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ea measurement

검색결과 3,944건 처리시간 0.039초

직사각형 덮기 과제를 해결하면서 나타난 초등학생의 어림 측정 전략 (Children's Strategies for Measurement Estimation of Rectangular Covering Tasks)

  • 이종욱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9권3호
    • /
    • pp.375-387
    • /
    • 2010
  • The focus of this article is the strategies young children use to solve rectangular covering tasks before they have been taught area measurement. seventy nine children from Grade 1 to 4 were observed while they solved various array-based tasks, and their drawing and explanatio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Children's solution strategies were classified into incomplete covering, inadequate array, array constructed from moveable unit, measurement of one dimension, measurement of two dimension, and calculation. Implications for the learning of area measurement are addressed.

평면도형의 둘레와 넓이, 입체도형의 겉넓이와 부피에 대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수행 능력 조사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six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out the perimeter and area of plane figure and the surface area and volume of solid figure)

  • 임영빈;임예은;김수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8권2호
    • /
    • pp.283-298
    • /
    • 2019
  •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포함된 측정 속성 가운데 둘레와 넓이, 겉넓이와 부피는 5, 6학년에서 집중적으로 다루어진다. 그러나 이 영역에서 학생들의 수행능력이 어느 정도가 되며 어떤 문제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이 연구는 평면도형의 둘레와 넓이, 입체도형의 겉넓이와 부피에 대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이해 정도를 진단하고, 각 요소별 수행 능력을 비교 분석하여 차후 수학 교과서 개발 및 측정 영역 지도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둘레, 넓이, 겉넓이, 부피, 둘레와 넓이의 관계, 겉넓이와 부피의 관계에 관련된 문항을 구성하여 6학년 학생 95명을 대상으로 수행 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초등학교 6학년들의 수행능력이 둘레, 겉넓이, 둘레와 넓이의 관계, 겉넓이와 부피의 관계 영역에서 특히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둘레와 넓이, 겉넓이와 부피 개념의 도입 순서와 지도 방법, 지도 순서 등에 대한 몇 가지 아이디어를 제안하였다.

초등수학 교과서의 도형 및 측정 영역에 제시된 발문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the Questions Presented in Shapes Area and Measurement Area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도주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5권4호
    • /
    • pp.313-328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서의 도형 및 측정 영역에 제시된 발문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수학 교과서의 도형 영역과 측정 영역에 제시된 발문의 유형과 작용하는 기능을 영역별, 학년군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도형 영역과 측정 영역 모두에서 1~2학년군에 비해 3~4학년군에서 차시 당 발문의 횟수가 급격하게 늘어났다. 이 두 영역에는 공통되게 추론 발문이 가장 많이 제시되어 있는데, 도형 영역에 비해 측정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제시되어 있다. 영역별로 제시된 발문은 작용 기능별 비중은 서로 다르지만 공통되게 주로 수학적 추론을 돕는 기능, 수학적으로 올바른 판단을 돕는 기능, 문제의 추측, 발명, 해결을 돕는 기능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파악한 발문의 특성은 도형 및 측정 영역 지도에 적합한 발문의 구안 및 활용에 대한 교수·학습상의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으며, 교과용 도서 집필 시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동의 사각형 면적 측정 전략에 관한 연구 (Strategies Used by Young Children in Rectangular Area Measurement Tasks)

  • 이정욱;이혜원
    • 아동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3-29
    • /
    • 2004
  • In this study of strategies used by young children in solving rectangular covering tasks before they have been taught area measurement, 75 5-, 6-, and 7-year-old children were asked to solve 3 rectangular covering tasks with a moveable unit. Three different sized units (4 cm., 2 cm., and 1 cm. cardboard squares) were provided and the children were asked to work out how many would be needed to cover a drawn rectangle. The resulting 5 developmental levels include incomplete covering, incomplete arrangement, complete covering, estimating, and measuring. Children using more advanced strategies were able to find correct number of units. While the tendency among older children was to use more advanced strategies, even 5-year-olds had an intuitive understanding of rectangular area measurement.

  • PDF

결혼만족도 연구와 척도의 고찰을 통한 새로운 연구 방향과 척도의 모색 (Marital Relations: A Crithical Review and Development of Measurement)

  • 정현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91-204
    • /
    • 1997
  • Reserarch on marital satisfaction adjustment or quality has been one of the most frequently studies area of the investigation in the family field. Yet there has been many problems with the theory and empirical work in this area especially in the area of definitional ambiguity problems of dimensionality level of analysis and problems of measurement. This article is a critical review of this work including both theoretical and empirical problems that typically have occured with the previous research Also a section on suggested modifications for future research in this area and a section of suggestion of new marital satisfaction measurement are included.

