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microbial activity

검색결과 317건 처리시간 0.038초

유암 처방에 사용되어온 한약재 복합 처방전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에 관한 연구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Herb-combined Remedies used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for Treating Breast Cancer)

  • 최은옥;손다희;김민영;황보현;김홍재;정진우;홍수현;박철;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80-688
    • /
    • 2016
  • 본 연구에서 동의보감에 기록된 유암 치료에 사용되어온 5가지 한약재 처방전인 십육미류기음, 단자청피탕, 지패산 Ⅰ, 지패산 Ⅱ와 청간해울탕의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총 페놀 함량의 비교 분석과 항산화능 및 항균활성능을 비교 조사하였다. 열수와 70% 에탄올 추출물의 수율은 각각 지패산 Ⅱ와 단자청피탕이 가장 높았으며, 총 페놀 함량은 다른 한약재에 비해 단자청피탕이 가장 높았다. 열수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 지패산 Ⅰ < 청간해울탕 < 지패산 Ⅱ < 십육미류기음 < 단자청피탕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70% 에탄올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지패산 Ⅱ < 지패산 Ⅰ < 청간해울탕 < 십육미류기음 < 단자청피탕 순으로 풍부하였다. 그 중 단자청피탕과 십육미류기음의 환원력과 DPPH radical과 ABTS radical 소거능이 가장 뛰어났으며, 이들 시료의 총 페놀 함량과 그들의 항산화능과의 밀접한 상관도가 관찰되었다. 또한 Staphylococcus aureus 및 Escherichia coli에 대한 항균활성은 열수보다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효과가 높게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유암의 치료에 사용되었던 조사 대상 한약재 처방전은 항산화와 항균 활성은 그들의 총 페놀 함유량과 연관성이 높았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각 처방전에 대한 구체적인 생리활성 비교를 위한 자료로서 활용될 것이다.

큰실말(Cladosiphon novae-caledoniae Kylin) 부산물의 화장품소재 특성 (Cosmetic Effects of Dietary Fiber from Mozuku, Cladosiphon novae-caledoniae Kylin)

  • 김인혜;이재화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85-295
    • /
    • 2016
  • 큰실말(Cladosiphon novae-caledoniae kylin, C. novae-caledoniae kylin) 부산물을 이용하여 화장품 소재로써 가능성을 조사하고자, 항산화 효과(DPPH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 항균(anti-microbial activity), 미백(tyrosinase inhibition assay), 주름개선(elastase inhibition assay) 및 B16F10 mouse melanoma cell (MTT assay)을 이용한 세포 생존률을 측정하였다. 큰실말 추출물 원물(MC)과 불용성(MI)은 Staphyloccus aureus (S. aureus)와 항생제내성균주인 MRSA에 대하여 활성을 나타내었지만 항곰팡이 활성은 나타내지 않았다. 큰실말 추출물 수용성(MS)은 tyrosine에 대한 tyrosinase 저해효과가 49%로 표준물질인 arbutin 보다 미백효과가 우수하였지만 주름개선효과는 비교적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력은 $500{\mu}g/mL$에서 89%로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인 큰실말 추출물은 화장품 미백소재로써 좋은 후보군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논문 철회] 말오줌나무(Sambucus sieboldiana var. pendula) 잎 유래 phenol성 물질의 생리활성 효소 저해 및 항균효과 ([Retracte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biological enzyme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phenolics from Sambucus sieboldiana var. pendula Leaves)

  • 이은호;홍신협;박혜진;김병오;정희영;강인규;조영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1호
    • /
    • pp.5-11
    • /
    • 2021
  • 말오줌나무 잎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말오줌나무 잎 추출물의 생리활성은 말오줌나무 잎 추출물에 함유되어있는 phenolic성분들에 의해 효과가 발현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말오줌나무 잎으로부터 생리활성에 관여하는 phenolic 화합물을 물과 에탄올로 추출하였을 때 각각 11.60±0.18과 12.39±0.07 mg/g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말오줌나무 잎의 ACE 저해 활성은 50-200 ㎍/mL의 phenolic을 함유한 물과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71.94-92.08와 48.42-78.33%의 저해 활성이 측정되었으며, 농도의존적인 양상을 나타내었다. 말오줌나무 잎 추출물의 XOase에 대한 추출물의 저해 활성은 50-200 ㎍/mL의 phenolic을 함유한 물과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42.11-100와 35.61-100%의 매우 우수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말오줌나무 잎 추출물에 대한 HAase 저해활성은 200 ㎍/mL의 phenolic을 함유한 농도에서 물과 에탄올 추출물이 각각 25.35±0.41와 43.38±2.26%의 HA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말오줌나무 잎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충치균인 S. mutans와 식중독균인 S. aureus 및 여드름균인 P. acnes에 대한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말오줌나무는 고혈압억제, 통풍억제 및 염증억제 작용 등의 생리활성 및 S. mutans와 S. aureus 및 P. acnes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어 말오줌나무를 활용한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 산업화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저식염 고추장 양조시 항균물질 혼합첨가의 영향 (Effect of Combined Use of various Anti-microbial Materials on Brewing of Low Salted Kochujang)

