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microbial

검색결과 4,945건 처리시간 0.033초

Yeast Extract로 처리된 Eschscholtzia californica의 Metabolite와 Protein의 변화 (Profiling of Metabolites and Proteins from Eschscholtzia californica induced by Yeast Extract)

  • 조화영;박정진;윤성용;박종문
    • KSBB Journal
    • /
    • 제20권4호
    • /
    • pp.285-290
    • /
    • 2005
  • Sanguinarine은 천연 항균성 물질로 의약품, 생활용품 그리고 화장품 등 그 이용은 다양하나 가격이 비싸고 수율이 따르지 못하는 점을 식물세포배양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anguinarine의 생산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전통적인 방법인 환경적 요인을 고려한 cell selection방법과 유전적 접근인 protein의 변화를 동시에 관찰하였다. Yeast extract를 elicitor로 이용하였을 경우에 control에서는 관찰 할 수 없었던 sanguinarine에 해당하는 오렌지색의 형광을 볼 수 있었으며, 실제 metabolite의 분석에서도 sanguinarine의 증가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세포 내부에서는 sanguinarine이 약 8배의 증가를 보였으며 배지에서는 약 5배의 증가를 보였다. Protein 역시 2-D electrophoresis로 확인한 결과 intensity가 $5\%,\;88\%,\;6.4\%$의 증가, 일정, 감소를 보인 spot들이 elicitor 처리 후 세포에서는 $34\%,\;39.4\%\;26.5\%$로 intensity가 증가된 spot들이 더많이 검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sanguinarine을 yeast extract를 이용해서 생산량을 증가시키고 sanguinarine의 생산과 관련된 protein의 변화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예와 같은 실험 연구방법이 식물이차대사산물 생산성에 관련된 protein군을 규명하는데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eroxidase가 Lysozyme 활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Peroxidase on Lysozyme Activity)

  • 이상구;김형일;고홍섭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3권1호
    • /
    • pp.1-8
    • /
    • 2008
  • 타액에 존재하는 여러 항균물질은 상호작용을 통하여 부가적이거나 상승작용을 나타내고 때로는 저해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in vitro 상에서 lysozyme과 peroxidase 사이의 상호작용을 효소활성 측면에서 조사하고자 시행되었다. Lysozyme과 peroxidase의 상호작용은 hen egg-white lysozyme(HEWL)과 bovine lactoperoxidase(bLP)를 혼합하는 방법으로 조사되었고, peroxidase system이 lysozyme에 미치는 영향은 potassium thiocyanate와 hydrogen peroxide를 추가적으로 첨가하는 방법으로 조사되었다. Lysozyme 활성은 Micrococcus lysodeikticus 기질용액의 혼탁도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측정되었고, peroxidase 활성은 NbsSCN 법으로 측정되었다. Wilcoxon signed rank 법을 이용하여 lysozyme과 peroxidase 효소활성 변화를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생리적 농도범위에서 bLP는 HEWL의 효소활성을 증가시켰으며(P < 0.05), 그 효과는 bLP의 농도증가에 따라 영향을 받았다. 하지만 HEWL는 bLP의 효소활성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Thiocyanate는 HEWL의 효소활성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고, potassium thiocyanate와 hydrogen peroxide를 추가한 peroxidase system도 HEWL 효소활성의 추가적인 상승을 유도하지는 못하였으며, hydrogen peroxide의 농도변화도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타액 항균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구강건강용품이나 구강에서 lysozyme과 peroxidase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준다.

Acrylic Resin에 혼합된 Polyphosphate가 미생물의 부착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LYPHOSPHATE MIXED IN ACRYLIC RESIN ON THE ATTACHMENT AND GROWTH OF ORAL BACTERIA)

  • 홍선희;최영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9-79
    • /
    • 2003
  • 자가중합형 아크릴릭 레진에 polyp를 혼합하지 않은 대조군, 그리고 레진 분말에 대한 polyP(사슬길이 13과 18의 혼합물인 Calgon)의 무게비를 1%로 혼합한 polyP 1%군, 2% 혼합한 polyP 2%군 및 3% 혼합한 polyP 3%군으로 분류하여 경화시킨 후, 경화된 각각의 레진과 실험균주 S. mutans GS5, S. sobrinus 6715, S. gordonii G9B및 Challis, 그리고 P. gingivalis 2561과 Candida albicans ATCC90027을 대상으로 레진표면에 대한 미생물들의 부착의 정도, 성장 억제효과 및 접촉각의 변화를 관찰하여 그 결과로 미루어 아크릴릭 레진에 포함된 polyP는 구강 미생물에 대해 직접적으로 강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지는 않는 것으로 판단되나 미생물의 부착 특히 우식원인균인 mutans streptococci의 부착을 방해하는 것으로 가늠되며, 이는 polyP의 첨가에 의한 아크릴릭 레진 표면에서 일어난 소수성의 변화가 일부 관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PolyP가 혼합된 아크릴릭 레진의 장착은 일반적인 아크릴릭 레진으로 제작된 가철성 장치를 장착한 후 나타날 수 있는 우식 이환의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임상적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고 여겨진다.

