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titude test

검색결과 207건 처리시간 0.024초

일부 대학생의 직업가치관과 생활양식에 관한 융합연구 -치위생과 학생들을 중심으로- (Convergence Study on Job Value and Lifestyles in Some University Students -Focused on dental hygiene students-)

  • 신선행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190-197
    • /
    • 2019
  • 본 연구는 치위생과 학생들의 생활양식과 직업가치관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올바른 직업가치관 형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2018년 9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서울 지역의 치위생과 재학생 237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독립표본 평균검정, 일원 배치 분산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생활양식 수준은 3.27, 직업가치관 3.77이었고, 출생순위가 빠를수록 내재적 직업가치관이 높았다(p<0.05). 여자에서 도전·모험, 가족중심 생활양식이 높았으며(p<0.05). 생활양식과 직업가치관과는 상관성이 있었다(r=0.245, p<0.01). 대학생들의 생활양식이 직업가치관에 긍정적 의미를 지닐 수 있기 위해서는 직업가치관 관련 교육을 비롯하여 진로 적성 검사, 개별 상담 프로그램 적용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치과기공사 이미지와 전공만족도가 치기공과 학생의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ental technicians' image and major satisfaction upon dental technology students' dropout intention)

  • 권은자;김창희;김형미
    • 대한치과의료관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9-21
    • /
    • 202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dental technicians' image and major satisfaction on dental technology students' dropout inten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to 273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image of dental technicians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factors such as school year, personality, whether a family member is a dental technician or not, reason for choosing a department, difficulty in one's own academic life, and disciplinary life adaptation (p<0.05). The image of dental technicians was seen to be positively perceived when the respondent had an affirmative personality, or had a dental technician among family members or chose the department for its uniqueness, or found no difficulty in academic life, and adapted well to a situational or environmental change. Major satisfaction of dental technicians was seen a meaningful difference in items such as school year, personality, awareness of dental technicians, reason for choosing a department, the difficulty in own academic life, and the disciplinary life adaptation (p<0.05). Individuals with high major satisfaction and low dropout intention included those with a positive personality, who think affirmatively about dental technicians, who chose a department owing to suiting the aptitude and interest or to the uniqueness of the major. The influential factors on dropout intention included general satisfaction out of major satisfaction, perspective and self-confident image among dental technicians, and an awareness of dental technicians. The establishment of a desirable image of dental technicians and the improvement in major satisfaction are considered likely to contribute to reducing the dropout intention of dental technology students.

제7차 화학 I 교육과정의 목표, 내용 및 평가에 대한 화학교사들의 인식 및 수업의 실제 (Chemistry teachers' perceptions on aims, contents, and evaluations of the 7th Chemistry I Curriculum and realities of instruction in classrooms)

  • 김혜영;백성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53-665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실제 수업을 통해 이루어진 교수 상황과 면담을 통하여 제7차 화학I 교육과정이 화학 교사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화학I 교과를 가르쳐 본 경험을 가지고 있는 4명의 화학 교사를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화학 교사들은 제7차 교육과정 화학I 의 목표를 바르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실제 수업에서는 화학II 교과에 제시하는 개념들까지도 다루는 설명식 수업을 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그 이유가 대학수학능력시험 때문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기출문제를 분석한 결과, 화학I 교과를 벗어난 내용은 거의 없었다. 이를 통해 화학교사들은 제7차 화학I 교육과정의 목적을 피상적인 지식으로만 알고 있을 뿐 내면화하지 못하고 있으며, 평가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 7차 교육과정의 화학I 교과의 정신을 발현하는데 방해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신규간호사의 감성지능과 업무수행능력이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Clinical Competency o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New Graduate Nurses)

  • 정혜련;박정윤
    • 임상간호연구
    • /
    • 제30권2호
    • /
    • pp.94-103
    • /
    • 2024
  • Purpose: This study is descriptive research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clinical competency o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new graduate nurses. Methods: The subjects were 202 new graduate nurses in a tertiary general hospital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18 to April 1, 2021, using a self-reported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linical competency (r=.50, p<.001), emotional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r=.45, p<.001), and clinical competency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r=.36, p<.001) in new graduate nurses. The factors affecting th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new graduate nurses were emotional intelligence (β=.35, p<.001), clinical competency (β=.15, p=.034), desired department (β=.13, p=.031), and nursing value and vocational aptitude among motivation for selecting the nursing (β=.17, p=.014), and explained 25.0% of the variance i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new graduate nurs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clinical competency,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nd the factors affecting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new graduate nurses. To improve nurses' clinical competency in the medical field, a systematic education and support system is essential for new graduate nurses entering the profession. Therefore, nursing organizations should help new graduate nurses develop their work capabilities and adapt to the organization.

