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fungal antibiotics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3초

Effects of a low-FODMAP enteral formula on diarrhea on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

  • Bae, Eunjoo;Kim, Jiyoon;Jang, Jinyoung;Kim, Junghyun;Kim, Suyeon;Chang, Youngeun;KIM, MI YEON;Jeon, Mira;Kang, Seongsuk;Lee, Jung Keun;Kim, Tae Go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5권6호
    • /
    • pp.703-714
    • /
    • 2021
  • BACKGROUND/OBJECTIVES: A dietary restriction on the intake of fermentable oligosaccharides, disaccharides, monosaccharides, and polyols (FODMAPs) has been reported to b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gastrointestinal (GI) tract complications. Enteral nutrition (EN) is widely used for patients who cannot obtain their nutritional requirements orally, but many studies have reported EN complications, especially diarrhea, in up to 50% of patients. SUBJECTS/METHODS: We performed a single-center, non-randomized, controlled trial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 low-FODMAP enteral formula on GI complications in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s (ICUs). Patients in the ICU who needed EN (n = 66) were alternately assigned to the low-FODMAP group (n = 33) or the high-FODMAP group (n = 33). RESULTS: Anthropometric and biochemical parameters were measured, and stool assessment was performed using King's Stool Chart. We excluded patients who received laxatives, GI motility agents, proton pump inhibitors, antifungal agents, and antibiotics other than β-lactam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GI symptoms during 7 days of intervention, including bowel sound, abdominal distension, and vomiting between the 2 groups. However, diarrhea was more frequent in the high-FODMAP group (7/33 patients) than the low-FODMAP group (1/33 patients) (P = 0.044).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a low-FODMAP enteral formula may be a practical therapeutic approach for patients who exhibit enteral formula complications. Our study warrants further randomized clinical trials and multicenter trials.

망아지에서 발생한 녹는궤양(Melting Ulcer)의 치료 (Treatment of Melting Ulcer in a Foal)

  • 배영림;이은비;송민근;이주명;강태영;서종필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88-92
    • /
    • 2019
  • A 6-month-old male thoroughbred foal with melting ulcer after left eye trauma was referred to Equine Hospital of Jeju National University. The left eye did not respond to the menace reflex test. Bacteria were not observed on corneal smear and culture test, and fluorescein staining revealed corneal injury. Subpalpebral Lavage (SPL) catheter was installed through the upper left eyelid. And the antibiotics, mydriatic and antifungal agents were administered using SPL. In addition, temporary tarsorrhaphy was performed and a hard cup hood was applied. After 2 weeks, the temporary tarsorrhaphy was removed and severe corneal neovascularization was found. On the 39th day of treatment, the left eye was responding to the menace reflex test and granular tissue formation was confirmed in the ulcer area. During the 2 months follow-up, we found that the granulation tissues decreased significantly. This case report describes a successful recovery of severe melting ulcers in a foal by intensive treatment.

Antimicrobial and Cytotoxic Activity of Endophytic Fungi from Lagopsis supina

  • Dekui Zhang;Weijian Sun;Wenjie Xu;Changbo Ji;Yang Zhou;Jingyi Sun;Yutong Tian;Yanling Li;Fengchun Zhao;Yuan Ti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4호
    • /
    • pp.543-551
    • /
    • 2023
  • In this study, five endophytic fungi belonging to the Aspergillus and Alternaria genera were isolated from Lagopsis supina.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all fungal fermented extracts against Staphylococcus and Fusarium graminearum was tested using the cup-plate method. Among them, Aspergillus ochraceus XZC-1 showed the best activity and was subsequently selected for large-scale fermentation and bioactivity-directed separation of the secondary metabolites. Four compounds, including 2-methoxy-6-methyl-1,4-benzoquinone (1), 3,5-dihydroxytoluene (2), oleic acid (3), and penicillic acid (4) were discovered. Here, compounds 1 and 4 displayed anti-fungal activity against F. graminearum, F. oxysporum, F. moniliforme, F. stratum, Botrytis cinerea, Magnaporthe oryzae, and Verticillium dahlia with diverse MIC values (128-512 ㎍/ml), which were close to that of the positive control antifungal, actidione (64-128 ㎍/ml). Additionally, compounds 1 and 4 also exhibited moderat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Escherichia coli, and Salmonella enterica, with low MIC values (8-64 ㎍/ml). Moreover, compounds 1 and 4 displayed selective cytotoxicity against cancer cell lines as compared with the normal fibroblast cell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endophytic fungi from L. supina can potentially produce bioactive molecules to be used as lead compounds in drugs or agricultural antibiotics.

