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microbial

검색결과 4,945건 처리시간 0.027초

Diversity and Functions of Endophytic Fungi Associated with Roots and Leaves of Stipa purpurea in an Alpine Steppe at Qinghai-Tibet Plateau

  • Yang, Xiaoyan;Jin, Hui;Xu, Lihong;Cui, Haiyan;Xin, Aiyi;Liu, Haoyue;Qin, B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7호
    • /
    • pp.1027-1036
    • /
    • 2020
  • Stipa purpurea is a unique and dominant herbaceous plant species in the alpine steppe and meadows on the Qinghai-Tibet Plateau (QTP). In this work, we analyzed the composition and diversity of the culturable endophytic fungi in S. purpurea according to morphological and molecular identification. Then, we investigated the bioactivities of these fungi against plant pathogenic fungi and 1-aminocyclopropane-1-carboxylate deaminase (ACCD) deaminase activities. A total of 323 fungal isolates were first isolated from S. purpurea, and 33 fungal taxa were identified by internal transcribed spacer primers and grouped into Ascomycota. The diversity of endophytic fungi in S. purpure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roots as compared to leaves. In addition, more than 40% of the endophytic fungi carried the gene encoding for the ACCD gene. The antibiosis assay demonstrated that 29, 35, 28, 37 and 34 isolates (43.9, 53.1, 42.4, 56.1, and 51.5%) were antagonistic to five plant pathogenic fungi, respectively. Our study provided the first assessment of the diversity of culture-depending endophytic fungi of S. purpurea, demonstrated the potential application of ACCD activity and antifungal activities with potential benefits to the host plant, and contributed to high biomass production and adaptation of S. purpurea to an adverse environment.

Bacillus sp. N32 균주가 생산하는 항균 단백질 특성 (Characterization of antimicrobial proteins produced by Bacillus sp. N32)

  • 이미혜;박인철;여윤수;김수진;윤상홍;이석찬;정태영;구본성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6-65
    • /
    • 2006
  • 작물 근권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5,000여 길항 균주로부터 Erwinia 및 Pseudomonas등의 세균과 Trichoderma, Colletotrichum 등 곰팡이의 성장을 동시에 억제하는 Bacillus sp. N 32 균주를 선발 동정 하였다. 특히 Bacillus sp. N32 균주는 고추 탄저병균인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에 대하여 열에 저항성이 있는 단백질과 열에 민감한 단백질의 2종류의 항균 단백질을 동시에 생산함을 단백질 침전과 활성 검정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이 항균 단백질들을 FPLC를 이용한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방법으로 분리한 후 SDS-PAGE와 bioautography로 항균력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 항균 단백질의 유전자들을 선발하기 위하여 기존의 알려진 그람양성 세균의 대표적인 열 저항성 항균 펩타이드 생합성 유전자 서열을 primer로 이용한 PCR 방법으로 fengycin의 생합성 유전자 단편을 분리하고 이 PCR 산물을 이용하여 Bacillus sp. N32 균주의 cosmid library로부터 fengycin의 생합성 유전자 cluster중 일부를 분리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또한 열에 민감한 항균 단백질 생산 유전자는 이 항균 단백질을 SDS-PAGE 및 electroblotting으로 분리한 뒤 N-terminal 부위의 15개의 아미노산 서열을 분석하고 이를 DNA 염기배열로 치환한 다음 probe로 이용하여 ${\lambda}-ZAP$ library로부터 항균 단백질 생산 유전자가 포함된 다수의 clone을 선발하였다.

멍게(Halocynthia roretzi) 식해 및 조미 멍게의 영양 및 생리활성 특성 (Nutritional and Physiologically Active Characterizations of the Sea Squirt Halocynthia roretzi Sikhae and the Seasoned Sea Squirt)

  • 김풍호;김민지;김지혜;이지선;김기현;김현정;전유진;허민수;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11
    • /
    • 201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nutritional and physiologically active characterizations of sikhae and the seasoned products from the sea squirt Halocynthia roretzi. The total taste values of sikhae fermented for 4 and 5 days were 10.9 and 15.4, respectively, which was lower than for commercially seasoned sea squirts. The sikhaes contained mostly glutamic and aspartic acids. The total amino acid contents of sikhaes fermented for 4 and 5 days were 5.5 and 6.0 g/100 g, respectively, which were lower than those of commercial seasoned-sea squirts or similar. An amount of 100 g of sikhae and its seasoned products contained P, K, Mg and Fe, and these minerals, which are deemed good for our health, were at 10% above the recommended daily requirements.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sikhae fermented for 4 and 5 days were as follows: for ACE inhibiting activity, 69 and 69.5%, respectively; for antioxidative activity, 28.9 and 29.3%, respectively; for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y, 52.8 and 53.1%, respectively; and for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2.4 and 1.4%, respectively.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5 day fermented sikhae against Vibrio parahaemolyticus and Staphyloccus aureus was detected in 8 mm and in 7 mm against Escherichia coli.