여학생 친화적 과학활동 프로그램의 운영 평가 (Evaluation on the Implementation of Girl Friendly Science Activity)

  • 전영석;신영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42-458
    • /
    • 2004
  • 여학생 친화적 과학 활동 프로그램의 활용 현황을 조사하고 시범운영 결과를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확대 보급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1999년 여성부의 연구용역으로 개발된 여학생 친화적 과학활동 자료는 5개 주제의 특기적성 교육자료와 7학년부터 10학년 까지의 심화 보충 학습자료들인데, 이 자료는 서울 지역의 과학교사 모임인 '신나는 과학을 만드는 사람들'의 홈페이지에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수록되었으며 한글 문서를 다운로드받아서 활용할 수도 있고 html 형식의 문서를 모니터 상에서 그대로 확인할 수도 있도록 하였다. 현재 여학생 친화적 과학활동 자료 홈페이지의 방문객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특기 적성 프로그램에 대한 시범 실시 결과, 개발된 자료는 개발 목적과의 일치도 및 내용 및 수준, 적용 효과에 대해서는 높은 점수를 얻었지만 교사 수행의 수월성, 조직과 운영 측면에서는 낮은 점수를 얻었다. 또한 학생들은 과학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었고, 간학문적인 활동을 통해 다양한 과학 경험을 하였다는 점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생각하였다. 한편, 학생들의 활동 내용에 대한 평가는 성공의 경험에 크게 좌우되며, 주로 오리고 자르고 붙이는 일로 이루어진 활동에 대한 평가 점수는 낮게 나타났다. 학생들의 성취도 검사에 의하면, 정의적 영역은 향상되었지만(p<0.05), 탐구 능력의 향상은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었다. 그러나 많은 시범 실시학교에서 협동 활동 및 토의 능력의 향상과 관찰, 추론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관찰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확대 보급을 위해서는 프로그램이 교사들의 지지를 얻고 이들의 교수 학습 전략을 변화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이에 따라 교사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교사 연수를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또한 프로그램의 추가 개발 및 국내 여성 과학 기술인을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교육 자료화하는것 등이 추후 실천해야할 과제로 남아있다.

고등학교 선행학습경험과 대학수학교과성적 및 대학학업성취도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or learning experience and mathematics achievement, GPA of college)

  • 이경희;이정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9권3호
    • /
    • pp.423-439
    • /
    • 2015
  •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의 고등학교 재학 시 선행학습경험, 내신등급, 수능수리영역등급과 대학에서의 대학수학교과성적, 대학학업성취도(GPA) 간의 관계를 보았다. 이를 통해, 고등학교 재학 시의 수학교과 학업능력이 대학 신입생의 대학수학교과성적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A대학교 2014학년 1학기에 개설된 '기초미적분학'을 수강한 이과대학 및 공과대학 신입생 19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성적 등 관련 자료를 활용하였다. 이들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분석, 차이검정, 일원변량분석(ANOVA), 사후검정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 대상 대학생의 90% 이상이 고등학교 재학 시 수학교과 선행학습을 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선행학습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은 필요성 인식보다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셋째, 대학수학교과성적과 대학학업성취도 간에는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내신등급과 대학학업성취도 간 및 수능수리영역등급과 대학수학교과성적 간에는 미미한 수준의 상관관계만 있었다. 넷째, 고교성적(내신등급, 수능수리영역등급), 선행학습노력, 선행학습만족도, 선행학습필요성이 대학수학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미미한 수준이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수학교과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긍정경험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경험 탐색 (Exploration on Teaching and Learning Experiences Improving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of Scientifically-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서선진;강훈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33-144
    • /
    • 2021
  • 이 연구에서는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긍정경험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경험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의 한 초등 과학영재교육원에서 과학영재교육을 받는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36명을 선정하였다. 선정한 학생을 대상으로 과학긍정경험 지표에 관한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토요일에 진행되는 과학영재수업이 끝난 후에 일부 학생을 대상으로 과학긍정경험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경험을 탐색하기 위해 개별적인 심층 면담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해당 초등 과학영재교육원의 과학영재수업은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긍정경험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긍정경험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경험으로는 선행연구의 일반 학생에게서 나타난 '체험 중심의 탐구 활동', '학생 주도적 수업', '긍정적이고 전문적인 피드백', '탐구를 통한 지식 구성', '학생의 흥미와 적성을 반영한 수업', '실생활과 관련된 소재 활용', '모둠활동에서의 원활한 협업과 소통', '학습 내용의 적절한 난이도'의 8가지 교수-학습 경험과 과학영재 학생에게서 새롭게 나타난 '과학적 창의성 향상 전략을 통한 학습 경험', '꼬마 과학자로서의 탐구 경험', '심화 또는 속진 학습 경험', '우수한 학생과의 학습 경험', '다른 학생을 도와준 경험', '높거나 낮은 성취 경험'의 6가지 교수-학습 경험을 추출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긍정경험 향상 방안에 대한 실제적인 시사점에 대해 논하였다.