  • 박선주;김동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4호
    • /
    • pp.287-294
    • /
    • 2007
  • 소금농도를 9%에서 6%로 줄이고 항균물질로 알코올과 겨자, 키토산을 혼합첨가 하여 제조한 저식염 고추장의 숙성중의 효소활성도와 미생물상 및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숙성 중 수분활성도의 저하는 식염 9%인 대조구에서 심하였고, 숙성 중에 효모수는 증가하였으나 알코올-겨자 혼합 첨가로 효모수를 조절할 수 있었다. 고추장 숙성 중 ${\beta}-amylase$ 활성은 항균물질 첨가시 증가하였으나 ${\alpha}-amylase$와 protease 활성은 조금 감소하였다. 고추장은 숙성이 진행되면서 L차 a-, b-값이 증가하였으며 알코올 첨가 고추장이 $({\Delta}E)$값의 변화가 적었다. 적정산도는 항균물질의 첨가로 숙성 후기에 저하되었으며, 산화환원전위의 저하는 대조구에서 심하였다. 고추장 숙성 중 총당의 감소는 알코올-겨자 혼합 첨가구(EM)에서 적어 환원당량이 많았으며, 숙성 후기의 알코올의 생성은 알코올에 키토산을 혼합 첨가한 고추장(EC)에서 높았다. 고추장 숙성 중기까지 아미노태 질소는 증가하였고, 숙성중 암모니아태 질소의 생성은 알코올-겨자-키토산 혼합 첨가구(EMC)에서 적었다. 12주 숙성된 고추장을 관능 평가한 결과 색과 향기에서 알코올(E) 또는 알코올-겨자 혼합 첨가구(EM)가 좋아 저식염 고추장 제조시 알코올 또는 알코올-겨자를 혼합 첨가하는 것이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양호하였다.

Shake Flask Method와 개량 Shake Flask Method에 의한 키토산의 MRSA 향균성 평가 (A Study on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Chitosan on the MRSA by the Shake Flask Method and Modified Shake Flask Method)

  • 최정임;전동원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4-70
    • /
    • 2003
  • Water-insoluble chitosan with molecular weight of 2,000,000, 580,000, 80,000, and 40,000 and more than 90% of degree of deacetylation were prepared to test antibacterial activity of chitosan against a pathogenic bacteri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As experimental method, the Shake Flask Method (SFM) and Modified Shake Flask Method (MSFM) were applicat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chitosan/acetic acid aqueous solution is consistent irrespective of Mw of chitosan. MIC value of SFM measurement was 0.2 ppm, and MIC value of modified SFM measurement was 25 ppm. But MIC value of chitosan/acetic add solution and chitosan treated cotton filter paper was equally 5 ppm.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chitosan were different in different test measurements employed.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chitosan/acetic acid solution and chitosan treated cotton filter paper were also different. Therefore, it needs to be pointed out that the test measurements of anti-microbial activity have some problems.

균주를 접종하여 제조한 청태전 차의 관능적 특성과 생리활성 효과 (Sensuous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Cheongtaejeon Tea Produced with the Inoculation of Microbial Strains)

  • 허북구;조정일;박용서;박윤점;조자용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39-148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store our traditional Cheongtaejeon tea and to develop the special products. We inoculated Cheongtaejeon tea with lactobacilli (Lactobacillus plantarum CHO 25) and the mixed microbial strains (L. plantarum CHO 25 + Saccharomyces cerevisiae + Bacillus amyloliquefaciens CHO 104). We also examined the sensuous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Cheongtaejeon tea which was produced by the inoculation of microbial strains. The external appearance of Cheongtaejeon teas were not significant among the teas which were produced with or without the inoculation of L. plantarum CHO 25 and the mixed microbial strains. The taste of the tea increased most in Cheongtaejeon tea which was produced without the inoculation of microbial strains. The taste and liking of Cheongtaejeon tea which was inoculated with Aspergillus oryzae and Aspergillus niger decreased significantly, and it was not suitable to drink. Total phenolics compound contents,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DPPH ($\alpha,\alpha$-diphenyl-$\beta$-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heongtaejeon tea extracts increased much more in the order of that produced with the inoculation of L. plantarum CHO 25, control and that with the mixed microbial strains. However, nitrit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1,000 mg/L Cheongtaejeon tea hot water extracts were in the order of the control (94.4%), the inoculation of L. plantarum CHO 25 (93.6%) and the mixed microbial strains (91.1%). Overall results indicated that the sensuous characteristics increased most in Cheongtaejeon tea which was produced without the inoculation of microbial strains, and those physiological activities in tea with the inoculation of L. plantarum CHO 25.