Bacillus subtilis MJP1이 생산하는 Bacteriocin-Like Substances (Characterization of Bacteriocin-Like Substances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MJP1)

  • 양은주;장해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39-346
    • /
    • 2007
  • 메주로부터 항곰팡이 활성을 보이는 균주 1종과 이에 감수성을 나타내는 곰팡이 3종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형태학적, 생화학적 특성 조사와 16S rRNA 염기서열 결정을 통한 균주 동정결과 Bacillus subtilis MJP1으로 명명하였고, 3종의 곰팡이는 ITS-5.85 rRNA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Aspergillus petrakii PF-1, A. ochraceus PF-2, 그리고 A. nidulans PF-3로 명명하였다 B. subtilis MJP1은 곰팡이 에 대한 강한 저해활성 뿐만 아니라 Candida 속 효모들과 그람 양성균에 대한 넓은 범위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B. subtilis MJP1의 생육에 따른 항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항진균 활성은 배양 16시간부터 최대 활성(3,200 AU/ml)을 나타내어 균이 사멸기에 접어든 후에도 활성을 그대로 유지한 반면, 항세균 활성은 대수기 중반인 12시간부터 25시간까지 가장 높은 활성 (1,600 AU/ml)을 보이다가 72시간 이후에는 활성을 상실하였다. pH 안정성 실험에서 항진균 활성과 항세균 활성 모두 pH $6{\sim}10$ 구간에서 비교적 안정한 결과를 보였으나, 열처리 실험에서 항진균 활성은 영향을 받지 않은 반면, 항세균 활성은 $30^{\circ}C$ 이상의 온도에서는 불안정한 결과를 보였다. 각종 효소에 대한 안정성 실험에서 항진균 활성은 어떠한 효소에도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항세균 활성은 단백분해효소 처리 후에 활성이 실활 됨으로써 항균 물질이 단백질성 물질임을 추정하였다. $C_{18}$ Sep-Pak column으로 부분 정제한 항균 물질이 항진균 활성과 항세균 활성을 나타내므로 소수성을 가지는 물질임을 알 수 있으며, Tricine-SDS-PAGE및 direct detection을 통하여 항진균 물질의 분자량은 약 2.4 kDa 정도이며, 항세균 물질의 분자량은 약 4.5 kDa으로_ 확인되었다. 따라서 B. subtilis MJP1은 항진균 활성과 항세균 활성을 가진 bacteriocin-like substances를 생산함을 알 수 있고 이와 같은 새로운 항미생물 물질은 천연 식품보존제 및 사료보존제 뿐만 아니라 항생제 대체 의약품으로도 활용이 기대되며, 이를 위하여 향후 이 물질들의 보다 정확한 구조 및 특성 규명 등의 연구가 필요하다.

유아 분변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johnsonii IDCC 9203의 잠재적 프로바이오틱 특성 (Potential Probiotic Properties of Lactobacillus johnsonii IDCC 9203 Isolated from Infant Feces)

  • 이승훈;양은희;권혁상;강재훈;강병화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21-127
    • /
    • 2008
  • IDCC 9203은 모유 영양아의 분변으로부터 분리하였으며 분자생물학적 동정 결과 Lactobacillus johnsonii로 밝혀졌다. L. johnsonii IDCC 9203은 pH 2.3으로 조정된 MRS 액체배지에서 2시간 반응시 81%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0.3% bile이 함유된 MRS 액체배지에서는 5시간 반응시 57%의 생존율을 보여 산과 담즙에 대한 내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L. johnsonii IDCC 9203은 in vitro에서 Caco-2 cells에 대한 부착능이 우수하여 S. typhimurium KCTC 2054의 부착을 경쟁적으로 50%이상 감소시켰다 또한 in vivo에서 L. johnsonii IDCC 9203은 항생제로 교란된 mice의 장내에 정착하여 증식하였으며 이상 증식된 salmonella ($10^9CFU/g$ feces)를 초기 수준 ($(10^5CFU/g$ feces)로 감소시켰다. 이상의 결과에서 L. johnsonii IDCC 9203은 사람 및 동물에 유용한 프로바이오틱 특성을 가지고 있어 정장용 유산균으로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토우슬과 회우슬의 에탄올 추출물의 성분 및 생리활성 비교 (A Comparison of the Compon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Ethanol Extracts of Achyranthes japonica Nakai and Achyranthes bidentata Blume)