  • PDF

산돌배나무(Pyrus ussuriensis) 잎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 of the Fraction Isolated from Pyrus ussuriensis Leaves)

  • 이창언;김영훈;이병근;이도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6호
    • /
    • pp.885-890
    • /
    • 2010
  • 본 연구는 산돌배나무(Pyrus ussuriensis) 잎에서 추출한 분획물의 항산화능을 조사하여 화장품소재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산돌배나무 잎을 채취하여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60% acetone-$H_2O$(6:4, v/v)로 추출하고, 아세톤 가용부를 분획하여 동결건조 시켰다. 아세톤 및 물 가용부를 Sephadex LH-20으로 충진한 칼럼에서 메탄올 MeOH을 용출용매로 사용하여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고 또한 MeOH를 전개용매로 사용한 MICgel을 이용했다. 단리된 화합물들은 Silica-gel TLC로 확인하였다. 폴리페놀 함량은 산돌배나무 잎의 아세톤 분획물에서 914 mg/g으로 정량되어 높은 함량이었다. 산돌배나무 잎의 아세톤 분획물을 이용하여 항산화효과를 분석하여 얻은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공여능의 경우 산돌배나무 잎의 아세톤 분획물의 100 ppm농도에서 80%이상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산돌배나무 잎의 아세톤 분획물 중 한 분획물의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활성은 1000 ppm에서 77%의 활성을 보였다. 분획물의 Xanthine oxidase 저해능은 10 ppm에서 38%의 저해률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산돌배나무 잎의 아세톤 분획물은 항산화효과를 가진 천연소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류를 이용하여 제조한 소스류의 총균 및 Bacillus cereus 포자에 대한 줄가열 및 초고압 처리 효과 (Effect of Joule Heating and Hydrostatic Pressure on Reduction of Total Aerobes and Spores of Bacillus cereus in Sauces Prepared with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Foods)

  • 조은지;오세욱;허병석;홍상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0호
    • /
    • pp.1619-1626
    • /
    • 2014
  • 마리네이드, 간장소스, 된장소스 및 고추장소스를 대상으로 총균수 및 Bacillus cereus 접종포자에 대해 초고압, 줄가열, 항균물질에 단독처리나 hurdle 복합처리에 의한 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줄가열 처리는 된장 및 고추장소스의 총균과 접종포자에 대해서 1.0~2.0 log 범위의 저감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J($85^{\circ}C$), A(EtOH 3.0%) 및 P(550 Mpa, 5분)를 허들로 설정하였을 경우 된장소스의 총균수는 JA 처리구가 0.35 log, JP 처리구가 0.92 log 및 JAP 처리구가 1.21 log 감소하였고, 고추장소스의 총균수는 JA 처리구가 1.26 log, JP 처리구가 1.7 log 및 JAP 처리구가 1.47 log 감소하였다. 포자의 경우 된장소스는 AP 처리구가 0.50 log, JP와 JAP 처리구는 각각 1.42 log 및 1.38 log로 감소 효과가 증가하였고, 고추장소스는 AP 처리구가 0.47 log, JA 처리구가 3.3 log, JP와 JAP 처리구가 모두 3.45 log만큼 크게 감소하였다. 상기 소스의 총균과 포자에 대한 처리구는 $30^{\circ}C$에서 8주간 저장 시 대조구 대비 유사하거나 낮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따라서 소스류 중에서 고추장소스와 된장소스는 줄가열과 초고압을 연계한 허들처리를 통해 총균수와 B. cereus 포자를 제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미나리 분말을 첨가한 청국장의 발효 및 품질특성 (Ferment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with Addition of Dropwort (Oenanthe javanica D.C.) Powder)