초임계 자소자추출물의 항균효과와 바이오필름, 염증매개인자 생성 억제 효능 (The Effect of Anti-microbial and the Inhibitory Effect of Biofilm Formation and Inflammatory Factors Production of Perillae semen Supercritical Fluid Extracts)

  • 이광원;박신성;박수인;신문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615-624
    • /
    • 2022
  • 본 연구는 자소자 열수추출물과 압력은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로 온도를 조절하여 추출한 3종의 자소자 초임계추출물에 대해 항산화력, 항균활성, biofilm 형성 억제능과 염증매개물질(nitric oxide), 염증성 사이토카인(interleukin-6, interleukin-8)의 생성 억제능을 평가하였다. 자소자 열수추출물과 비교하였을 때 자소자 초임계추출물이 항산화 효과는 떨어졌으나, Staphylococcus aureus(S. aureus)에 대한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MIC)이 월등히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biofilm 형성 억제능 또한 더 우수하였다. 염증매개물질과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도 자소자 초임계추출물이 자소자 열수추출물에 비해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우리는 초임계추출물중 가장 우수한 항균작용과 biofilm 형성 억제, 염증인자 생성 억제 효능을 보인 45℃로 추출한 자소자 초임계추출물이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가려움증과 경표피수분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천연 기능성 소재로 적합함을 시사한다.

오매 추출물들의 항산화 및 세포 활성 (Antioxidant and Cell Activity Using Extracts of Mume Fructus)

  • 배유경;최태부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388-394
    • /
    • 2011
  • Mume fructus is the roasted fruits of Prunus mume and has been used as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In this study, mume fructus extracts were prepared by three different methods including hot water extract (sample1), fermentation extract using Lactobacillus (Sample2-LP and sample-LA) and ethanol extract (sample3).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improved by fermentation process, compared to water extract. Sample 3 showed the highest activity in DPPH radical scavenging. The cytotoxicity of the sample 2-LP was in the range of 83.3% cell viability at $300{\mu}g/m{\ell}$ concentration. Mume fructus extract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hibited melanogenesis and NO synthesis was inhibited. Specifically, the extracts fermented by L. plantarum (sample2-LP)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anti-inflammatory and skin whitening activity than other extracts. It suggests that sample 2-LP could be potentially used as a resource of materials for functional cosmetics.

산초의 약물대사효소 CYP3A4 저해 활성 (Inhibitory Activity of Drug-metabolizing Enzyme CYP3A4 of Zanthoxylum Peel)

  • 차배천
    • 생약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59-164
    • /
    • 2019
  • Zanthoxylum Peel is widely used as a common spice for a variety of foods. In the orient, it has also been used as traditional agents for treating diseases such as indigestion. Recently, Zanthoxylum Peel has been reported to have anti-cancer activity, anti-microbial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Chemical components are known sanshool compounds and xanthoxylin. In this study, we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nstituents of inhibiting a drug metabolizing enzyme CYP3A4 from Zanthoxylum Peel. CYP3A4 is known as an enzyme involved in drug metabolism as monooxygenase containing the heme. As a result of experiment, we found that bergapten ($IC_{50}=18.21{\mu}M$) and quercetin ($IC_{50}=17.27{\mu}M$) isolated from EtOAc extract of Zanthoxylum Peel showed remarkable CYP3A4-inhibiting activities. Structures of the isolated active compounds were established by chemical and spectroscopic means.

복분자주 주박의 항균, 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Anti-thrombosis Activities of the Lees of Bokbunja Wine (Rubus coreanus Miquel))

  • 김미선;강동균;신우창;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757-764
    • /
    • 2015
  • 복분자는 당도가 낮고 신맛이 강해 과실주로 주로 제조되고 있으며, 복분자주 제조 후 부생되는 주박은 대부분 폐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생리활성이 보고된 바 없는 복분자주 주박을 대상으로 열수 추출물, ethanol 추출물 및 이들의 다양한 분획물을 조제하여 항균, 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복분자주 주박의 ethylacetate (EA) 분획은 413~459 mg/g의 높은 polyphenol을 함유하고 있으며, 그람양성세균에 대한 강력한 성장억제 활성과, DPPH 음이온, ABTS 양이온에 대한 우수한 radical 소거능, nitrite 소거능 및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혈액내의 thrombin, prothrombin, coagulation factor 에 대한 저해를 통한 혈액응고저해 활성이 우수하였다. 복분자주 주박의 butanol 분획은 우수한 항산화력과 함께 내인성 혈전 생성에 관련된 aPTT 연장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spirin에 필적하는 강력한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복분자주 주박의 열수 추출물의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 후의 물 잔류물은 aspirin보다 강력한 혈소판 응집저해를 나타내어 새로운 항혈소판제 개발 소재로 이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폐기되고 있는 복분자주 주박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식품 및 향장소재 개발이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