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on the Implementation of Girl Friendly Science Activity

여학생 친화적 과학활동 프로그램의 운영 평가

  • Published : 2004.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plan for a large-scale implementation of the Girl Friendly Science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and investigation of its current pilot implementation, Girl Friendly Science Program materials, which was first developed in 1999 with the support from Ministry of Gender Equality, consist of 1) five theme-based units that are specifically targeted individual students' unique ability, aptitude, and career choice, and 2) differentiated learning materials for 7th through 10th grade female students. All the materials are available at the homepage (http://tes.or.kr/gfsp.cgi) of 'Teachers for Exciting Science(the organization of science teachers in Seoul area)'. Since the materials are well organized by topic and grade level and presented in both Korean word process document and html format, anyone can easily access to the materials for their own instructional use. Ever since its launch the number of visitors to the homepage has been constantly increasing.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current pilot implementation of the materials that targeted individual students' ability and aptitude showed that it scored high in terms of its alignment to the original purpose, content, level, and effectiveness to implement in classrooms. However, its evaluation scores were low in terms of the convenience for teachers to guide the materials, and its organization and operation. The results also showed a significant change in students' perception of science, and students' positive experiences of science through various interdisciplinary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the evaluation of students' experiences with the materials showed that students' assessment about an activity was largely depending on a success or failure of their experiences. Overall, students' evaluation of activities scores were low for simple activities such as cutting off or pasting papers. According to students' achievement test results,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 test scores in the Affective Domai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but not in Inquiry Domain. Based on teachers observations, numerous schools where have run this program reported that students' abilities to cooperate, discuss, observe and reason with evidences were improved. In order to implement this program in a larger scale, it is critical to have a strong support of teachers and induce them to change their teaching strategy through building a community of teachers and developing ongoing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Finally, there still remain strong needs to develop more programs, and actively discover and train more domestic woman scientists and engineers and collaborate with them to develop more educational materials for girls in all ages.

여학생 친화적 과학 활동 프로그램의 활용 현황을 조사하고 시범운영 결과를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확대 보급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1999년 여성부의 연구용역으로 개발된 여학생 친화적 과학활동 자료는 5개 주제의 특기적성 교육자료와 7학년부터 10학년 까지의 심화 보충 학습자료들인데, 이 자료는 서울 지역의 과학교사 모임인 '신나는 과학을 만드는 사람들'의 홈페이지에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수록되었으며 한글 문서를 다운로드받아서 활용할 수도 있고 html 형식의 문서를 모니터 상에서 그대로 확인할 수도 있도록 하였다. 현재 여학생 친화적 과학활동 자료 홈페이지의 방문객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특기 적성 프로그램에 대한 시범 실시 결과, 개발된 자료는 개발 목적과의 일치도 및 내용 및 수준, 적용 효과에 대해서는 높은 점수를 얻었지만 교사 수행의 수월성, 조직과 운영 측면에서는 낮은 점수를 얻었다. 또한 학생들은 과학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었고, 간학문적인 활동을 통해 다양한 과학 경험을 하였다는 점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생각하였다. 한편, 학생들의 활동 내용에 대한 평가는 성공의 경험에 크게 좌우되며, 주로 오리고 자르고 붙이는 일로 이루어진 활동에 대한 평가 점수는 낮게 나타났다. 학생들의 성취도 검사에 의하면, 정의적 영역은 향상되었지만(p<0.05), 탐구 능력의 향상은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었다. 그러나 많은 시범 실시학교에서 협동 활동 및 토의 능력의 향상과 관찰, 추론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관찰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확대 보급을 위해서는 프로그램이 교사들의 지지를 얻고 이들의 교수 학습 전략을 변화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이에 따라 교사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교사 연수를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또한 프로그램의 추가 개발 및 국내 여성 과학 기술인을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교육 자료화하는것 등이 추후 실천해야할 과제로 남아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효남, 정완호, 정진우(1997). 국가 수준의 과학에 관련 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 체제 개발. 학술진흥재단 : 서울
  2. 박미아, 신영준, 장남기(2001). 중고등학생들의 과학관련 경험도에 있어서의 성차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교육 학회지, 29(3), 281-287
  3. 신동희(2000). 양성(兩性) 평등 교육의 관점에서 본 초등 학교 '자연' 교과서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 193-199
  4. 신영준, 박미아, 최원호, 송현미, 이기영, 이기순(1999). 여학생에 친화적인 과학 프로그램 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대통령직속여성특별위원회
  5. 신영준(2000). 여학생 친화적 과학 수업 전략이 반영된 간 학문적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8(2), 100-109
  6. 우종옥, 김범기, 한안진, 허명(1998). 국가 수준의 과학탐 구능력 평가 체제 개발. 학술진흥재단:서울
  7. 임혁, 노기종, 노형재, 어진영, 이성만, 전석천, 조수민(1999). 중.고등학교 여학생 친화적 과학기술 특기 적성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시. 대통령직속여성특별위원회
  8. 전영석, 김태일, 김현빈, 석혜정, 전화영(1999). 여학생 대상 중고등학교 7-10학년용 과학 심화.보충 자료개발 연구. 대통령직속여성특별위원회
  9. American Association of University Women(1992). How schools shortchange girls: A study of major findings on girls and education, researched by the Wellesley College Center for Research on Women
  10. Brickhouse, N. W.(1998). Feminism(s) and Science Education. In B. J. Fraser & K. G. Tobin(ed).Intenational Handbook of Science Education, 1065-1081. Kluwer Academic Publishers
  11. Bullock, L. D.(1997). Efficacy of a gender and ethnic equity in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for preservice teache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94(10), 1019-1038
  12. Cronin, C., & Roger, A.(1999). Theorizing progress : Women in science, engineering, technology in higher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6), 637-662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908)36:6<637::AID-TEA4>3.0.CO;2-9
  13. Gardner, A. L., Cheryl L. M., Marsha L. M.(1989). Equity, excellence & just plain good teaching. The American Biology Teacher, 51(2), 72-77 https://doi.org/10.2307/4448854
  14. Kahle, J. B., & Meece, J.(1994). Research on gender issues in the classroom, In D. L. Gable(ed).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542-557.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5. Linn, M. C., & Hyde, J. S.(1989). Gender.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al Researcher, 18, 17-19
  16. Smith, W. S. & Thomas O. E.(1986). Effect of women science career role models on early adolescents attitudes toward scientists and Women in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3(8)
  17. The Federa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Research and Technology(1998). The potential and dimensions of knowledge-based society and its effects on educational processes and structures
  18. 최지희, 이기성, 장원섭, 정지선 역(1999). 지식 기반 사회의 교육-독일 교육과학연구부 델파이 조사 보고서. 서울 : 교육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