  • 이신호;김진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7호
    • /
    • pp.1133-1138
    • /
    • 2013
  • 미나리 유통과정중 생성되는 부산물의 활용방안과 청국장의 품질 및 기호성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청국장의 제조시 전처리 방법을 달리한 미나리 분말 첨가에 따른 발효 및 품질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발효균주로 사용한 Bacillus subtilis RS-9은 볏짚으로부터 분리된 30 균주 중 대두 분해력, 단백 분해력, 전분 분해력, 항균활성이 가장 우수한 균주를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동정한 후 사용하였다. 전처리 방법을 달리한 미나리 분말을 0.5%, 1%로 혼합하여 제조한 청국장의 발효 및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 미나리 분말 혼합 청국장의 pH는 발효 전 기간 동안 대조구보다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첨가 미나리의 전처리 방법에 따라서는 뚜렷한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청국장의 발효 후 총균수는 8.70~8.88 log CFU/mL이었으며, 발효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였다. 미나리 혼합 청국장의 아미노태 질소와 점질물 함량은 발효 전 기간 동안 대조구보다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발효후 모든 군이 증가하였으며, 스팀처리 미나리 첨가구가 $590.24{\mu}g/mL$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ABTS radical 소거능은 대조구에 비해 뚜렷이 높았으며, 발효 후 모든 처리구에서 활성이 증가하였고 스팀처리 미나리 첨가구가 82.16%로 가장 우수하였다. 관능검사 결과는 생미나리 분말 0.5% 첨가군이 맛과 종합적 기호도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이미지 분석법을 이용한 소프트 콘택트렌즈용 다목적용액의 각막상피세포 독성 평가 (Cytotoxicity of Multipurpose Contact Lens Solutions on the Cultured Corneal Epithelial Cells Evaluated by Image Analysis)

  • 김남열;이군자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1-60
    • /
    • 2015
  • 목적: 시판되고 있는 소프트콘택트렌즈용 다목적용액이 사람의 각막상피세포에 미치는 세포독성을 이미지 분석법을 이용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각막상피세포를 6종류의 다목적용액(A~F)이 0.05~50% 포함된 배양액에서 각각 2시간, 12시간, 24시간,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막상피세포를 고정한 다음 Draq 5로 염색하고 공초점현미경과 ImageXpress $Ultra^{TM}$를 이용하여 세포형태를 관찰하고 세포생존율과 세포자살(apoptosis)을 비교하였다. 결과: 각막상피세포 생존율과 세포자살은 다목적용액을 2시간 처리한 경우에는 모든 제품에서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으나, 12시간 이상 처리한 경우에는 B~F 제품에서 대조군의 52~75% 수준으로 감소하였고, 세포자살은 모든 제품에서 차이가 없었다. 24~48시간 처리한 경우에는 생존율이 29~73% 수준으로 감소하였고(p<0.05), 세포자살은 199~526% 증가하였다. 제품별로는 다목적용액 D, E, F가 A보다 각막상피세포 생존율을 감소시켰고 세포자살을 증가시켰다(p<0.05). 결론: 저농도의 다목적용액은 각막상피세포 독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고농도의 다목적용액은 각막상피세포의 자살을 유도하고 세포생존율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다목적용액의 성분은 소독기능이 우수하고 독성이 없는 성분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nalysis of Immunomodulating Gene Expression by cDNA Microarray in $\beta$-Glucan-treated Murine Macrophage

  • Sung, Su-Kyong;Kim, Ha-Won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2003년도 Annual Meeting of KSAP : International Symposium on Pharmaceutical and Biomedical Sciences on Obesity
    • /
    • pp.98-98
    • /
    • 2003
  • ${\beta}$-(1,3)-D-Glucans have been known to exhibit antitumor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The presence of dectin-1,${\alpha}$, ${\beta}$-glucan receptor of dendritic cell, on macrophage has been controvertial. RT-PCR analysis led to the detection of dectin-1${\alpha}$ and ${\beta}$ in murine macrophage Raw264.7 cell line. Among the various organs of mouse, dectin-1${\alpha}$ and ${\beta}$ were detected in the thymus, lung, spleen, stomach and intestine. To analyze gene expression modulated by ${\beta}$-glucan treated murine Raw264.7 macrophage, total mRNA was applied to cDNA microarray to interrogate the expression of 7,000 known genes. cDNA chip analysis showed that ${\beta}$-glucan of P. osteatus increased gene expressions of immunomodulating genes, membrane antigenic proteins, chemokine ligands, complements, cytokines, various kinases, lectin associated genes and oncogenes in Raw 264.7 cell line. When treated with ${\beta}$-glucan of P. osteatus and LPS, induction of gene expression of TNF-${\alpha}$ and IFN-R1 was confirmed by RT-PCR analysis. Induction of TNF-R type II expression was confirmed by FACS analysis. IL-6 expression was abolished by EDTA in ${\beta}$-glucan and LPS treated Raw264.7 cell line, indicating that ${\beta}$-glucan binds to dectin-l in a Ca$\^$++/ -dependent manner. To increase antitumor efficacy of ${\beta}$-glucan, ginsenoside Rh2 (GRh2) was co-treated with ${\beta}$-glucan in vivo and in vitro tests. IC$\sub$50/ values of GRh2 were 20 and 25 $\mu\textrm{g}$/$m\ell$ in SNU-1 and B16 melanoma F10 cell line, respectively. Co-treatment with ${\beta}$-glucan and GRh2 showed synergistic antitumor activity with cisplatin and mitomycin C both in vitro and in vivo. Single or co-treatment with ${\beta}$-glucan and GRh2 increased tumor bearing mouse life span. Co-treatment with ${\beta}$-glucan and GRh2 showed more increased life span with mitomycin C than that with cisplatin. Antitumor activities were 67% and 72 % by co-injection with ${\beta}$-glucan and GRh2 in the absence or presence of mitomycin C, respectively.

