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wrinkle cosmetics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34초

자생식물 11종의 항산화 및 항주름에 관한 향장효능 검증 (A Verification of Cosmetic Effect about Anti-oxidant and Anti-wrinkle of 11 Native Plants)

  • 장영아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782-78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의 천연소재로 사용 가능함을 알아보기 위해 추출부위가 각각 다른 총 11종의 자생식물의 항산화, 항주름에 관한 생리활성 효능을 스크리닝 하였다. DPPH scavenging assay 측정결과 100 μg/ml 농도에서 70% 넘는 활성을 나타낸 시료는 순비기나무, 송이고랭이, 방울고랭이, 큰고랭이, 자귀풀이었다.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assay 측정결과 1,000 μg/ml 농도에서 물꼬챙이골을 제외한 10종이 90%넘는 활성을 나타내었다. Xanthine oxidase scavenging assay 측정결과 1,000 μg/ml 농도에서 순비기나무(Leaf; 86.3%)가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4가지 항산화 실험에서 모두 효능이 우수하게 나온 시료는 순비기나무, 송이고랭이, 방울고랭이, 큰고랭이, 자귀풀이며 그중 collagenase 저해활성 측정결과 방울고랭이가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어 항산화 및 항주름에 효능이 있는 시료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활성이 높은 자생식물은 화장품에 사용되는 천연소재로 이용이 가능한 좋은 수종으로 판단된다.

한방화장품의 눈가 주름 개선 효과 (The effect of enhancing eye-wrinkle applying traditional herb medicine cosmetics)

  • 강신정;김애정;이명숙;이연희;지중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335-340
    • /
    • 2011
  • 맥문동, 차가버섯, 감초, 흑삼, 백출, 백복령, 당귀, 숙지황, 천궁, 작약의 추출물을 이용한 한방소재로 에센스와 크림을 제조하여 눈가의 주름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균연령 44.8세의 한국인 중년여성 6명을 대상으로 에센스 사용 후 크림 사용으로 매일 2회씩(아침, 저녁), $1cm^2$당 2mg씩, 4주간 연속 사용하도록 한 다음, 4주 경과 후 눈가 주름의 모사판을 제작하여 영상 분석하였다. 눈꼬리 주름 모사판 영상분석 결과, 에센스와 크림 사용 4주 후 주름 R1은 $3.22{\pm}0.85$에서 $2.38{\pm}0.32$, R2는 $3.08{\pm}0.83$에서 $2.22{\pm}0.32$, R3는 $2.29{\pm}0.64$에서 $2.29{\pm}0.64$, R4는 $0.44{\pm}0.14$에서 $0.44{\pm}0.14$, R5는 $0.98{\pm}0.21$에서 $0.98{\pm}0.21$로 유의하게 감소하여(P<0.05), 본 시료는 눈가주름개선에 효과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산국 에센셜오일을 함유한 화장품의 주름개선 임상효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ti-wrinkle Properties of Cosmetics Containing Essential Oil from Chrysanthemum boreale MAKINO)

  • 최인호;황대일;김도윤;김하빈;이환명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42-446
    • /
    • 2019
  • 산국 에센셜오일의 채취시기별 특성과 in vitro 항산화, 미백, 피부재생 및 주름개선 활성이 본 연구진에 의해 최근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산국 에센셜오일(0.1%, v/v)이 함유된 크림제형의 화장품에 대해 주름개선 효능 및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피시험자는 자연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42세에서 60세까지의 22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8주 동안 산국 에센셜오일 함유 화장품을 눈가주변에 도포하였다. 인체 피부 안전성은 피부과 전문의의 육안관찰 소견을 확보하고, 피부 주름개선 효능은 visiometer를 이용하여 roughness를 측정 하였다. 산국 에센셜오일 함유 화장품 및 대조시료는 시험기간 동안 인체에 홍반, 알러지 등의 이상반응을 유발하지 않았으며, 시험부위(test)는 대조부위(placebo)에 비해 roughness 지수 감소의 폭이 더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R1, R2, R3 지수는 크림 사용 2주 후부터 시험부위가 대조부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p<0.05)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산국에센셜오일 함유 화장품"은 인체 안전성이 확보되었으며, 피부주름 개선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어 향후 비고시 주름개선 기능성화장품으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흑삼을 함유한 한방소재 화장품의 주름개선 효과 (Anti-wrinkle Effect of Oriental Medicine Cosmetics Containing Black Ginseng)

