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ntimicrobial films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4초

Tetracycline-incorporated Silk Fibroin Films

  • Kim, Jong-Ho;Shin, Bong-Seob;Jeon, Jong-Young;Kweon, Hae-Yong;Jo, You-Young;Lee, Heui-Sam;Lee, Kwang-Gill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25권1호
    • /
    • pp.129-132
    • /
    • 2012
  • Silk fibroin films incorporated with tetracycline was prepared and characterized by 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meter and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and examined antibacterial effect. The conformation of silk fibroin was changed from random coil to $\hat{a}$ sheet structure with incorporation of tetracyclin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materials was evaluated against Gram-negative bacteria (Escherichia coli) and Gram-positive bacteria (Staphylococcus epidermis, and Staphylococcus aures) using agar plate method showing clear inhibition zone around tetracycline silk film. It is concluded that tetracycline-incorporated SF films are highly effective against bacteria.

천연물 유래 항균물질을 포함한 가식성 Pullulan 필름의 충치유발균에 대한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Edible Pullulan Film Containing Natural Antimicrobial Material on Cariogenic Bacteria)

  • 김기명;황권택;유상권;이웅수;정경환;문성권;최원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0호
    • /
    • pp.1466-1470
    • /
    • 2009
  • 천연항균물질인 자몽종자추출물(grapefruit seed extract), 폴리라이신(polylysine) 및 프로폴리스(propolis)의 충치유발균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하여 가식성필름에 첨가 천연고분자 필름을 제조함으로써, 충치예방 및 구강청결 등의 치의적 상품개발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자 하였다. Disc method를 이용한 예비 항균활성실험 결과, 자몽종자추출액의 경우 10%(w/w)의 농도에서 Streptococcus mutans 균에 대해 확실한 항균활성이 나타나, 이를 pullulan 필름제조 용액에 첨가하여 항균성 가식필름을 제조하였다. Pullulan 10$\sim$15%(w/w)의 농도와 사용된 pullulan 양의 40$\sim$50%(w/w)의 sorbitol 농도에서 적절한 항균필름이 제조되었다. 자몽종자추출액 50 ppm을 함유한 pullulan 필름은 Streptococcus mutans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나, 자몽종자추출액을 함유한 가식성 항균필름은 충치예방상품으로 개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천연항균제 함유 포장소재처리에 의한 저장호박의 선도 유지효과 (Effect of Antimicrobial Packaging System on the Freshness-preserving of Zucchinis)

  • 정순경;조성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74-278
    • /
    • 2001
  • 항균력의 우수성이 확인된 천연항균소재인 대황추출물, 황련추출물 및 자몽종자추출물을 시설채소산물인 호박의 선도유지용 표면처리제 및 포장소재로 개발하여 저장실험을 실시한 견과는 다음과 같다. 호박을 항균소재에 침지처리한 후, 항균필름에 포장하고 1$0^{\circ}C$에서 저장하면서 저장호박의 경도, ascortbic acid함량, 중량손실을, 미생물 성장도 및 부패율을 측정한 결과, 대조구에 비교해서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는 대조구(LDPE) 필름에 비교해서 항균소재에 침지 처리후, LDPE 필름으로 포장한 경우에 대체적으로 조직의 연화 지연되었고, ascorbic acid함량의 감소폭도 완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중량손실 데 있어서도 긍정적인 결과를 확인하였다. 부패미생물의 성장도 억제에 따른 부패율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항균필름과 항균소재를 병용처리하는 것이 항균필름만으로 포장하는 경우와 침지처리만 하는 경우보다 부패율 변화 및 호박의 품질변화에 있어서 더욱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ZnO 나노입자와 자몽씨추출물을 첨가한 아가복합필름의 자외선차단 및 항균특성 (UV Barrier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Agar-based Composite Films Incorporated with ZnO Nanoparticles and Grapefruit Seeds Extract)

  • 김연호;방영주;윤기선;임종환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69-77
    • /
    • 2019
  • 자몽씨추출물(GSE)과 ZnONP을 아가필름에 동시에 첨가하여 다기능성 복합필름을제조하였다. Agar/GSE/ZnONP복합필름은 특히 자외선차단성과 항균성에 대한 시너지 효과를 나타냈다. 광 차단성은 자외선 파장범위인 280 nm와 가시광선 파장범위인 660 nm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크게 나타났다. 자외선차단성은 agar/GSE와 agar/ZnONP 필름에 비해 agar/ZnONP3%/GSE5% 필름에서의 크게 상승하여 GSE와 ZnONP의 시너지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항균성으로는 그람양성균인 L. monocytogenes와 그람음성균인 E. coli O157: H7 모두 agar/ZnONP3%/GSE5% 필름에서 강한 항균성 및 시너지 효과가 있었다. 자외선 차단성과 항균성은 포장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유통기한을 연장시키는데 필수적인 특성으로 agar/ZnONP3%/GSE5% 필름은 식품의 유통기한 연장과 식품의 안전성을 위한 포장필름으로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자외선 경화형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ZnO 나노콤포지트 필름의 제조 및 특성 분석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UV-cured Polyurethane Acrylate/ZnO Nanocomposite Films)