  • PDF

Estimating the AUC of the MROC curve in the presence of measurement errors

  • G, Siva;R, Vishnu Vardhan;Kamath, Asha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29권5호
    • /
    • pp.533-545
    • /
    • 2022
  • Collection of data on several variables, especially in the field of medicine, results in the problem of measurement errors. The presence of such measurement errors may influence the outcomes or estimates of the parameter in the model. In classification scenario, the presence of measurement errors will affect the intrinsic cum summary measures of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In the context of ROC curve, only a few researchers have attempted to study the problem of measurement errors in estimating the area under their respective ROC curves in the framework of univariate setup. In this paper, we work on the estimation of area under the multivariate ROC curve in the presence of measurement errors. The proposed work is supported with a real dataset and simulation studies.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bias-corrected estimator helps in correcting the AUC with minimum bias and minimum mean square error.

조위관측기록 이미지로부터의 그래프 영역 분리 (Graph Area Separation from A Sea Level Measurement Recording Image)

  • 유영중;박성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75-182
    • /
    • 2013
  • 아날로그 형태로 기록되어지는 조위관측 기록의 디지털화는 많은 해양 관련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조위관측 기록 디지털화의 한 부분인 그래프 영역 분리에 관한 방법을 제안한다. 사용자가 그래프 영역으로 간주되는 하나의 픽셀을 선택하면, 선택된 픽셀의 색상을 이용해 이미지의 상당 부분을 구성하는 배경 픽셀들을 분리한다. 남아 있는 배경 픽셀들과 그래프 영역 픽셀들을 구분하기 위해, 각 열에서 하나의 그래프 픽셀을 결정하고, 이 픽셀을 중심으로 그래프 영역을 분리한다. 실험결과는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이 이전의 그래프 영역 분리 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고, 원 이미지의 그래프 영역과 유사한 그래프 영역을 검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CT를 이용한 지방측정에 ADMIRE 알고리즘이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MIRE Algorithms on Fat Measurements Using Computed Tomography (CT))

  • 이창욱;이상헌;임인철;이효영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465-472
    • /
    • 2019
  • 본 연구는 CT를 이용한 지방측정(Fat measurement)에 반복 재구성법(IR)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기존의 필터보정 역투영법(FBP)과 비교하여 고급 모델링 반복 재구성법(ADMIRE)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CT Fat measurement에 ADMIRE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 결과 기존의 Filtered back projection과 비교하여 Visceral fat area, Subcutaneous fat area, V/S Ratio, Visceral fat area의 HU 그리고 Subcutaneous fat area의 HU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ADMIRE Strength가 커질수록 Visceral fat area의 Noise는 최대 12%, Subcutaneous fat area의 Noise는 최대 19% 감소하였다. 그리고 CT를 이용한 Fat measurement에서 내장지방과 피하지방 측정에 ADMIRE 알고리즘은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았다.

DTV 커버리지 측정을 위한 다중 안테나 이동측정시스템 (A Multi-Antenna Mobile Measurement System for DTV Coverage Measurement)

  • 정영석;양해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1호
    • /
    • pp.85-94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기존 DTV 커버리지 측정차량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효율적으로 전파 음영지역을 찾아내기 위해 고정식 DTV전파측정차량의 기능을 포함하면서도 이동하며 전파수신현황 및 수신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다중 안테나 이동측정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모두 4개의 무지향성(omni-directional)안테나와 고정측정을 위한 1개의 지향성(directional)안테나를 포함하며, 공간 다이버시티(space diversity)를 활용하여 운용할 수 있도록 각각의 안테나마다 측정장비를 배치하고 각각의 측정값을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처리한다. 제안된 시스템의 효용성을 보이기 위해 국내 수신 전파 환경을 3가지 유형으로 모델링하고 이들 지역에서 집중적인 측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측정 결과의 상세한 분석을 토대로 이동측정 및 고정측정간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특히 제안된 시스템의 적용을 위한 실험에는 방송사 현업 실무자들이 측정 및 결과 정리에 공동으로 참여하는 등 객관성을 확보하고자 하였으며 개발 장비를 국책 연구기관의 인위적 난시청 조사사업에 일부 적용하는 등 실제 방송 커버리지 관리 업무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3차원 측정시스템을 이용한 유방부피 및 유저면적의 측정 (Measurement of Breast Volume and the Area of Breast Base Using 3D Measurement System)

  • 이현영;이옥경;홍경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70-276
    • /
    • 2003
  • Methodology was suggested to analyze breast volume, base area of breast bulk. and surface area of breast using the 3D measurement system. Thirty-seven middle-aged (30s-40s) women wearing 80A brassiere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Image of the upper body was captured by Phase-shifting moire. The posture of the subject was adjusted to get the full image of the right breast. Rapidform 2001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images. The mean breast volume was 547.0㎤ and mean base area of breast bulk was 235. I$\textrm{cm}^2$ It was also found that the volume(r=0.169) and surface area of breast(r=10.242) were loosely correlated with the circumference difference between top and under breast. Therefore, it is noted that current selection criterion of cup size based on the difference in the two kinds of breast circumference is inadequat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sign of ergonomic brassiere as well as surgical operations in the medical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