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chive

검색결과 1,779건 처리시간 0.033초

기록사랑마을 운영현황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I군 기록사랑마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an Archive Village Project and Its Improvement Plan: The Case of I County)

  • 오유진;한희정;육혜인;김수정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7-30
    • /
    • 2015
  • 국가기록원은 민간영역의 중요 기록물을 보호하고 기록문화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2008년부터 매년 '기록사랑마을'을 지정하여 지원 운영해오고 있다. 기록사랑마을은 국가 재정지원을 받는 사업인 만큼 예산사용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사업의 방향성을 재정립하기 위하여 본래의 사업 목적을 기준으로 현재 현황을 점검하고 살펴보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록사랑마을 중 I군을 방문하여 접근성, 전시내용 및 방법, 시설 및 장비 등을 관찰을 통해 조사하였다. 또한 3명의 지역 관계자, 8명의 마을주민, 1명의 국가기록원 담당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기록사랑마을의 운영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장차 기록사랑마을 사업을 활성화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기록사랑마을의 효과적인 이용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향후 보다 많은 마을에서 그 지역의 민간기록물을 수집 관리 및 활용 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마을 아카이브를 도입한 백령도 탐방로 조성계획 (Planning for Baekryeong Island Trail Introducing Local Archive)

  • 홍정식;이보미;안덕초;강은지;서종경;김용근
    • 농촌계획
    • /
    • 제21권1호
    • /
    • pp.143-154
    • /
    • 2015
  • This study has set up a plan to establish a trail as a means of maximizing a community by using the residents' living materials and unused facilities that a village holds now. A local archive is a place where the records and living materials collected from a village are preserved, displayed and shared with others, serving as a complex space with multiple functions. To apply the idea of 'utilizing a local archive', the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by making an analysis of trail resources of Baekryeong Island and local archive application resources. Local archive resources were selected through evaluation of connection of trail routes by investigating and discovering the unused facilities of Baekryeong Island village and the depreciation level and scale of them. And actual local archive living references were investigated and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of villagers. Also, through planning of trails by region, limitations of investigation activities were improved and various tangible and intangible resources owned by Baekryeong Island were utilized to enable effective and distinctive investigation activities and experiences. Unused facilities were surveyed and chosen to take advantage of the local archive space, along with in-depth interviews with the residents living in Baekryeong Island. In addition, the current conditions for the trail routes were checked out in order to 'point out the final routes'.

아카이브 2.0 구축을 위한 이론적 고찰 (A Theoretical Study on Establishing Archive 2.0)

  • 김유승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31-52
    • /
    • 2010
  • 본 연구는 아카이브와 웹 2.0의 단순한 결합이 아닌, 이용자를 중심으로 하는 아카이브 관리 운영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의 아카이브 2.0을 연구한다. 기존의 아카이브를 지칭하는 아카이브 1.0과 관리운영, 이용자관계, 아키비스트의 역할이라는 3가지 측면에서 명확히 구분되는 다양한 특징으로 아카이브 2.0의 개념을 논하고, 적용 기술에 따른 기록정보서비스의 유형과 이용자 참여 유형을 다수의 사례를 들어 분석한다. 이를 통해, 아카이브 2.0의 핵심 요소인 이용자중심성과 개방성에 가장 부합하는 서비스 형식이라 할 수 있는 위키 형식의 기록정보서비스로 '유어 아카이브즈(Your Archives)'와 '아워 아카이브즈(Our Archives)'의 사례를 살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아카이브 2.0의 편익과 문제점들을 알아보고, 아카이브 2.0 구축을 위한 정책적, 기술적, 조직적 필수 요소들을 논의한다.

도서관 사서 아카이브 구축 방안 연구 (A Study on Building Libraries and Librarian Archive)

  • 강민지;이해영
    • 기록학연구
    • /
    • 제80호
    • /
    • pp.89-128
    • /
    • 2024
  • 이 연구에서는 기록이 '정체성 강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보고, 직업 아카이브가 직업에 대한 역사와 문화를 보존함으로써 직업에 대한 자부심과 정체성 확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도서관 사서를 중심으로 '도서관 사서 아카이브'를 구축함으로써 도서관 사서와 관련된 기록을 보존하고 사서 간 경험과 지식을 공유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이와 같은 아카이브가 본인 스스로와 집단의 역사와 정체성을 확인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알아보고, 그 구축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사서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여 도서관 사서 아카이브에는 어떤 기록이 포함되어야 하는지, 어떤 기록이 사서의 정체성 강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지 등을 살펴보았다. 면담 결과 사서의 업무와 관련된 다양한 기록을 확인하였고, 사서의 역사와 관련된 기록도 확인하였다. 또한 도서관 사서와 관련한 역사적 사건이나 앞세대 사서들이 해왔던 도서관 서비스 등이 사서의 정체성을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도서관 사서 아카이브는 사서들에게 사서로서의 본인을 돌아보고 자신이 나아갈 방향을 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기관과 공동체 간의 협력을 통한 참여형 아카이브 구축을 제시하였다. 도서관 및 사서 기록은 한 기관만의 기록을 넘어 다양한 도서관과 공동체들의 기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도서관 사서 아카이브 구축을 통해서 사서의 직업 정체성 강화, 사서의 역사 공유, 집단 지성 플랫폼, 효율적인 업무처리, 도서관과 사서의 사회적 지위 향상 등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음식방문』의 조리학적 고찰 (Culinary Review of 『Eumsigbangmun』)

