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Building Libraries and Librarian Archive

도서관 사서 아카이브 구축 방안 연구

  • 강민지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전공 ) ;
  • 이해영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Received : 2024.03.30
  • Accepted : 2024.04.18
  • Published : 2024.04.30

Abstract

This study believed that records could help 'strengthen identity' and that job archives could help provide pride and identity in one's job by preserving the history and culture of it.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building a librarian archive could help preserve records related to librarians, share experiences and knowledge among librarians, and confirm the history and identity of oneself and the group.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librarians to examine what records should be included and what records could help strengthen the librarian's identity.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various records related to the work of librarians were identified, and records related to the history of librarians were also confirmed. It was found that historical events related to librarians and library services provided by previous generations of librarians will help strengthen the identity of librarians. Thus, the Librarian Archive can help librarians reflect on themselves as librarians and decide on their own direction. This study presented a plan to build a librarian archive as a participatory archive through cooperation between institutions and communities. In this study, it was expected that through building a librarian archive, it would be possible to strengthen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librarians, share the history of librarians, create a collective intelligence platform, efficiently process work, and improve the social status of libraries and librarians.

이 연구에서는 기록이 '정체성 강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보고, 직업 아카이브가 직업에 대한 역사와 문화를 보존함으로써 직업에 대한 자부심과 정체성 확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도서관 사서를 중심으로 '도서관 사서 아카이브'를 구축함으로써 도서관 사서와 관련된 기록을 보존하고 사서 간 경험과 지식을 공유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이와 같은 아카이브가 본인 스스로와 집단의 역사와 정체성을 확인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알아보고, 그 구축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사서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여 도서관 사서 아카이브에는 어떤 기록이 포함되어야 하는지, 어떤 기록이 사서의 정체성 강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지 등을 살펴보았다. 면담 결과 사서의 업무와 관련된 다양한 기록을 확인하였고, 사서의 역사와 관련된 기록도 확인하였다. 또한 도서관 사서와 관련한 역사적 사건이나 앞세대 사서들이 해왔던 도서관 서비스 등이 사서의 정체성을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도서관 사서 아카이브는 사서들에게 사서로서의 본인을 돌아보고 자신이 나아갈 방향을 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기관과 공동체 간의 협력을 통한 참여형 아카이브 구축을 제시하였다. 도서관 및 사서 기록은 한 기관만의 기록을 넘어 다양한 도서관과 공동체들의 기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도서관 사서 아카이브 구축을 통해서 사서의 직업 정체성 강화, 사서의 역사 공유, 집단 지성 플랫폼, 효율적인 업무처리, 도서관과 사서의 사회적 지위 향상 등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다솜, 윤유라 (2022). 지역대표도서관의 추천도서목록의 현황과 과제. 인문사회 21, 13(6), 463-476.
  2. 김영석 (2013). 우리나라 16개 시.도 공공도서관의 인력 현황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4), 323-342.
  3. 박미라, 이응봉 (2010). 작은도서관 운동의 현 단계와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제17회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23-131.
  4. 박원석 (2020). 덕질 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전공.
  5. 박진경, 김유승 (2017). 참여형 디지털 아카이브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8(2), 219-243.
  6. 박태연 (2018). 참여형 아카이브 구축 사례를 통한아카이브 자생력에 관한 연구. 디지털문화아카이브지, 1, 53-60.
  7. 서혜란 (2018). 기록과 기록관리: 기록이란 무엇이며, 어떤 원칙에 의해서 관리되는가? 한국기록관리학회 (편), 기록관리의 이론과 실제 (pp. 13-34). 서울: 조은글터.
  8. 설문원 (2012). 로컬리티 기록화를 위한 참여형 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32, 3-44.
  9. 설문원 (2019). 기록이란 무엇인가: 활동의 고정적 재현물로서의 개념 탐구. 기록학연구, 59, 5-46.
  10. 손동유 (2019). 민간분야 공동체 아카이빙의 성과와 과제. 실천민속학 연구, 34, 39-63.
  11. 송기호 (2016). 의미 변별법을 활용한 공공도서관 사서의 자아상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0(3), 53-69. https://doi.org/10.4275/KSLIS.2016.50.3.053
  12. 송승섭 (2023). 한국 근대 도서관 100년의 여정. 서울: 도연문고.
  13. 안병직 (2007). 한국사회에서의 '기억'과 '역사'. 역사학보, 193, 275-306.
  14. 안인자, 황금숙, 노영희 (2008). 직무분석을 통한 국립중앙도서관사서의 핵심업무 및 전문사서 유형 개발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5(1), 129-148. https://doi.org/10.3743/KOSIM.2008.25.1.129
  15. 이경래, 이광석 (2013). 영국 공동체 아카이브 운동의 전개와 실천적 함의. 기록학연구, 37, 3-39.
  16. 이연옥 (2002). 한국 공공도서관 운동사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3), 233-258. https://doi.org/10.4275/KSLIS.2002.36.3.233
  17. 황동열 (2012). 문화.예술 아카이브의 중요성과 발전방안. 기록인, spring(vol.18), p.22-27.
  18. 현문수 (2014). 로컬리티 아카이브로서 참여형 노동 아카이브 개발 모형 설계. 기록학 연구,(41), 3-38. https://doi.org/10.20923/KJAS.2014.41.003
  19. Babbie, Earl R (2021). The Practice of Social Research. 고성호 외 옮김 (2021). 사회조사방법론. 서울: 센게이지러닝코리아.
  20. Korean Industrial Standards X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2021.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Records management (KS X ISO 15489)」.
  21. Yeo, Geoffrey (2007). Concepts of record (1): Evidence, information, and persistent representations. The American Archivist 70(Fall/Winter 2007), 315-343. https://doi.org/10.17723/aarc.70.2.u327764v1036756q
  22. 내일신문 (2023). "서비스 수요 느는데 사서 처우는 열악". 내일신문. 2023.6.22. https://m.naeil.com/m_news_view.php?id_art=464660
  23. 매일노동뉴스 (2019). 서울 공공도서관 사서 3명 중 1명 비정규직. 매일노동뉴스. 2019.10.30. https://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1182
  24. 한겨레 (2023). 도서관에 대해 시민이 바라는 것. 한겨레. 2023.10.27. https://www.hani.co.kr/arti/culture/book/1113854.html
  25. KBS NEWS (2021). 공공도서관 3곳 중 1곳.학교 절반, '사서 수 법정 최소 기준' 안 지켜. KBS NEWS. 2021.4.27.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17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