  • 강신정;김애정;이명숙;이연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3325-3329
    • /
    • 2010
  • 맥문동, 차가버섯, 감초, 보기보혈(백출, 백복령, 당귀, 숙지황, 천궁, 작약)의 한방약재에 ginsenoside Rg3가 강화된 흑삼을 첨가한 토너와 로션을 제조하여 주름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균연령 42.5세의 한국인 중년여성 6명을 대상으로 토너사용 후 로션사용으로 매일 2회씩(아침, 저녁) 4주간 연속 사용하도록 한 다음, 실험 4주 후에 눈가 주름의 모사판을 제작하여 영상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책임자가 시료의 피부 안전성을 관찰하기 위해 육안 검사도 함께 수행하였다. 눈꼬리 주름 모사판 영상분석 결과, 토너와 로션 사용 4주 후 주름 R1은 $3.15{\pm}0.35$에서 $2.28{\pm}0.22$, R2는 $2.99{\pm}0.37$에서 $2.13{\pm}0.21$, R3는 $2.09{\pm}0.31$에서 $1.56{\pm}0.18$, R4는$0.37{\pm}0.05$에서 $0.29{\pm}0.03$, R5는 $0.89{\pm}0.1$에서 $0.75{\pm}0.06$로 유의하게 감소하여(P<0.05), 본 시료는 주름개선에 효과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방 원료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를 통한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치 평가 (The Evaluation of Anti-wrinkle Effects in Oriental Herb Extract)

  • 강금석;김인덕;권륜희;허예영;오상훈;김민아;정혜진;강환열;하배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8호통권88호
    • /
    • pp.1147-1151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7가지 한방원료(음양곽, 복분자, 오미자, 구기자 , 건지황 l 사상자 , 토사자)의 항산화 효과, collagen 합성 촉진 효과, collagenase 활성 저해 효과를 비교 평가함으로써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항산화 실험인 DPPH 소거 효과, 리놀산 자동산화 억제 효과, superoxide radical 소거 효과, hydroxyl radical 소거 효과에서는 음양곽, 복분자, 오미자, 구기자가 대체적으로 뛰어난 활성을 보여 항노화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주름개선 실험인 collagen 합성 촉진 효과, collagenase 저해 효과에서는 건지황, 사상자, 토사자가 다른 네 가지 물질에 비해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어 주름개선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7가지 한방원료가 항산화 및 주름개선 효능을 나타내므로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부평초 추출물의 미백 및 항주름 효과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ect of Spirodela polyrhiza extracts)

  • 김동희;박태순;김세기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2권4호
    • /
    • pp.391-398
    • /
    • 2019
  • 부평초 추출물 및 부평초 분획물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효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항산화, 항주름 및 미백 활성을 평가하였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부평초 70% 에탄올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SE-E) 100 ㎍/mL 농도에서 각각 44.2와 74.3%로 나타났다. 항주름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세포내에서의 procollagen 생합성 활성과 MMP-1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부평초 70% 에탄올추출물(SE)은 25 ㎍/mL 농도에서 48.5%, 같은 농도에서 SE-E는 가장 높은 57.8%의 생합성 활성을 나타내었다. SE와 SE-E의 MMP-1 저해활성은 25 ㎍/mL 농도에서 각각 13.4와 28.5%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미백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melanin 생합성 저해 활성과 세포내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25 ㎍/mL 농도에서 SE는 각각 9.6과 13.8%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SE-E는 각각 15.4와 22.0%의 값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SE와 SE-E의 높은 항주름 및 미백 활성이 확인되어 우수한 기능성 소재로 개발 가능성이 높아 졌으며 추가적인 항균, 항염, 항암 등의 연구가 진행된다면 제약, 화장품, 기능성 식품 등의 분야에 효과적인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orcine Placenta의 기능성 화장품소재 특성 (Functional Cosmetic Effect of Porcine Placeta)