  • 전권영;박수일;서종철;서광원;한학수;유영철
    • 공업화학
    • /
    • 제22권6호
    • /
    • pp.610-616
    • /
    • 2011
  • 패키징 소재로의 응용을 위한 자외선 경화형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ZnO 나노복합필름을 ZnO의 함량을 달리하여 제조하였다. ZnO 함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필름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FTIR, WAXD, SEM, DSC, OTR, UV/VIS 그리고 antimicrobial test를 수행하였다. FTIR과 SEM결과는 PUA와 ZnO 나노입자 사이에 화학적 결합이나 상호작용이 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무기 필러인 ZnO를 첨가하더라도 열적 특성의 향상을 나타내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ZnO 나노입자의 함량 증가에 따라 자외선 차단성과 항균성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산소 투과도는 ZnO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2005cc/m^2/day$에서 $150cc/m^2/day$로 크게 감소하였으며, 패키징 응용을 위한 차단성 필름으로서 응용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PUA/ZnO 필름의 물성은 무기필러의 분산상태와 필름의 모폴로지에 크게 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Grapefruit Seed Extract와 Ascorbic Acid의 혼합 처리가 콩나물 변패 미생물과 저장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apefruit Seed Extract and Ascorbic Acid on the Spoilage Microorganisms and Keeping Quality of Soybean Sprouts)

  • 박우포;조성환;이동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086-1093
    • /
    • 1998
  • The antimicrobial effect of mixed solutions of grapefruit seed extract(250ppm) and ascorbic acid(1%) on the spoilage microorganisms such as Staphylococcus epidermis,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syringae, Candida albicans and Corynebacterium xerosis isolated from the spoiled soybean sprouts were investigated. Cell wall and membrane were partially destroyed and the contents of the destroyed cell were exuded after treatment. Packages with 30 m cast polypropylene(CPP), 16 m polyolefin(RD 106) and 10 m high density polyethylene(HDPE) were applied for soybean sprouts dipped in mixed solutions respectively. Oxygen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side packages were dependent on the kind of films during storage at 5oC.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mixed solutions was maintained for 5 days at CPP package. Package with HDPE showed a severe browning than the others after 5 days. Ascorbic acid content of mixed solution treatment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for each package.

  • PDF

Preparation of Shark Byproduct Extract and Gellan Gum based Antibacterial Film Containing Green Tea Extract

  • Bak, Jing-Gi;Kim, Jin;Ohk, Seung-Ho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0-57
    • /
    • 2022
  • In this study, we trie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 dental product such as tooth decay prevention and oral hygiene by manufacturing a natural polymer film for oral use. Natural polymer films were prepared from shark byproduct extract (SBE) and gellan gum (GG). As an antibacterial substance,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green tea extract against tooth decay-causing bacteria was measured. An film was prepared by adding green tea extract to the composition of SBE and GG. The mechanical, solubility, moisture content and antibacterial function of the prepared film were investigated in detail. Also, the incorporation of GTE into the SBE/GG film improved the physical performance of the film. Increasing the content of GTE improved the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of the film. Formulation of antimicrobial SBE/GG film containing green tea extract was established and these results evidently showed potential for cavity prevention products application.

신선도 유지성분을 포함한 다공성 필름의 성능과 효능 (The Efficiency and Performance of Porous Film Containing Freshness Maintenance Ingredients)