  • 차경희;유애령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92-108
    • /
    • 2014
  • "Eumsigbangmun(飮食方文)"is an old culinary archive written in 1880s and has been categorized into 144 parts, 86.5% of the archive deals with food, while the rest deals with clothing and dwelling. The contents of the food section are : recipe, storage, effect and taboo. The recipes are : 7 staple foods, 57 side dishes, 13 rice cakes, 5 Korean cookies and 7 drinks. The spices are : hot chilli pepper paste, soybean sauce and vinegar. The traditional alcoholic drinks are significant to the old culinary archive, but "Eumsigbangmun" has no record of it. Supplying food was a major problem during those times ; therefore, the archive introduces 17 methods of storing and engineering food, such as : storing vegetables and fruits, method of beef jerky, cleansing and storing of fishes. It also cautions about the traits and effects of fishes and meats. "Eumsigbangmun" is mostly similar to "Gyuhabchongseo(閨閤叢書)" and "Jusiksiui(酒食是儀)", however, it deals with / introduces unique foods such as doejomitang and yangjjim.

보현산천문대 관측자료 Archive 시스템 설계 및 구축 (ARCHIVE OF BOHYUNSAN OPTICAL ASTRONOMY OBSERVATORY(BOAO) ASTRONOMICAL DATA)

  • 성현일;김상철;남현웅;김봉규;임인성;윤요나
    • 천문학논총
    • /
    • 제18권1호
    • /
    • pp.43-49
    • /
    • 2003
  • Korean Astronomical Data Center (KADC, http://kadc.kao.re.kr) in Korea Astronomy Observatory (KAO) has constructed an archive of Bohyunsan Optical Astronomy Observatory (BOAO) 1.8m telescope data. The archive is consisted of photometric (1KCCD, 2KCCD) and spectroscopic data of 400GB amount for the period of 1997 to 2002,and the first web service is made of the data from 1997 to 2001. In the search page, primary search criterion of object name or coordinates is used. Users can also refine the search criteria using parameters such as observation date, observer(s), data type, and/or instrument. The data identified from the search can be uploaded to the FTP site for further downloading in FITS format. This archive is the first DB of astronomical data made in Korea.

사진 디지털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 민주화운동 사진기록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nstructing of Photographic Digital Archive : Focusing on the Photographs of Korean Democratization Movements)

  • 김명훈;현종철
    • 정보관리연구
    • /
    • 제37권3호
    • /
    • pp.139-163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민주화운동 관련 사진들을 기반으로 한 사진 디지털아카이브 구축 프로세스를 분석하였다. 사진 디지털아카이브를 디지털 객체를 대상으로 수집, 분류, 기술, 저장, 활용시키는 통합적 시스템으로 규정한 후, 사진의 고유성을 반영한 메타데이터의 도출 및 분류체계 수립 사례를 제시하였다. 특히 사진 디지털아카이브의 분류체계 수립 시, 기존의 기본분류체계 외에 다양한 검색어를 활용한 다원분류체계를 설계함으로써, 문자화된 의미전달이 부재한 사진들 간의 통합성 및 상호연계성을 창출시켜 활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학기록관 이용자의 기록정보서비스 인식에 관한 연구: J교육대학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Users' Perceptions of Archival Reference Services in a University Archive)

  • 김두리;김수정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9-47
    • /
    • 2014
  • 본 연구는 J교육대학교 기록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기록정보서비스에 대한 인식 및 경험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서비스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아카이브 매트릭스 프로젝트(Archival Metrics Project)에서 대학기록관의 기록정보서비스를 평가하기 위해 개발한 이용자 설문지를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이용자들의 기록관에 대한 인식, 이용현황, 직원에 대한 평가, 시설 및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47명에 대한 이용자 설문 결과와 기록연구사와의 면담결과를 바탕으로 기록관의 서비스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도서관과 기록보존소의 업무에 관한 비교분석 (A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Tasks Carried out in the Library and Archives)

  • 남궁황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7-136
    • /
    • 1999
  • 기록 보존학은 광의의 의미에서 기록보존자료를 수집, 보존 및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문헌정보학의 기본 개념과 유사하다. 역사학계나 행정학계에서도 나름대로 이론적, 논리적 근거를 가지고 기록보존학을 자기 학문영역에 흡수하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도 불구하고 문헌정보학계에서는 기록보존학에 관한 연구와 관심이 상대적으로 부족하고, 또한 이 학문에 대한 배타적 시각으로 바라보는 경향마저 있다. 본 연구는 도서관과 기록보존소에서 일반적으로 수행되는 각각의 업무와 특성을 상호 비교, 분석함으로써 이들 업무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하여 두 학문간의 접목 가능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 PDF

Fusion of Library, Archive, Museum, Publisher (LAMP): the NTNU Library Experience

  • Ke, Hao-Ren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4권2호
    • /
    • pp.66-74
    • /
    • 2016
  • The convergence of libraries, archives, and museums (LAMs) has garnered attention in recent years. Extending the tendency further, National Taiwan Normal University (NTNU) fuses the library, archive, museum, and publisher (LAMP) functionality together in its library. This article elaborates on the LAMP practices of the NTNU Library, which indicates that without creating new units in a university, its library can play a good role of curating invaluable university ass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