  • PDF

목화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유전자로 형질 전환된 현삼의 내병성 특성 (Pathogene Resistance of cotton GST cDNA in Transgenic Scrophularia buergeriana Misrule)

  • 강원희;임정대;이성호;유창연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297-304
    • /
    • 2001
  • 현삼의 기내배양에서 TDZ처리가 비교적 재분화에 효율적이었고 형질전환 식물체를 선발하기 위하여 선발표지 유전자로 사용되는 NPTII gene이 항생제 kanamycin에 대한 저항성은 50 mg/L가 적당하였다. 선발배지에서 자란 현삼 식물체에서 DNA를 추출하여 PCR 분석을 통하여 특정 유전자 Gh-5 gene을 검정한 결과 형질전환되지 않은 식물체에서는 볼수가 없는 988 bp의 band가 형질전환된 식물체에서는 관찰되어 GST 유전자가 현삼의 염색체 안으로 삽입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형질전환 효율 증진을 위하여 선발과정에서 암상태를 30일까지 유지할 경우 높은 형질전환 효율을 나타내었으나 그 이상의 처리는 오히려 형질전환 효율이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Table 5). 형질전환 식물체에서 GST의 활성이 형질전환 되지 않은 식물체의 2배로 나타났고 유도체의 적정 처리 농도는 50$\mu$M이며 유도체 처리 시간에 따라서는 12시간까지는 점차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이었으나 그 이상의 시간에서는 활성이 저하됨이 확인되었다. Fungus 피검균인 Asperigillus awamori에서 6, 12시간 처리 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보여주었으며 그 이상의 시간처리에서는 명확한 균사 억제를 나타내지 못하였으며, 특히 12시간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Cladosporium herbarum에서 형질전환된 식물체의 활성이 훨씬 높게 나타났으며 6시간 처리에서 다른 처리에 비하여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피검균인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는 형질전환 식물체에서 높은 활성을 보여주었으며 6, 12시간 처리에서 비슷하게 높은 활성을 보여 주었다. 박테리아 피검균 Bacillus subtillis에서는 50$\mu$M 이하의 유도체 처리에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당유자 과피 메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의 생리활성 검정 (Physiological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and fractions from Citrus grandis Osbeck pericarp)

  • 고현민;김주성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5권3호
    • /
    • pp.279-286
    • /
    • 2018
  • 당유자 과피는 차, 한약재 등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다양하게 제품화 되고 있지는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당유자 과피의 건강 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 식품보존제 등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당유자 과피 메탄올 추출물을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순으로 분획하여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정량 분석과 항산화 활성, 효소 저해활성, 항미생물 활성을 탐색하였다.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FRAP과 ORAC 실험결과 또한 총 페놀함량과 비례하여 가장 우수한 활성이 측정되었다. 또한 DPPH radical 소거능 실험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은 유의적 차이 없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은 TEAC 값과 tyrosinase 저해 활성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보다 더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헥산 분획물에서는 superoxide radical 소거능 및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항균 활성은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 분획물에서 가장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다음의 결과를 바탕으로 천연 기능성 화장품의 소재로는 디클로로메탄 분획물, 건강기능성 식품의 소재로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의약품 및 식품보존제의 소재로는 헥산 분획물을 활용하는 것이 각 제품 개발에 있어 가장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