  • 김경이;이은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810-816
    • /
    • 2009
  •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식품 포장 물질로서 항균성질을 갖는 신선도 유지 성분인 겨자 유를 적용한 다공성 필름의 성능과 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GC-MSD 분석과 식빵에 대한 곰팡이 실험을 하였다. 겨자유에서 얻을 수 있는 AITC와 같은 물질은 기체상 접촉을 통한 적용법이 항곰팡이성 효과가 크게 나타나므로 GC-MSD 분석을 통해 겨자 유를 함유한 포장 소재에서의 항곰팡이 효과와 식품의 저장기간의 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는 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필름 크기와 포장 조건을 찾기 위해 4가지 다른 조건으로 실험하여 당일과2일 후의 AITC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항균층 폭이 25 mm, 길이 20 cm인 필름 2개를 사용했을 때가 항균층 50 mm 필름 1개를 사용했을 때 보다 밀폐된 포장 용기에 AITC가 더 많이 보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필름제조 시 안쪽 필름의 $20\;{\mu}m$의 기공 쪽보다 옆 단면 층과 층사이의 기체 확산이 더 크게 일어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식빵 저장 실험에서 곰팡이 유무를 확인한 결과 작은 사이즈 2개를 넣었을 때가 저장 일이 25일로 가장 길게 나타났다. 또한 필름에 남아있는 AITC 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크기가 다른 밀폐 용기에서 실험한 결과 부피가 43 mL 공간에서 많이 측정되었고 반면 500 mL, 1000 mL는 공간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AITC는 그다지 차이가 없게 나타났다. 오픈한 상태에서 당일 1일, 2일, 4일 후에 AITC량을 측정한 결과 초기에 급격하게 기체가 배출되어 4일 후에는 거의 남아있지 않았고 특히 국산제품이 수입품보다 더 빨리 기체가 배출됨을 나타내었다. 신선도 유지성분인 겨자유의 방출 특성과 조건을 분석함으로써 항곰팡이성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필름조건을 조사하여 식품에 대한 적용 확대가 기대 된다.

녹색합성법에 기인한 식품포장용 키토산-은나노 항균 복합필름의 개발 (Antimicrobial Chitosan-silver Nanocomposite Film Prepared by Green Synthesis for Food Packaging)

  • 경규선;고성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47-351
    • /
    • 2014
  • 키토산 바이오폴리머를 활용한 은나노 입자의 효과적인 녹색합성을 수행하였으며 얻어진 키토산-은나노 복합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키토산-은나노 복합필름을 제조, 이들의 항균성을 평가하였다. UV-Visible 흡수 spectrum과 TEM 분석을 통해 키토산 내 은나노 입자가 안정적으로 생성,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키토산 및 질산은의 농도 그리고 반응시간의 변화에 따른 키토산 내 은나노 생성 특성을 조사하였다. 녹색합성된 키토산-은나노 복합물질로부터 EDS 분석 결과 0.9-8.9% 범위의 은나노를 함유한 키토산-은나노 복합필름이 얻어졌으며 FTIR 분석에 의해 은나노 합성과정에서 키토산의 활성아민기와 소량의 히드록시기가 은나노 환원반응에 참여함으로써 키토산이 은나노 입자의 합성을 위한 환원제 및 안정제로 작용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복합필름의 항균정성 평가 결과 순수 키토산 대조군 필름에서는 E. coli에 대한 항균성이 나타나지 않은 반면 키토산-은나노 필름에서는 뚜렷한 항균성을 보였으며 함유된 은의 농도 증가에 따라 항균력 또한 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친환경 항균소재로서 녹색합성법에 의해 제조된 키토산-은나노 복합물질을 기능성 포장소재로 응용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포장소재로서 요구되는 수분 및 가스차단성, 식품 내용물과의 반응성, 접촉안전성 및 안정성 등과 같은 다양한 요소의 체계적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복합필름의 연성, 강성, 내냉 내열성 등 식품포장필름 적용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수행될 것이다.

Potential Use of Biopolymer-based Nanocomposite Films in Food Packaging Applications

  • Rhim, Jong-Wha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5호
    • /
    • pp.691-709
    • /
    • 2007
  • Concerns on environmental waste problems caused by non-biodegradable petrochemical-based plastic packaging materials as well as consumer's demand for high quality food products has caused an increasing interest in developing biodegradable packaging materials using annually renewable natural biopolymers such as polysaccharides and proteins. However, inherent shortcomings of natural polymer-based packaging materials such as low mechanical properties and low water resistance are causing a major limitation for their industrial use. By the way, recent advent of nanocomposite technology rekindled interests on the use of natural biopolymers in the food packaging application. Polymer nanocomposites, especially natural biopolymer-layered silicate nanocomposites, exhibit markedly improved packaging properties due to their nanometer size dispersion. These improvements include increased mechanical strength, decreased gas permeability, and increased water resistance. Additionally, biologically active ingredients can be added to impart the desired functional properties to the resulting packaging materials. Consequently, natural biopolymer-based nanocomposite packaging materials with bio-functional properties have huge potential for application in the active food packaging industry. In this review, recent advances in the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atural biopolymer-based nanocomposite films, and their potential use in food packaging applications are addr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