  • 김보영;김타곤;강환열;백현;전혜영;김동욱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8권3호
    • /
    • pp.327-331
    • /
    • 2010
  • 돈 태반의 화장품소재로서의 응용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알칼리 가수분해, 효소처리 및 산처리 가수분해 방법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돈 태반 추출물의 중금속함량을 측정한 결과 납, 비소, 수은 등이 매우 낮아서 화장품소재로서 적절하였다. 화장품소재의 안전성시험(MTT assay) 결과 돈 태반 추출물은 모두 $50{\mu}g/ml$의 농도에서 80% 이상의 세포생존율을 보여주어서 독성이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ssay를 사용한 항산화시험 결과, $50{\mu}g/ml$의 농도에서 pH9로 알칼리 처리한 경우가 항산화율이 63%로 가장 높았다. Tyrosinase 활성저해시험을 사용한 미백효과 측정 결과 $50{\mu}g/ml$의 농도에서 알칼리처리한 추출물의 효과가 30% 정도의 tyrosinase 억제효과를 보여주어서 가장 우수하였지만, 대조군인 arbutin이나 비타민 C에 비해 그 효과가 다소 낮았다. Elastase 활성억제시험을 이용한 주름개선 효과 측정결과 $50{\mu}g/ml$의 농도에서 5가지의 처리법에서 모두 20~30%의 elastase 저해활성을 보여주어서, 대조군보다 우수하였으며, 특히 효소처리한 추출물의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돈 태반 추출물 1%를 함유한 스킨제형을 제조하여 온도, 시간에 따른 안정성 시험결과, 안정성 역시 매우 우수하였다. 따라서 돈 태반 추출물은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소재로서의 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울릉도 자생식물 삼나물(Aruncusdioicus)의 항산화 활성 검증 (Verification of anti-oxidative activity of Aruncus dioicus, a native plant of Ulleungdo)

  • 김동희;문용선;손준호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2권1호
    • /
    • pp.55-59
    • /
    • 2015
  • 삼나물 추출물의 항산화 및 생리활성 효과를 검증하여 화장품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항산화 실험 결과 삼나물의 ethyl acetate (EtOAc) 분획물 $1,000{\mu}g/mL$ 농도에서 DPPH, ABTS와 같은 전자 공여능 실험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났다. 미백효과 측정을 위한 tyrosinase 활성 억제도 삼나물 EtOAc 분획물에서 59.2%의 효과를 나타내었고, elastase 활성은 56% 그리고 collagenase 활성은 90% 저해효과로 항주름 효과가 검증되었다. 따라서 삼나물 추출물 특히 EtOAc 분획물은 우수한 항산화, 항주름 및 미백 생리활성으로 화장품의 새로운 기능성 소재로서 응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한 미세조류 유래 오일의 광노화 억제 효과 연구 (Study on Photo-aging Inhibition Effect of Microalgae-derived Oil for Cosmetic Material Development)

  • 박은경;박상희;윤상아;김유선;이우람;김우중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83-90
    • /
    • 2018
  • Ultraviolet (UV) radiation causes inflammation and matrix metalloproteinase (MMP) over-expression and extra cellular matrix depletion, leading to skin photo-aging such as wrinkle formation, dryness, and sagging.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that pretreatment with the hexane extract of microalgae protects UVB mediated cell damages. The results of clinical study showed that Microalgal Oil treated group reduced wrinkle and improve elasticity. All these results suggest Microalgal Oil may be useful as new photo-aging cosmetics for protection against UV induced activity.

우방자에서 분리한 주름개선 화합물 (Anti-wrinkle Compounds Isolated from the Seeds of Arctium lappa L.)

  • 황주영;박태순;김동희;황은영;이정노;이지영;이강태;이건국;손준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8호
    • /
    • pp.1092-109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우방자를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n-hexane, methylene chloride, ethyl acetate로 순차용매 분획하였다. 각 분획물에 대해 activity-guided isolation을 수행하여 활성물질의 분리 정제를 실시하였다.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은 silica gel chromatography (230 mesh), sephadex LH 20, recrystallization method를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각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NMR 스펙트럼 데이터 해석하였고 arctiin, arctigenin, diarctigenin, matairesinol 으로 동정하였다. 이들을 human dermal fibroblast HS68 세포에 처리하여 얻어진 상등액은 ELISA kit를 활용하여 procollagen type I 생합성과 MMP-1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procollagen type I 생합성과 MMP-1 저해활성 결과 모두 arctiin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우방자에서 분리한 리그난 화합물들을 이용하여 주름개선 소재로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