슬관절 전치환술 후 인공관절 주위 진균 감염의 임상적 결과 (Clinical Result of a Staged Reimplantation of Fungus Related Periprosthetic Joint Infection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 김형주;배기철;민경근;최형욱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52-58
    • /
    • 2019
  • 목적: 슬관절 전치환술 후 진균에 의한 감염은 드물지만 심각한 합병증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치료에 있어 항진균제 투여 기간이나 수술의 방법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다. 이에 저자들은 인공 관절 주위 진균 감염에 대한 치료 결과 및 임상경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부터 2017년까지 슬관절 전치환술 후 진균 감염으로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에서 2단계 재치환술을 시행받은 10명의 환자를 같은 기간 비진균 인공 슬관절 주위 감염으로 치료받은 119명의 환자와 비교하였다. 임상적 평가는 2단계 재치환술에 의한 감염 조절의 실패율과 감염의 재발률 및 정주용 항생제 및 항진균제 사용기간, 2단계 재치환술 후 관절 운동 범위, 한국형 슬관절 점수(Korean knee score, KKS), 적혈구 침강속도(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SR), C-반응성 단백질(C-reactive protein, CRP)을 평가하였다. 결과: 진균이 동정된 군 총 10예 중 7예(70.0%)에서 감염조절의 실패를 보였고 일반 감염군 119예 중 7예(5.9%)에서 감염조절의 실패를 보였다(p=0.04). 진균이 동정된 군에서는 정주용 항진균제의 평균 사용기간은 15.3주로 일반 감염군에서의 정주용 항생제 평균 사용기간인 6.2주에 비해 9.1주 더 길었다(p<0.001). 감염 조절술 시행 전 슬관절 운동 범위는 두 군에서 모두 증가하였다(p=0.265). 최종 추시 시 KKS는 일반 감염군에서 평균 71.01점으로 나타났고 진균이 동정된 군에서 61.3점이었다(p=0.012). ESR과 CRP는 두 군에서 모두 감소하였으나 CRP만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7). 결론: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인공관절 주위 진균 감염에 대한 수술적 치료는 일률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보이지 않으므로 감염 조절술 시행 시 항진균제 혼합 시멘트 삽입과 재치환술 후 경구용 항진균제 사용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소아암 환자에서 발생한 막창자염(typhlitis)의 치료성적 (Outcome of typhlitis in children with cancer)

  • 이재민;최광해;하정옥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2호
    • /
    • pp.156-161
    • /
    • 2008
  • 목 적 : 막창자염은 면역기능이 저하되고 호중구가 감소된 소아암 환자에서 호발하는 괴사성 장염으로 사망률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항암치료 중 발생한 막창자염에 대하여 적극적인 내과적 치료와 항생제 치료를 시행하여 그 치료성적을 분석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2년 8월부터 2007년 7월까지 영남대학교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여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소아암 환자 207명 중 막창자염으로 진단받은 12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진단은 임상증상과 신체검진소견, 복부단순촬영검사, 복부초음파검사와 복부전산화단층촬영으로 하였다. 항암화학요법 시행 후 증상 발생일, 백혈구수, 절대호중구수, 치료항생제의 종류 및 치료기간과 치료결과를 분석하였다. 결 과 : 막창자염으로 임상적 진단을 받은 환자는 12명(5.7%)이었으며, 임상증상은 복부통증 및 압통 12명(100%), 발열 12명(100%), 설사 9명(75%), 구토 5명(41%), 반발압통 3명(25%) 등이었다. 항암화학요법 종료일로부터 증상 발생일까지의 기간의 중앙값은 12일(범위 3-18일)이었다. 백혈구수의 중앙값은 340 / L$(30-1,270/{\mu}L)$이었으며, 절대호중구수의 중앙값은 $116/{\mu}L(0-648/{\mu}L$)이었다. 치료는 항생제 요법과 충분한 수분 공급 및 장의 휴식 등 보존적 요법을 시행하였으며 환자 12명 모두 증상이 호전되었고, 수술적 치료를 받은 경우는 없었다. 항생제 조합의 선택에 따른 항생제 사용기간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P=0.74). 결 론 :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소아암 환자에서 발열, 우하복부 압통, 호중구감소증이 있을 때는 막창자염을 의심하여야 하며, 조기진단 및 적극적인 내과적 치료와 항생제 요법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