  • 이예슬;김미선;김덕진;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16-42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우슬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식품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우슬의 기원식물별 성분과 생리활성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국내산 토우슬과 중국산 회우슬의 ethanol 추출물 및 이의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을 조제하여 각각의 유용성분을 분석하고, 이들의 in-vitro 항균활성,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을 비교하였다. 국내 대한약전에서 토우슬 및 회우슬 2종 모두를 우슬로 규정하고 있으며, 구분없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나, 분석 결과 토우슬은 회우슬물보다 지용성 물질을 많이 포함하며, 회우슬의 경우 상대적으로 수용성 당류를 많이 포함하고 있었다. 또한 토우슬 및 회우슬 모두 다양한 종류의 폴리페놀들을 함유하고 있으나, 회우슬이 토우슬 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총플라보노이드 및 총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었다. 항균활성 및 ${\alpha}$-glucosidase 활성 평가 결과 토우슬의 분획물이 회우슬의 분획물보다 활성이 우수하였으며, 항산화능(DPPH 음이온 소거능, ABTS 양이온 소거능, nitrite 소거능 및 환원력)의 경우 토우슬보다 회우슬이 더욱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국내에서 동일 약재로 사용되고 있는 토우슬과 회우슬은 추출물의 경우 성분 및 효능에서 매우 유사하나, 분획물의 경우 성분 및 활성의 차이가 나타남을 의미하며, 특히 우슬 추출물의 분획물을 이용한 기능성식품 및 천연물 신약 개발시에는 국내산 토우슬과 중국산 회우슬을 구분하여 사용하여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생체활성 유리 나노입자 첨가량에 따른 치면열구전색제의 물성평가와 세균부착 억제 효과 (Effect of Physical Properties and Bacterial Adherence Inhibition of Pit and Fissure Sealant Containing Bioactive Glass Nano Particles(BGn))

  • 전수경;김동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542-549
    • /
    • 2018
  • 본 연구는 불소 미방출 치면열구전색제 $Concise^{TM}$에 제조한 생체활성 유리 나노입자(bioactive glass nano particles: BGn)를 0.5, 1.0, 2.0 wt%를 첨가하여 새로운 치면열구전색제를 조성하고 세균부착실험을 통한 세균부착 억제 효과와 물성을 평가 하였다. 물흡수도와 용해도는 ISO 4049(2009) 규격에 맞추어 직경 10 mm, 두께 2 mm 시편을 제작하여 무게를 측정하여 산출하였으며 세균부착효과는 S. mutans, S. aureus, E. coli 3개의 균주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물흡수도는 BGn 첨가가 증가할수록 높은 값을 보였으며 용해도는 첨가될수록 낮은 용해도를 보였다(p<0.05). 세균부착실험 결과 대조군 $Concise^{TM}$과 비교하여 BGn을 첨가한 S. mutans 실험군에서 다소 낮은 부착 양상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S. aureus 실험군과 E.coli 실험군에서는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이는 BGn의 세균부착 억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이라 사료된다. 향후 BGn 첨가양에 따른 효율성과 폭 넓은 물성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녹차, 삼백초, 귀룽나무 등을 포함한 식물성 추출물의 샴푸로서의 특성 (Shampoo Characteristics of Botanical Extract Containing Green Tea, Saururus chinensis and Prunus padus)

