되었다. 생체중은 3년생에서 200.0 g으로 가장 높았다. 그러나 유효성분인 scoparone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종실의 무게는 2년생에서 109.6g로 높은 반면 3년생은 96.4g으로 낮았다. 일반성분의 경우 1년생은 조단백과 조회분이 많고 2, 3년생은 조지방과 조섬유가 많았으며 특히 줄기의 조섬유 함량이 3년생에서 높았다. 약리성분 함량은 2년생 종실에서 가장 높았는데 scoparone은 6.5mg/g DW, capillarisin은 1.65mg/g DW이 함유되어 있었다.

Mechanism of Relaxation of Rat Aorta by Scopoletin; an Active Constituent of Artemisia Capillaris

  • Kwon Eui Kwang;Jin Sang Sik;oChoi Min H;Hwang Kyung Taek;Shim Jin Chan;Hwang Il Taek;Han Jong Hyun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89-396
    • /
    • 2002
  • In the present work, we examined the mechanism of vasorelaxant effect of scopoletin, an active constituent of Artemisia capillaris on rat thoracic descending aortic rings. Scopoletin induced a concentration-dependent relaxation in rat thoracic descending aortic rings pre-contracted with phenylephrine (EC/sub 50/ = 238.94±37.4 μM), while it was less effective in rat thoracic descending aortic rings precontracted with high potassium solution (KCI 30 mM). Vasorelaxation by scopoletin was significantly inhibited after endothelial removal, but recovered at high concentration. Pretreatment of rat thoracic descending aortic rings with N/sup G/-nitro-L-arginine (100 μM), a nitric oxide synthase inhibitor, and atropine (1 μM), a muscarinic receptor antagonist, significantly inhibited scopoletin-induced relaxation of rat thoracic descending aortic rings. Neither indomethacin (3 μM), an inhibitor of cydooxygenase, nor propranolol (1 μM), a β -adrenoceptor antagonist, modified the effect of scopoletin. The combination of N/sup G/ -nitro-L-arginine (100 μ M) and miconazole (10 μ M), an inhibitor of cytochrome P 450, did not modify the effect of scopoletin, when compared with pretreatment with N/sup G/-nitro-L-arginine(100 μM) alone. Vasorelaxant effect of scopoletin was inverted by pretreatment with diltiazem (10 μM), a Ca/sup 2+/-channel blocker, at low concentration, while restored at high concentration. Apamin (K/sub ca/-channel blocker, 1 μM), 4-aminopyridine (4-AP, K/sub v/-channel blocker, 1 mM), and tetrodotoxin (TTX, Na/sup +/-channel blocker 1 μM) potentiated the vasorelaxant effect of scopoledn, but glibendamide (K/sub ATP/-channel blocker, 10 μM), tetraetylammonium(TEA, non-selective K-channel blocker, 10 mM) did not affect the relaxation of scopoletin. Free radical scavengers (TEMPO, catalase, mannitol) did not modify vascular to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nitric oxide, Ca/sup 2+/ -channels play a role in endothelium-dependent relaxations to scopoletin in rat aortas, that apamin, 4-AP, TTX but not glibenclamide, TEA potentiated relaxation to scopoletin mediated by these channels, and that free radicals do not concern to the vasorelaxant effect of scopoletin.

초음파 병행 추출을 이용한 가시오갈피, 마황, 복분자 및 인진쑥의 항암활성 증진 (Improvement of Anticancer Activation of Ultrasonificated Extracts from Acanthopanax senticosus Harms, Ephedra sinica Stapf, Rubus coreanus Miq. and Artemisia capillaris Thunb)

  • 박진홍;이현수;문형철;김대호;성낙술;정해곤;방진기;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73-278
    • /
    • 2004
  • 한국산 생약재인 가시오갈피 , 마황, 복분자, 인진쑥을 이용하여 추출과정 중 $40^{\circ}C,\;60^{\circ}C,\;100^{\circ}C$로 온도를 달리 하여 기존의 열수 추출방법과 초음파를 범행한 추출로 인해 면역 활성 증진이 다르게 나타나는 효과를 비교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여러 조건 중 복분자 $60^{\circ}C$, 40 kHz의 초음파 병행 추출물이 가장 좋은 항암활성 증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추출시 모든 열수 추출물들에 비해 초음파 병행 추출물의 추출 수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추출시 열수 추출에서 미쳐 빠져나오지 않았던 여러 활성 물질이 초음파 처리에 의해 공동화현상과 더불어 액체간의 상호 탈기 작용에 의해 추출 수율의 상승효과를 가져온 것으로 사료된다. Apoptosis 실험에서는 5일 동안 인간 폐암 세포인 A549의 세포를 이용하여 활성이 좋았던 마황과 복분자의 $60^{\circ}C$ 열수 추출물과 초음파 추출을 병행한 추출물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apoptotic이 열수 추출물보다는 초음파 병행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더 많이 관찰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와 마찬가지로 HL-60 세포분화능 실험에서도 열수 추출물보다는 초음파를 병행한 추출물들이 높은 세포 분화 활성도를 나타냈다. 또한 모든 조건 중에서 생약재들이 $60^{\circ}C$, 40 kHz 초음파 병행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세포 분화 활성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앞으로 한국산 생약재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더 많은 실험을 통하여 초음파의 병행 처리에 따른 효과와 이를 통한 기능성 소재 및 기능성 식품으로의 이용을 위해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