토양병원균(土壤病原菌) 길항성(拮抗性) Streptomyces sp. A-2 활성물질(活性物質)의 특성(特性)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Characterization of Active Substances from Antagonistic Streptomyces sp. A-2 Strain against Soil-borne Phytopathogen)

  • 박경수;류진창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01-406
    • /
    • 1992
  • 우리나라 28개 지역(地域) 논밭 토양에서 수집한 시료에서 방선균(放線菌) 108주를 분리하고, 고추역병균, 참깨역병균 및 채소입고병균에 종합적으로 항균력을 갖는 Streptomyces sp. A-2를 선발하여 그 활성물질(活性物質)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G.Y.B., $M\ddot{u}eller$, B.H.I., Czapek 등의 배지중에서 길항성(拮抗性)의 효과가 가장 잘 이전되는 배지는 G.Y.B. 및 B.H.I. 배지이었고, 주(主) 활성물질(活性物質)은 에칠아세테이트로 이전(移轉)되는 군과 수층(水層)에 잔존하는 군으로 구분되었으며 이들 물질은 열(熱)과 압력(壓力)에 매우 강한 결태형태(結台形態)를 보였다. 2. 길항성(拮抗性) Streptomyces sp. A-2에 의해 배양된 여액의 pH를 3이나 12로 조정하여 길항물질을 추출하여 3개 식물병원균에 대한 길항력 검정을 실시한 결과 pH를 달리한 추출법에서 별다른 차이점이 없었다. 이들 분획의 UV 스펙트럼은 폴리엔 길항활성의 마크로라이드의 그것과 유사하였으므로 폴리엔계 항생제가 이 균주의 길항성에 관련하는 주(主) 물질(物質)이라고 추정되었다.

  • PDF

유전체 스크리닝으로 선별된 Nocardiopsis 균주의 대장균 접합을 통한 유전자 도입전략 최적화 (Gene Transfer Optimization via E. coli-driven Conjugation in Nocardiopsis Strain Isolated via Genome Screening)

  • 전호근;이미진;김현범;한규범;김응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04-110
    • /
    • 2011
  • 방선균은 그램양성 토양 박테리아로서 항생제, 항암제, 항구충제, 면역억제제 등 유용한 2차 대사산물을 생산하는 유용 산업미생물이다. 비록 대부분의 방선균이 속해있는 스트렙토마이세스는 지난 수 십 년간 분자수준에서의 연구가 집중적으로 진행되어 왔으나, 최근에 분리된 잠재적 유용성을 갖는 스트렙토마이세스 이외의 희소방선균들은 유전자 조작시스템의 부재로 그 특성이 잘 규명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독립적으로 분리된 180 여 방선균주들 중에서 희소방선균만을 선별하기 위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한 유전체 스크리닝 전략을 시도하였으며, 이 전략을 통하여 7종의 희소방선균을 성공적으로 분리하였다. 특히 여러 생리활성 테스트를 통하여, 항진균 및 항생제 활성을 띄는 잠재적 유용성이 높은 노카이디옵시스 균주 MMBL010을 선별하였다. 또한 전통적인 방선균 유전자 조작기법이 작동하지 않는 본 MMBL010 균주를 대장균 접합을 통한 유전자 전달 시스템도 최적화시킴으로써, 유전체 스크리닝을 통한 유용희소방선균의 선별 및 유전자 조작시스템 구축은 궁극적으로 희소방선균의 잠재적 유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전략으로 사료된다.

항생물질을 생산하는 Pseudomonas sp. BCNU 2001 균주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an Antimicrobial Substance-producing Pseudomonas sp. BCNU 2001)

  • 양욱희;최혜정;안철수;정영기;김동완;주우홍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55-262
    • /
    • 2010
  • 본 연구팀은 태백산 지역에서 토양 시료들을 채취하여 다양한 균주들을 분리 탐색하는 과정에서 BCNU 2001 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균주의 생화학적 특징과 16S 리보좀 RNA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 결과, 분리균주가 Pseudomonas aeruginosa에 속함이 확인되었다. 분리균주 BCNU 2001의 상등액은 다양한 세균과 진균에 대해 항균활성이 있었으며 특히 분리균주 BCNU 2001는 Micrococcus luteus, Proteus mirabilis, Proteus vulgaris, 그리고 Aspergillus niger의 생육을 크게 저해할 수 있었으며, Micrococcus luteus, Proteus mirabilis, Proteus vulgaris, 그리고 Aspergillus niger에 대하여 각각 18.5mm, 19.0mm, 17.0mm 그리고 13.5mm 크기의 저해환을 나타내었다. 분리균주 BCNU 2001의 핵산 분획물과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은 세균에 대해 높은 항균력을 보였으며 디클로로메탄 분획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진균에 대해 높은 항균력을 보였다. 또한 Pseudomonas sp. BCNU 2001 균주는 그람양성 세균, 그람음성 세균 그리고 진균을 포함한 다양한 미생물들에 대하여 항균력이 있는 항균 펩타이드를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실험을 통하여 얻은 결과는 Pseudomonas sp. BCNU 2001 균주의 유용성에 대한 예비적인 기초를 제공한다.