간호사의 부서이동제도에 대한 만족과 조직몰입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Nurses' Satisfaction with the Job Rotation and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 전길정;이명하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27-144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d a basic administrative data for effective personnel management of nurses' by investigation their assessment and satisfaction with the job rotation and by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their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Nov. 20 to Nov. 25, 2000 through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taken by 280 nurses working at a university hospitals The 3 structured instruments were used for collecting the data; Questionnaires for measuring the utility and the problem of job rotation, Questionaires for measuring the satisfaction with the job rotation, and Mowday's Organizational Commitment Questionnaires. The data obtained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range,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Pea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t-test, one-way ANOVA, and chi-square test,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supporters for regular job rotation account for 67% while the opponents to it account for 33%. The chief reason for endorsing the regular job rotation is quoted ${\lceil}$to attain more diverse job experiences${\rfloor}$, followed in order by ${\lceil}$to improve the job motivation and morale through the realization of personal needs${\rfloor}$, ${\lceil}$to place the right man in the right position${\rfloor}$. The reasons for opposing to the regular job rotation were listed in order ${\lceil}$difficulties to secure the expertise of nursing${\rfloor}$, ${\lceil}$personal needs not fully reflected in the job rotation${\rfloor}$, ${\lceil}$job rotations prompted rather by the administrative needs than by personal aptitude and ability${\rfloor}$. 2. In the assessment of job rotation, the points affirming the utility of the job rotation are $2.60({\pm}.66)$ out of possible 5 points and those admitting the problems the job rotation are $3.58({\pm}.59)$. The satisfaction with the job rotation is rated at $2.98({\pm}.55)$. 3. In the analysis into the relation between the assessment of job rota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job rotation, fairly high positive correlation is revealed between the satisfaction and utility of job rotation, whereas, considerably high negative correlation is seen between the satisfaction and problems with the job rotation(p=.000). 4. There is relatively high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atisfaction with the job rot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p=.000). In conclusion, the utility of on the job rotation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job rotation have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satisfaction with the job rot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too. Therefore, it is thought desirable to take administrative strategies well as education to improve the recognition of the job rotation's utility and to reduce the recognition of the problems with the job rotation to remain in the direction toward contributing to enhancement of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 PDF

대학 일반 화학 수업에서 개념도 활용 전략의 효과 (The Effects of Concept Mapping Strategy in the Undergraduate General Chemistry Course)

  • 고한중;도은정;강석진
    • 대한화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86-192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일반화학 수업에서의 개념도 작성이 초등 예비교사의 성취도, 개념 이해도, 과학에 대한 불안감,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또한, 예비교사들의 학습 접근 방식과 개념도 작성 활동 사이의 적성-처치 상호작용 효과도 조사했다. 1개 교육대학교의 1학년 학생 69명을 처치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배정했다. 사전 검사로 학습 접근 방식, 과학에 대한 불안감, 과학교수효능감 검사를 실시했다. 처치는 9주 동안 진행되었는데, 처치 집단은 강의 후 개념도 작성을 했고, 통제 집단은 강의 후 교과서의 연습 문제를 풀었다. 처치가 끝난 후, 성취도, 개념 이해도, 과학에 대한 불안감, 과학교수효능감 검사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성취도 검사에서는 처치 집단의 점수가 통제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그러나 개념 이해도와 과학교수효능감에서는 처치 집단과 통제 집단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과학에 대한 불안감 검사에서는 처치 집단 학생들의 불안감이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학생들의 학습 접근 방식과 수업 처치 사이의 적성-처치 상호작용 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하이퍼텍스트의 정보구조를 제공한 e-Book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학습자의 정보처리유형이 학업성취도 및 사용편의성에 미치는 효과 (An e-Book Interface by Providing Visual Information of Hypertext Structure Will be Affect Learning Comprehension and Usability According to Learner's Learning Preferences)

  • 성은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483-496
    • /
    • 2012
  • 학습자의 정보처리유형에 따른 e-Book 인터페이스의 설계 및 개발은 학습자 중심의 적성처지교수를 위해 중요한 이슈가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이퍼텍스트 정보구조가 제공된 e-Book 학습환경에서 학습자의 정보처리유형이 학습내용 이해 및 사용 편의성에 있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검증해 봄으로써 보다 처방적인 e-Book 인터페이스의 설계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대학생 68명이 참여하였으며, 하이퍼텍스트 정보구조가 제공된 e-Book 콘텐츠를 통해 학습한 후 정보처리유형(시각 정보처리, 언어 정보처리)에 따른 학업성취도 (텍스트 구조 파악 및 학습내용이해)와 사용 편의성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학업성취도에 있어서는 정보처리 유형에 따라 텍스트 구조 파악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학습내용 이해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용 편의성에 있어서는 학습자의 정보처리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는 텍스트 구조 파악의 용이성, 텍스트 분량 파악의 용이성, 네비게이션의 용이성, 그리고 내용기억의 편의성 등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친 사용 편의성의 주요요인은 학습위치 파악의 용이성이었으며, 정보처리유형의 집단간 분류의 정확도는 79.4%로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e-Book 콘텐츠 설계 및 개발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에 논의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