  • 황단비;신혜진;정향리;노대영;김미성;김진홍;김동욱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3권6호
    • /
    • pp.663-66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녹차, 삼백초, 귀룽나무 등을 포함한 식물성 추출물의 샴푸로서의 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녹차와 삼백초의 잎은 열수추출 후 동결건조하여 유효성분을 획득하였으며, 귀룽나무 줄기는 숙성과정을 거쳐 열수 추출 후 역삼투 및 초음파 추출로 유효성분을 획득하였다. 식물성 추출물을 함유한 샴푸, 계면활성제(Sodium dodecylsulfate, Quillaja Bark Saponin)와 피마자유 간의 계면장력을 측정한 결과, 샴푸의 계면장력은 저농도에서는 SDS와 QBS보다 낮았으나, 100% 원액에서는 대조군과 유사한 계면장력을 나타내었다. 식물성 추출물을 함유한 샴푸는 황색포도상구균과 칸디다균에 대해서는 약간의 항균력을 보였다. 식물성 추출물의 세포독성시험(MTT assay) 결과, $100{\sim}350{\mu}g/ml$ 범위의 농도에서는 80% 이상의 세포생존율을 보였으나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식물성 추출물을 함유한 샴푸의 시간변화에 따른 장기 안정성 시험결과, 제조 후 초기 3개월은 pH, 점도, 외관의 변화가 안정적이었으나 그 이후 상온이 높아짐에 따라 pH와 점도의 변화가 심하여 제형의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샴푸의 제형을 다소 개선한다면 녹차, 삼백초, 귀룽나무 등을 함유한 식물성 추출물은 샴푸로의 사용 시 높은 가능성을 보였다.

알루미늄 표면에 생물막의 형성인자 및 항균제에 의한 생물막 제거효과 분석 (Study of Formation Factor of Biofilm on Aluminum surface and Removal Efficiency of Biofilm by Antimicrobials)

  • 박상준;오영환;조보연;이재신;이상화;정재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3권6호
    • /
    • pp.730-739
    • /
    • 2015
  • 에어컨을 작동 시 악취가 심하게 느껴지는 차량 25대에서 총 108종의 미생물(곰팡이 79종, 세균 29종)이 분리되었으며, 곰팡이 43종, 세균 23종이 동정되었다. 차량 내 에어컨 작동 시 발생하는 응축수를 분석한 결과 pH 6.4~7.1, 탄소원 12.5~34.2 mg/L, 질소원 0.9~18.6 mg/L, 이온성분 0.5~27.8 mg/L, 미네랄성분 0.1~7.7 mg/L로 분석되었다. 생물막은 중온성 세균에 의해 여름철 온 습도 조건($26^{\circ}C$, 70% R.H.)에서 형성되었고, 생물막을 인위적으로 제거하더라도 환경인자(영양성분 및 온 습도)가 적합하면 재생됨이 확인되었다. 항균제의 항균 활성은 부유성 세균에 대해 15분 이내에 99.9%의 균 감소율을 보였지만, 항균제의 생물막 제거효과는 없었다. 항균제를 처리한 차량 내에서는 에탄올 성분이 최대 1,940 ppmv이 검출되었고, 에탄올의 흡입 시 급성독성치 보다는 작았지만, 사용된 화학물질들의 인체 안전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여러 식물병원성 진균을 억제하는 Streptomyces costaricanus HR391의 항진균능 (Antifungal activity of Streptomyces costaricanus HR391 against some plant-pathogenic fungi)

  • 김혜령;송홍규
    • 미생물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437-443
    • /
    • 2016
  • 여러 토양에서 분리한 400여 개의 방선균 균주에 대해 4가지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조사하였으며 그 중 Streptomyces costaricanus HR391 균주는 PDB 배지에서 식물병원성 진균인 Fusarium oxysporum f. sp. raphani, F. oxysporum f. sp. niveum, F. oxysporum f. sp. lycopersici와 Rhizoctonia solani의 균사 생장을대조군과 비교하여 각각 26.5, 26.2, 21.2와 23.8% 저해하였다. S. costaricanus HR391은 항진균물질인 siderophore를 $98{\mu}M$을 생성할 뿐만 아니라 유화활성을 나타내며 막지질을 파괴할 수 있는 생물계면활성제인 rhamnolipid와 lipopeptide인 iturin A와 surfactin를 생성하였다. 또한 진균 세포막을 분해할 수 있는 chitinase와 glucanase 활성도 나타내었으며 병원균의 막을 파괴하는 AMP와 항생물질 phenazine도 분비하였다. 이외에도 식물생장 촉진활성을 갖는 zeatin, gibberellin과 indole acetic acid 같은 식물호르몬도 생성하였다. 이와 같이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는 S. costaricanus HR391 균주는 다양한 종류의 항진균 물질의 상승작용과 더불어 높은 생물계면활성이 본 균주의 항진균 활성에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이며 친환경적인 생물학적 항진균제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