금속 나노입자의 생체 합성과 항균적 적용 (Biogenic Synthesis of Metallic Nanoparticles and Their Antibacterial Applications)

  • 마헤쉬쿠마 프라카쉬 파틸;김종오;서용배;강민재;김군도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9호
    • /
    • pp.862-872
    • /
    • 2021
  • 최근 생물의학 분야에서의 광범위한 응용 가능성에 의하여 식물이나 미생물을 이용한 은(Ag), 금(Au), 백금(Pt), 세륨(Ce), 아연(Zn), 구리(Cu) 등의 금속 나노물질 합성에 관한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식물은 플라보노이드, 알칼로이드, 사포닌, 스테로이드 탄닌과 각종 영양 성분과 같은 생리 활성 물질을 풍부하게 가지고 있으며, 유사하게 미생물들도 단백질과 같은 생리활성 대사산물이나 색소, 항생제 및 산과 같은 가치가 있는 화학물질을 분비한다. 최근 보고된 바에 의하면, 나노입자의 생체 합성은 무해한 방법일 뿐만 아니라 항균, 항진균, 세포 증식 억제 및 항플라스모디아 활성과 같은 생물의학 분야로서의 적용에 주요한 후보로 여겨진다. 나노입자의 이러한 생리 활성은 농도에 의존적이며, 나노입자의 모양과 크기에도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미생물과 식물은 나노입자의 친환경적합성에 사용되는 대사산물이나 화학물질 등의 훌륭한 공급원으로서 생물 의학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미생물 또는 식물 원료를 사용하여 합성된 나노입자는 화학적인 방법으로 합성된 나노입자보다 더 낮은 독성을 나타낸다. 본 리뷰논문에서는 미생물이나 식물과 같은 생물학적 재료를 이용한 나노입자의 합성과, 합성에 사용되는 다양한 기술의 특성 및 나노입자의 항균 분야에서의 적용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서술하였다.

오존화 올리브 오일의 세균과 Candida alicans에 대한 항미생물 활성 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Effects of Ozonized Olive Oil Against Bacteria and Candida albicans)

  • 정경태;김병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23-230
    • /
    • 2019
  • 오존은 박테리아, 원생동물, 효모 및 진균과 같은 미생물을 사멸시킬 수 있는 기체 분자이다. 그러나 오존 가스는 대기 중에서 불안정하기 때문에 쉽게 사용할 수 없다. 최근에 오존을 쉽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식물성 오일을 활용하는 방법이 개발되었고, 활용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오존은 지방산의 C-C 이중 결합과 반응하여 오존화된 오일로 전환 될 수 있다. 이 반응에서 오존 처리된 오일의 지방산 내에서 오각형 고리 구조화합물인 오조나이드가 생성된다. 이 연구에서는 올리브 오일을 사용하여 오존 처리된 오일이 4 종류의 세균과 곰팡이에 대해 중요한 항미생물 활성을 갖는다는 가설을 연구하였다. 오존화 올리브 오일을 4 가지 피부 감염미생물 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2), Staphylococcus epidermidis (ATCC 12228), Pseudomonas aeruginosa (ATCC 27853), Candida albicans (ATCC 10231) 및 장내 세균인 Escherichia coli에 처리하였다. 항미생물 활성은 미국 국립 임상 실험 표준위원회 방법(National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USA)에 따른 disk 확산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최소억제농도(MIC)는 S. aureus에 대해 0.25 mg, S. epidermidis에 대해 0.5 mg, P. aeruginosa에 대해 3.0 mg 및 E. coli에 대해 1.0 mg로 나타나 오존화 올리브 오일은 그람음성균보다 그람양성균에 더 효과적이었다. 또한, S. aureus와 MRSA에 대한 항균활성을 비교하였을 때 MRSA에서 오존화된 올리브 오일이 S. aureus보다 더 민감하게 작용하였으며, 진균인 C. albicans는 한 시간 이내에 사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오존화 올리브 오일이 강력한 항미생물 물질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